[교단만필] '굳이'라고 물었던 너에게

  • 오피니언
  • 교단만필

[교단만필] '굳이'라고 물었던 너에게

김영욱 대전고 교사

  • 승인 2024-06-13 17:32
  • 신문게재 2024-06-14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40613092047
김영욱 대전고 교사
왜 굳이 다음 학교가 대전고였냐고? 워라밸? 중요하지. 그런데 살다 보니 양팔 저울 왼쪽에 내 행복과 오른쪽에 내 힘듦을 견주며 평행을 맞추려 노력하는 게 더 어렵더라고. 폼나게 이야기하려는 것 아니냐고? 그래, 어쩌면 그 말이 맞겠네. 폼나게 이야기하려 해. 적어도 남에게 보여지는 폼이 아니라 스스로 갖출 품격이라면 폼. 그 말 좋겠다.

어렴풋이 알고는 있었어. 코로나 이후 변해버린 고등학교의 밤 풍경을. 예전같으면 밤늦게까지 학교에 선생님과 학생들이 남아 있다가 10시면 우르르 교문을 나서는 밤 풍경, 이제는 보기 힘들다는 것 잘 알아. 그런데 말이야, 아직 대전고는 그렇더라고. 여전하다는 말이 적절하겠네. 아이들이 학교를 믿어 학교에 있어, 그 밤에도. 방과후 수업에도 대부분의 아이들이 남아 있고 밤 10시까지 학교가 환해. 불야성이라고 말하면 믿을까? 네가 직접 봐야 알 텐데. 문제집만 잡고 계속 푸는 게 공부는 아닌 거 나도 알지. 그래서 대전고라는 학교 공간도 아이들도 바뀌어 있더라고. 늦은 시각 아기자기한 공간 안에 아이들이 삼삼오오 있어. 논문이랑 공식을 화면에 띄우고 이야기하는데 사실 나는 내용은 모르니까 그 내용을 말하긴 어렵지. 다만 공부할 거리를 스스로 찾아 함께 한다는 즐거움이, 눈빛이 담겨 있는 건 아이들의 표정을 보니 알겠더라고.

밤늦게까지 힘들지 않냐고? 힘들지. 안 힘들다고 하면 거짓말일 거야. 그런데 사람과 사람의 틈 사이에서 오는 희열이 여긴 아직 있더라고. 너도 잘 알 거야. 휴일에 거실에 가족끼리 앉아 있으면 누군가는 휴대폰 속 세상에서 살고 있으면서 몸 한 편만 가족 곁에 뻗어놓고 있다는 거. 가장 가깝다는 가족들도 이제는 서로의 눈을 깊게 보며 이야기하고 살 부딪히며 서로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내밀하게 대화로 나누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 잘 알잖아? 그런데 여기 대전고에는 휴대폰이 없더라. 진짜야. 그렇더라고. 4무 운동이라고 부르더라. 휴대폰, 자는 학생, 담배, 학교폭력 이 네 가지가 없다더라. 아니, 아침에 휴대폰을 담임 선생님이 걷는 게 아니야. 그냥 없어. 가져오질 않는 거야. 그러니 아침 풍경이 다르더라고. 교문을 지날 때 아이들과 선생님이 인사로 시작해. 거기서 틈이 생겨. 웃으며 눈을 마주할 수 있는 그 틈이.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이 제일 신기해. 휴대폰이 없는 남자 아이들이 뭘 할까 생각해봤어? 그 틈은 대화와 사람이 메우더라고. 함께 공을 차고, 대화하고, 책 읽고, 산책하고, 그냥 돌아다니기도 하고. 작은 화면 하나가 사라지면 그 자리를 우리는 다른 사람으로 메우더라고.

진짜 안 자냐고? 졸린 애들이 왜 없겠어? 고등학생이잖아. 그런데 듣더라. 그게 제일 좋았어. 사실 교사로서 가장 힘든 순간은 내 수업을 아이들이 벽처럼 밀어낼 때잖아. 대전고는 벽이 아니더라고. 듣고 질문하고 말하고 웃더라고. 오랜만이었어. 교실을 나서면서 내가 가르치는 중이라고, 참 보람차다고 느끼는 경험, 꽤 오랜만이었어. 아이들이 참아주는 것 아니냐고? 그래, 어쩌면 그럴 수도 있겠다. 내 수업이 일타 '인강' 강사처럼 화려하고 재밌지는 않을 테니까. 하지만 배움이란 건 어쩌면 스며드는 일일 것 같아. 아이들이 내게 스며들고 나도 아이들에게 스며드는 걸 테니까.



아! 그러고 보니 생각난다. 우리 학년 모 담임 선생님이 "부장님도 대며들고 계시군요"라고 말했어. '대며들다'가 뭐냐면 '대전고에 스며든다'는 거야. 내가 보기에는 스며들어서 점점 물드는 것 같아. 동화(同化)랑은 달라. 논어에 나오는 '화이부동(和而不同)' 알잖아. 완벽히 똑같지는 않고 자신만의 색깔은 있지만 서로 다르지 않은, 함께라는 말이 낯설지 않은 끈끈한 공동체 말야. 여긴 그게 아직 있더라고. 입학식에서 울려 퍼지는 재학생들의 관현악 합주의 웅장함이 심장을 요동치게 하기도 하고, 팔순 넘으신 어르신들이 대전고 선배라고 오셔서 힘내라는 말을 나지막이 전할 때 찌르하게 나도 여기서 함께 숨쉬는 사람이라고 느껴. 적어도 이것저것 재는 것보다 지금, 여기에서 보람을 느낀다면 가치 있는 삶이 아닐까? 너도 한 번 와보면 알 거야. 아직도 여전히 그런 학교가 있다는 거. 그게 대전고라는 거 말야. 김영욱 대전고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2.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3.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4.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5.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1.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2.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