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6. 대전 서구 둔산동 시청역 쌀국수집

  • 경제/과학
  • 중도 Plus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6. 대전 서구 둔산동 시청역 쌀국수집

대전 서구 둔산동 시청역 인근 베트남식 음식점 총 2곳
월 평균 매출은 5월 기준 4784만원으로 2월부터 상승세
주말보다 주중에 높은 매출 기록... 점심시간 2022만원
30대와 40대 주요 소비매출 높고 남성과 여성 편차 적어

  • 승인 2024-08-18 13:35
  • 수정 2024-08-28 10:59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둔산시청역1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6. 대전 서구 둔산동 시청역 인근 쌀국수집





50대 직장인 박 모 씨는 여름 휴가철이면 베트남으로 떠난다. 다낭, 푸꾸옥, 나트랑, 호치민, 호이안 등등. 지역 현지마다 유명한 쌀국수를 맛본다. 어느 지역에 가야 맛있는 쌀국수집이 있는지 자신만의 지도를 갖고 있다. 직장에 묶이다 보니 매번 가지 못할 땐 직접 비슷한 맛을 낸다. 소스 등을 해외에서 직접 구매해 먹다 보니 지인들도 그의 쌀국수엔 엄지를 내민다. 그는 정년퇴직 후 자신만의 가게에서 쌀국수를 만들어 팔고 싶다. 10여 년간 쌓아온 경력으로 잘 해낼 자신도 있다. 점심, 저녁 시간 직장인이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쌀국수집을 만들고 싶다. 그는 대전 서구 시청역 인근에 가게를 차리고 싶다. 다소 비싼 임대료에 얼마나 매출이 나올지가 궁금하다. <편집자 주>



▲경쟁자는 얼마나=박 씨가 궁금한 베트남식 전문 업소 수는 2023년 11월 기준 대전 서구 둔산동 시청역 인근에 총 2곳이다. 2022년 11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1곳으로 쭉 이어가다 그해 11월 한 곳이 늘어났다. 반경 1km 이내에 있는 베트남식 전문 업소는 2023년 11월 기준 13곳이다. 서구 전체로 놓고 보면 35곳, 대전 전체로는 117곳이다. 박 씨가 원하는 곳은 인근 직장인과 공무원 등이 점심을 위해 나서는 곳으로, 자신만의 경쟁력을 갖춘다면 승산이 충분해 보인다. 또 자신이 원하는 인근 상권에 베트남식 전문 업소가 2곳밖에 없어 경쟁자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업소 수의 증가는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을수록 증가하며, 다만 여러 업종에서 동 시기에 업소 수의 증가가 발생하는 경우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한 변동일 가능성이 높다고 시스템에선 분석하고 있다.





▲매출은=박 씨가 원하는 곳의 베트남식 전문 업소의 월평균 매출액은 2024년 5월 기준 4784만원이다. 매출액은 2023년 11월 2942만원으로 3000만원대가 내려앉은 것을 제외하곤 2023년 5월부터 2024년 5월까지 4000만원대를 지속적으로 유지 중이다. 2024년 3월 4004만원, 4월 4040만원에서 그해 5월 늘어나 5000만원대를 앞두고 있다. 반경 1km 베트남식 전문 업소 월평균 매출액은 4129만원, 서구 전체로는 2538만원, 대전 전체로는 2179만원이다. 시청역 인근 유동인구가 많다는 점과 직장인 등의 점심시간을 책임져줄 수 있는 간단한 쌀국수가 먹힐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매출 건수는 2024년 5월 둔산동 시청역 인근 상권은 1779건으로 4월(1459건)보다 21.9%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km 반경으로는 1500건, 서구 전체로는 975건, 대전 전체로는 827건이다. 평균 주문 건수가 둔산동 시청역이 인근 평균치보다 훌쩍 높다.



▲매출은 언제가 높나=매출액은 주말보다 주중이 더 높다. 주중 평균 매출액은 719만원, 주말은 593만원이다. 요일별로는 주중에 목요일이 평균 851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화요일이 755만원, 수요일 737만원, 금요일 674만원, 월요일 580만원이다. 주말은 토요일 618만원, 일요일은 568만원이다. 시간대별로는 점심시간인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가 2022만원으로 최다 매출을 기록했다. 오후 5시부터 오후 9시까지는 1493만원, 오후 2시부터 5시는 682만원, 오전 6시부터 11시까지는 586만원이다. 주요 소비층은 20·30·40대가 고루 분포됐다. 이중 30대가 1239만원으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했으며, 40대는 1022만원, 20대 989만원, 50대 749만원, 10대 30만원 순이다. 또 남성과 여성이 각 2134만원, 2081만원으로 큰 편차가 없었다. 20·30·40대의 입맛을 고루 사로잡는다면 충분한 승산이 있어 보인다. 매출액은 카드사 가맹점 매출을 기반으로 추정된 정보로, 소비 고객이 아닌 결제 고객의 인구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4년 5월 기준 8만 2197명으로, 1년 전(10만 5886명)보다는 많이 줄어든 상황이다. 다만, 2024년 2월과 3월 7만 명 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재차 8만 명대를 넘어서며 회복 중이다. 연령대 별로는 40대와 50대, 60대가 1만 7000명대로 비슷했으며, 20·30대는 1만 명대, 10대는 7000명대다. 유동인구는 상권 분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상권의 구매력 파악과 서비스 전략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한, 해당월 일 평균 추정데이터다. 주중이 8만 774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주말은 6만 5877명으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8만 명대로 나타났고, 금요일은 가장 많은 유동인구인 9만 2701명이었다. 주말은 토요일이 7만 2093명, 일요일은 5만 9663명이다. 박 씨의 제2의 쌀국수집 창업에 도움이 됐길 바란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4.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2.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3.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4.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5. '제5회 SDGs 소셜벤처 챔피언십'서 목원대 학생 2팀 수상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