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경탄이 만들어낸 기법,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경탄이 만들어낸 기법,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06-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서로 상반되는 의미의 말이 있다. '탄성(歎聲)'도 그 중 하나다. 감탄하는 소리지만, 탄식하거나 한탄하는 소리이기도 하다. 둘 다 자신도 모르게 쏟아낸다. 모양, 규모 등 차별성이 크거나 처음 본 것에 반응한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반복되면 그 크기가 줄어든다. 그렇다고 본질이 변하거나 사라진 것은 아니다.

조선 시대 화가 최북(崔北, 1720 ~ ?)은 갖가지 기행으로 유명하다. 자유로운 영혼의 소지자로 왕실의 광대가 되기 싫다며 화원이 되지 않았다. 스스로 명인이라 자부했던 그가 금강산을 보고 몹시 경탄했던 모양이다. 웃고 통곡하는 것으로 탄성을 쏟아내다, 최고의 풍광을 음미했으니 더 이상 삶이 의미 없다 생각했을까 "천하 명인 최북이 천하 명산에서 죽는다."며 구룡연에 뛰어 들었다. 다행히 목격자가 있어 구해준 탓에 생명을 부지하였다. 정조대의 제일 문장가요 인재였던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이 <금릉집金陵集>13권 '최칠칠전'에 전한 내용이다.

명산의 빼어난 자태에 어찌 최북만 탄복하였으며, 누구인들 그냥 지나칠 수 있으랴. 기억이 지워지도록 내박쳐 두랴. 수많은 시인묵객이 경탄의 흔적을 남긴다.

금강산 서남쪽에 단발령(斷髮嶺)이 있다. 해발 834m의 고개로 남쪽에서 가려면 금강산으로 가는 길목이 된다. 강원도 김화군 통구면과 회양군 내금강면 사이에 있다. 신라 멸망 후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이 고개에서 삭발하고 은거한데서 명칭이 유래했다 전하기도 한다. 한편, 여기에서 바라보는 금강산 경치가 너무 고와 저마다 송두리째 마음을 빼앗긴다. 삭발하고 속세 떠나 승려가 되고자 하여 유래된 이름이라 한다.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역시 금강산을 몹시 사랑한 화가이다. 감동과 사랑의 크기 그대로 표현해내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고뇌가 그림마다 고스란히 담겨있다. 독특한 기법, 새로운 기법들이 그것이다. 금강산의 특징이기도 한 일만 이천 봉 하나하나 어느 것도 빠트리고 싶지 않았나 보다. 전체가 담긴 그림이 여러 폭 전한다. 종합안내도처럼 자세히 그리기도 한다. 실제로 훗날 금강산 오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게 하려 명소이름을 써넣기도 한다.

《신묘년풍악도첩》과 《해악전신첩》등에 선보인 흰색 뾰쪽뾰쪽한 봉우리, 새로운 구도도 특징이다. 날카롭고 단단한 느낌이 경이롭게 다가온다. 그 놀라움을 표현해낼 새로운 기법이 필요했던 모양이다. 두 화첩 모두에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이 담겨있다. 소재와 구도는 비슷하지만 사뭇 느낌이 다르다. 《신묘년풍악도첩》에 있는 그림을 감상해 보자.

자신이 서있는 단발령을 그려 넣은 것도 특징이다. 단발령은 다른 시각에서 보았던 것이거나 상상의 배치일 것이다. 고개에 올라서자마자 구름너머로 경이로운 풍광이 등장한다. 탄성이 절로 나왔으리라. 어찌 그 순간이 잊힐 리 있겠는가? 잊고 싶겠는가? 봉우리는 또 얼마나 빛났으랴. 환상적 은빛 수정의 강렬한 인상이 흰색을 불러낸다. 미점(米點)으로 그려낸 육산, 단발령의 표현이 봉우리와 대조를 이루어 선계랄까, 이상세계가 더욱 강조되어 다가온다. 놀라움이 돋보이도록 중경은 모두 생략하고 구름안개로 처리하였다. 언덕에는 갓 쓴 선비와 가마꾼, 가마가 보인다.

겸재의 절친한 친구이며, 영조대 최고의 시인이었던 사천(?川) 이병연(李秉淵, 1671 ~ 1751)이 이 그림을 보고 쓴 시도 감상해 보자. 조정육의 <붓으로 조선 산천을 품은 정선>에서 옮겨왔다.

