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빗물 차올라 창문으로 아이와 탈출"… 제방 유실 탓에 대전 용촌동 침수

  • 사회/교육
  • 사건/사고

[현장] "빗물 차올라 창문으로 아이와 탈출"… 제방 유실 탓에 대전 용촌동 침수

10일 정뱅이 마을 주택 27채 침수…44명 대피
이날 오전까지 마을 사람 허리 높이까지 침수
제방 무너지며, 하천물 순식간에 마을에 덮쳐
인명피해 없었지만, 주민 부상…저체온증 고생

  • 승인 2024-07-10 17:26
  • 수정 2024-07-10 18:41
  • 신문게재 2024-07-11 2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KakaoTalk_20240710_141115096
10일 오전 10시께 침수된 대전 정뱅이마을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새벽 4시에 마을 안내 방송을 듣고 놀라 깼는데, 20분도 안 돼서 물이 집 안으로 훅훅 들어왔어요. 놀라서 지갑과 핸드폰만 들고 급하게 나왔는데 심했을 때는 집이 지붕 처마 밑까지 침수됐었어요."

10일 오전 10시께 대전 서구 용촌동 정뱅이마을에서 만난 한 이재민은 쑥대밭으로 변해 버린 마을을 바라보며 깊은 한숨을 내뱉었다. 전날 밤부터 새벽 사이 대전에서 시간당 110㎜ 이상의 폭우가 쏟아져 마을 주민 주택 대부분이 침수됐기 때문이다. 주택 27채 모두 침수되면서 36명의 주민이 고립돼 소방이 구명보트를 이용해 구조작업을 벌였고 현재 주민 44명이 기성동종합복지관으로 대피한 상태다. 이 마을 주민 대부분은 60~80대 고령이다.

KakaoTalk_20240710_141115096_01
10일 오전 10시께 침수된 대전 정뱅이마을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침수 현장에 가 보니, 여전히 마을 일대는 사람 허리 높이 정도의 물이 차 있는 상태였다. 주택과 차량은 물론 농경지, 비닐하우스, 축사까지 침수돼 농작물 피해도 상당했다. 일부 주민은 물에 잠긴 논을 넋 놓고 바라보고 있을 정도로 충격이 작지 않아 보였다.

현장에서 만난 김모(50대) 씨는 "물이 차면서 방문이 열리지 않아 신랑과 아이랑 창문에 몸을 집어넣어 가까스로 탈출할 수 있었다"며 "이웃집에 사시는 어르신 두 분은 집에서 탈출하지 못해서 목 밑까지 물이 잠긴 위험한 상황이었는데, 마침 아들이 도착해 구조해 인명피해는 막을 수 있었다"고 긴박했던 상황을 설명했다.



소방당국은 이날 침수는 마을 인근에 있는 갑천 상류 주변 제방 겸 도로가 무너지면서 짧은 시간 하천 물이 유입돼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갑천 수위가 높아진 상황에서 호남선 철도 교량 밑에 있는 제방이 무너져 쓰나미처럼 순식간에 많은 물이 저지대인 마을을 덮친 것이다.

대피소에서 만난 마을 주민 이모(60대) 씨는 "10년 동안 이 마을에 살면서, 비가 많이 와도 마을이 물에 잠긴 적은 없었다"며 "1987년까지는 마을 침수가 잦았다고 들었는데, 인근에 철도 교량이 생기면서 침수는 없었다고 들었다. 그런데 이번에 제방이 무너지면서 동네가 전부 잠길 줄 몰랐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주민은 "교량 기둥에 걸려 있는 풀더미들을 관리기관에서 오랫동안 정리를 안 해주니까 하천의 흐름이 방해되면서 물이 더 차오른 것 같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KakaoTalk_20240710_141320698
10일 오전10시께 침수된 대전정뱅이마을 인근에 무너진 제방도로 모습 (사진=정바름 기자)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일부 주민들이 대피하는 과정에서 다치거나 고령 주민들은 물에 젖어 저체온증을 앓았다. 주민 대피를 도왔다는 인근 펜션 주인인 황모(60대) 씨는 "새벽에 우리 펜션에 주민 30명 정도 대피한 상태였다"며 "물에 빠진 어르신들이 오한 때문에 고생하셨다. 펜션에 전기도 다 나가서 뜨거운 물도 끓일 수 없던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서구청 관계자는 "오전부터 배수 작업을 해 현재(오후 4시) 물은 다 빠진 상태지만, 이번 주 기상 상황이 안 좋아 복구에는 수일이 걸릴 거 같다"며 "현재 주민 대피소가 마련돼 급식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데, 이후 지원책을 논의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3.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1.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4.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산처럼 굳건하게 아이들이 자라기를"
  5. [수능 D-10] 전문가 "오답 압축과 생활리듬 조정이 중요"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