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행정수도' 한 축, 제1·2언론단지 언제 정상화?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행정수도' 한 축, 제1·2언론단지 언제 정상화?

2015년 전·후 조성된 어진동 제1언론단지 본연의 기능 퇴색
CP 39-1, 39-3만 공급 완료...나머지 3개 필지, 활성화 시기 요원
'언론 50%, 상업 기능 50%' 구상 유명무실...공실 장기화
다시 정부 및 지방기관 입주 허용으로 원점

  • 승인 2024-07-19 15:10
  • 수정 2024-07-21 07:38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0718_094532203
어진동 제1언론단지 전경. 사진 속 동그라미 2곳과 직사각형 1곳 등 모두 3필지가 미공급된 채 나대지로 남겨져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세종시=행정수도' 기능의 한 축인 언론단지가 좀처럼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중도일보가 7월 17일 '세종형 디지털 미디어단지 지지부진… 윤 대통령 공약 어디로?' 제하의 기사에서 언급한 누리동(6-1생활권) (가칭)제2언론단지를 차치하고라도, 2015년 전·후 조성된 어진동 제1언론단지마저 본연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7월 19일 행복도시건설청과 세종시에 따르면 제1언론단지 입지 중 CP 39-1, 39-3 등 2개 필지만 공급된 채, CP 39-2와 CP 40, CP 41 등 3개 필지는 여전히 나대지 상태에 있다.

앞서 공급된 39-1과 39-3 입지 역시 외형만 언론단지일 뿐, 정부세종청사와 국책연구단지 등을 출입하는 수도권 및 다른 지역 언론사들의 입주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39-3에는 정부 공공기관(인사혁신처)이 2016년 3월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지구단위계획 변경을 통해 둥지를 틀었고, 변경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39-1은 장기 공실 상태에 놓였다.



결국 '언론 기능 50%, 일반 상업시설 50% 배치' 구상은 현실화하지 못했다. 제1언론단지 건축물은 일반 상업시설 50%로만 유지되는 반쪽 형태로 남았고, 그나마 인사혁신처 입주로 공실을 해소해온 39-3마저 2023년 6월 말부터 1년 가까이 건물의 절반을 활용하지 못했다.

행복도시건설청으로부터 지구단위계획 권한을 이관받은 세종시가 2024년 5월 말 기준 해제지역 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 고시를 단행한 배경이다.

지하 주차장을 제외한 연면적의 50% 이상을 신문사로 활용해야 하는 기준에 다시 변화를 줬다. 39-3과 39-1로 신문사뿐만 아니라 정부청사를 포함한 공공업무시설까지 둥지를 틀 수 있도록 했다. 2023년 6월까지는 39-3에 한해 '신문사+정부청사'까지만 입점을 허용했고, 39-1은 '신문사'로만 채울 수 있었다. 예컨대 공공업무시설 유형으론 외부로 나가 있는 세종시 산하기관과 부서 등도 해당한다.

제약 조건은 누리동 디지털미디어단지의 토지공급계획 승인일까지 허용에 있다. 누리동 신규 언론단지가 2026년 본격 조성된다고 가정하면, 최대 2년 여 기간 다른 용도로 쓸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같은 규제 완화가 주변의 CP 39-2와 CP 40, 41 필지의 신규 공급을 촉진할지는 미지수다. 세종시 공실 상황이 워낙 심각하기 때문이다.

시민사회의 한 관계자는 "토지 공급 주체인 LH와 승인 권한을 가진 세종시 및 행복청이 미래 도시 기능 재배치 등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시점"이라며 "이대로라면 자칫 누리동 언론단지 조성마저 더딘 흐름에 놓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2026년 노인일자리 7275명 확대 모집
  2.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3.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4.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5. <인사>대전시
  1.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2.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5. [한성일이 만난 사람]김용교 전 아산시 부시장

헤드라인 뉴스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민간주도 우주시대 첫발

27일 오전 우주로 날아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하며 뉴스페이스 시대 개막을 알렸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오전 2시 40분 누리호 4차 발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발사 결과를 직접 발표했다. 배 부총리는 "누리호 4차가 성공했다"며 "오전 1시 13분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발사된 누리호가 고도 601.3㎞ 궤도 속도 7.56㎞/s, 경사각 97.75도로 태양 동기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으며 탑재된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12기의 큐브 위성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돼 궤도에 안착했고 남극 세종기..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