'드리운 길은 구불구불한 용이 오르는 듯하고/드높은 꼭대기에는 두 그루 소나무가 보이는구나/하늘과 땅이 홀연히 만난 듯한 밝은 세상

봉래산 일만 봉을 처음 보았네/아침에 보니 신선이 사는 궁궐의 금자물쇠를 연 듯하고/가을이라 아름다운 허공에 부용꽃을 묶어 놓은 듯하구나/어떤 이는 이곳이 미치도록 좋아서/머리를 깎고 홀연히 세상을 등진다네'

정선
정선,《신묘년풍악도첩》 중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조선 1711년, 비단에 색, 34.3×39.0cm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논란의 금속보호대 대전교도소 1년간 122회 사용… 기록누락 등 부실도
  2. 이철수 폴리텍 이사장, 대전캠퍼스서 ‘청춘 특강’… 학생 요청으로 성사
  3. 고교학점제 취지 역행…충청권 고교 사교육업체 상담 받기 위해 고액 지불
  4.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5. 공사장 관리부실 대전 도마동 골목 물바다…공사장 물막이둑 터져
  1. 서울대 10개 만들기·탑티어 교수 정년 예외…교육부 새 국정과제 본격 추진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충청본부, 치매안심센터 찾아 봉사활동
  3. 세종 BRT예정지 미리알고 땅 매입한 행복청 공무원 "사회적 신뢰 훼손"
  4. "치매, 조기진단과 적극적 치료를" 충남대병원 건강강좌
  5. 새 정부 교육 국정과제 '시민교육 강화' 대전교육 취약 분야 강화 기대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 5년간 11조 투입해 서해안 수소벨트 구축

충남도가 석탄화력발전소 밀집 지역인 서해안 일원에 친환경 수소산업 벨트를 구축한다. 도는 수소 생산부터 저장, 활용까지 국내 최대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글로벌 수소 허브로 탈바꿈시킨다는 목표다. 김태흠 지사는 18일 서산 베니키아호텔에서 열린 '제7회 수소에너지 국제포럼'에서 19개 기관·단체·대학·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서해안 수소산업 벨트 구축 본격 추진을 선언했다. 이날 포럼에는 김 지사와 제프 로빈슨 주한 호주 대사, 니쉬 칸트 씽 주한 인도 대리 대사, 예스퍼 쿠누센 주한 덴마크 에너지 참사관 등 500여 명이 참석..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불꽃야구, 한밭야구장에서 직관 경기 열린다

리얼 야구 예능 '불꽃야구'가 대전 한밭야구장(대전 FIGHTERS PARK)에서 21일 오후 5시 직관 경기를 갖는다. 18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한밭야구장을 불꽃야구 촬영·경기 공간으로 활용하기로 한 협약 이후 시민에게 개방되는 첫 무대다. '불꽃야구'는 레전드 선수들이 꾸린 '불꽃 파이터즈'와 전국 최강 고교야구팀의 맞대결이라는 예능·스포츠 융합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21일 경기는 수원 유신고와 경기를 갖는다. 유신고는 2025년 황금사자기 준우승, 봉황대기 4강에 오른 강호로, 현역 못지않은 전직 프로선수들과의..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추석 앞두고 대전 전통시장 찾은 충청권 경제단체장들 "지역경제 숨통 틔운다"

충청권 경제 단체들이 추석을 앞두고 대전지역 전통시장을 찾았다. 내수 침체로 활력을 잃은 지역경제에 숨통을 틔우기 위한 캠페인을 위해서다. 특히 이번 캠페인에는 이상천 대전세종중소벤처기업청장이 취임 직후 첫 공식일정으로 민생현장을 찾아 눈길을 끌었다. 대전세종충남경제단체협의회(회장 정태희)는 지난 17일 오전 대전 서구 한민시장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캠페인'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이상천 중기청장을 비롯해 정태희 회장(대전상의 회장), 김석규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장, 송현옥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대전지회장, 김왕환 한국무역협회 대전세종충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준비 만전

  •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2025 적십자 희망나눔 바자회

  •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방사능 유출 가정 화랑훈련

  •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 ‘숭고한 희생 잊지 않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