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경탄이 만들어낸 기법,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경탄이 만들어낸 기법,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4-06-14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서로 상반되는 의미의 말이 있다. '탄성(歎聲)'도 그 중 하나다. 감탄하는 소리지만, 탄식하거나 한탄하는 소리이기도 하다. 둘 다 자신도 모르게 쏟아낸다. 모양, 규모 등 차별성이 크거나 처음 본 것에 반응한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반복되면 그 크기가 줄어든다. 그렇다고 본질이 변하거나 사라진 것은 아니다.

조선 시대 화가 최북(崔北, 1720 ~ ?)은 갖가지 기행으로 유명하다. 자유로운 영혼의 소지자로 왕실의 광대가 되기 싫다며 화원이 되지 않았다. 스스로 명인이라 자부했던 그가 금강산을 보고 몹시 경탄했던 모양이다. 웃고 통곡하는 것으로 탄성을 쏟아내다, 최고의 풍광을 음미했으니 더 이상 삶이 의미 없다 생각했을까 "천하 명인 최북이 천하 명산에서 죽는다."며 구룡연에 뛰어 들었다. 다행히 목격자가 있어 구해준 탓에 생명을 부지하였다. 정조대의 제일 문장가요 인재였던 남공철(南公轍, (1760~1840)이 <금릉집金陵集>13권 '최칠칠전'에 전한 내용이다.



명산의 빼어난 자태에 어찌 최북만 탄복하였으며, 누구인들 그냥 지나칠 수 있으랴. 기억이 지워지도록 내박쳐 두랴. 수많은 시인묵객이 경탄의 흔적을 남긴다.

금강산 서남쪽에 단발령(斷髮嶺)이 있다. 해발 834m의 고개로 남쪽에서 가려면 금강산으로 가는 길목이 된다. 강원도 김화군 통구면과 회양군 내금강면 사이에 있다. 신라 멸망 후 경순왕의 아들 마의태자가 이 고개에서 삭발하고 은거한데서 명칭이 유래했다 전하기도 한다. 한편, 여기에서 바라보는 금강산 경치가 너무 고와 저마다 송두리째 마음을 빼앗긴다. 삭발하고 속세 떠나 승려가 되고자 하여 유래된 이름이라 한다.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 역시 금강산을 몹시 사랑한 화가이다. 감동과 사랑의 크기 그대로 표현해내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고뇌가 그림마다 고스란히 담겨있다. 독특한 기법, 새로운 기법들이 그것이다. 금강산의 특징이기도 한 일만 이천 봉 하나하나 어느 것도 빠트리고 싶지 않았나 보다. 전체가 담긴 그림이 여러 폭 전한다. 종합안내도처럼 자세히 그리기도 한다. 실제로 훗날 금강산 오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게 하려 명소이름을 써넣기도 한다.

《신묘년풍악도첩》과 《해악전신첩》등에 선보인 흰색 뾰쪽뾰쪽한 봉우리, 새로운 구도도 특징이다. 날카롭고 단단한 느낌이 경이롭게 다가온다. 그 놀라움을 표현해낼 새로운 기법이 필요했던 모양이다. 두 화첩 모두에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이 담겨있다. 소재와 구도는 비슷하지만 사뭇 느낌이 다르다. 《신묘년풍악도첩》에 있는 그림을 감상해 보자.

자신이 서있는 단발령을 그려 넣은 것도 특징이다. 단발령은 다른 시각에서 보았던 것이거나 상상의 배치일 것이다. 고개에 올라서자마자 구름너머로 경이로운 풍광이 등장한다. 탄성이 절로 나왔으리라. 어찌 그 순간이 잊힐 리 있겠는가? 잊고 싶겠는가? 봉우리는 또 얼마나 빛났으랴. 환상적 은빛 수정의 강렬한 인상이 흰색을 불러낸다. 미점(米點)으로 그려낸 육산, 단발령의 표현이 봉우리와 대조를 이루어 선계랄까, 이상세계가 더욱 강조되어 다가온다. 놀라움이 돋보이도록 중경은 모두 생략하고 구름안개로 처리하였다. 언덕에는 갓 쓴 선비와 가마꾼, 가마가 보인다.

겸재의 절친한 친구이며, 영조대 최고의 시인이었던 사천(?川) 이병연(李秉淵, 1671 ~ 1751)이 이 그림을 보고 쓴 시도 감상해 보자. 조정육의 <붓으로 조선 산천을 품은 정선>에서 옮겨왔다.

'드리운 길은 구불구불한 용이 오르는 듯하고/드높은 꼭대기에는 두 그루 소나무가 보이는구나/하늘과 땅이 홀연히 만난 듯한 밝은 세상

봉래산 일만 봉을 처음 보았네/아침에 보니 신선이 사는 궁궐의 금자물쇠를 연 듯하고/가을이라 아름다운 허공에 부용꽃을 묶어 놓은 듯하구나/어떤 이는 이곳이 미치도록 좋아서/머리를 깎고 홀연히 세상을 등진다네'

정선
정선,《신묘년풍악도첩》 중 <단발령에서 바라본 금강산>, 조선 1711년, 비단에 색, 34.3×39.0cm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시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충북·제주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 서울 19주 만에 하락
  3.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4.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3.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4.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5.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헤드라인 뉴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다시 만날, 첫 대전시청사… 복원‧보수설계 탄력 붙는다

민선 8기 대전시를 대표하는 문화유산 복원·활용 프로젝트인 첫 대전시청사(옛 대전부청사)의 복원·보수 설계가 본격 착수된다. 23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는 첫 대전시청사의 설계용역 제안 공모 심사에서 '시공회당(時空會堂, 시간의 흔적을 공간으로 빚다)'로 당선된 ㈜아인그룹건축사무소·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공동응모)와 계약을 체결했다. '시공회당'은 섬세한 보존 전략과 함께 현재와 미래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계획, 공간 분석 및 원형 복원을 위한 기술적 검토의 완성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제이아이건축사사무소의 김지현 소장은 프랑스..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정부가 내수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추진 중인 '상생페이백' 신청률이 예상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청 마감일이 30일로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전체 대상자 약 4000만 명 가운데 신청자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24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상생페이백은 지난해 월평균 카드 사용액 대비 올해 9~11월 소비가 늘어난 금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하는 사업이다. 월 10만 원씩, 최대 30만 원까지 지급 받을 수 있다. 신청 대상은 지난해 신용·체크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안전상식 대표주자를 가려라… 재미난 퀴즈 풀며, 치열한 경쟁 `안전의식 UP`
안전상식 대표주자를 가려라… 재미난 퀴즈 풀며, 치열한 경쟁 '안전의식 UP'

충남 안전골든벨 왕중왕전을 향한 홍성군 예선전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홍성군과 중도일보가 주최하고 홍성교육지원청, 홍성경찰서·소방서가 후원한 '2025년 제1회 홍성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20일 홍성 홍주문화체육센터에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205명의 홍성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사회자는 "안전지식엔 연령이 없다"며 "다른 지역에선 저학년이 골든벨을 울린 적도 있다며" 긴장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