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5. 대전 유성구 원신흥동 꽃집

  • 경제/과학
  • 중도 Plus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 상권 분석 5. 대전 유성구 원신흥동 꽃집

원신흥동 꽃집 2023년 11월 18곳, 전년보다 늘어
업소수 증가는 해당 업종 경기 좋다는 걸 의미
월 평균 매출액은 462만원으로 올해 들어 상승세
30대 매출 168만원으로 1위... 30대 마음 키포인트

  • 승인 2024-08-07 16:12
  • 수정 2024-08-28 10:59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원신흥동
대전 유성구 원신흥동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을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봤다. <편집자 주>



5. 대전 유성구 원신흥동 꽃집



직장인 김 모(43) 씨는 꽃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편해진다. 꽃의 종류부터 꽃말까지 줄줄 꿰차고 있다. 퇴근하면 남는 시간을 꽃과 함께 보내며 마음을 정화한다. 집안 곳곳엔 조그만 정원이 들어서 있다. 단순한 취미는 전문적인 영역까지 확대됐다. 플로리스트 자격증을 따냈다. 길을 가다가도 예쁜 꽃이 피어 있으면 사진을 찍으며 기뻐한다. 동료에게 꽃말을 알려주기도 한다. 김 씨는 나만의 작은 가게를 만들고 싶다. 꽃을 판매하는 것은 물론 작은 강의를 통해 꽃에 대한 생각을 소비자들과 공유하고 싶어 한다. 그런데 화훼 시장이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도 모르고, 꽃집 사장님이 된다면 고정적인 수익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란 불안감이 엄습한다. 수많은 식물, 꽃과 함께하고픈 마음은 포기할 수 없다. 그는 대전 유성구 원신흥동 꽃집이 궁금하다.



▲경쟁자는 얼마나=김 씨가 궁금한 유성구 원신흥동 꽃집은 2023년 11월 기준 18곳이다. 2022년 11월 14곳이던 꽃집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꾸준하게 들어서고 있다. 1년 전보다는 28.6% 증가한 수치이다. 전월대비 1곳 늘어나 5.9% 상승했다. 원신흥동 반경 1km 내 꽃집은 총 20곳이며, 유성구 전체로는 131곳이다. 대전 전체는 399곳으로 나타났다. 통상 업소수의 증가는 해당 업종의 경기가 좋을수록 증가한다. 업소수 추이는 업종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를 반영한다. 때문에 창업의사 결정이나 업소 운영 기간 결정 시 지표가 된다. 인근의 아파트 단지와 주택가가 모여 있고 꽃 배달까지 더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김 씨가 추구하는 꽃 관련 강의까지 함께하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매출은=유성구 원신흥동 꽃집의 한 곳 당 월평균 매출액은 2024년 5월 기준 462만원이다. 1년 전 519만원을 기록하던 것과는 다소 하락했으나, 올 3월 421만원까지 내려갔던 매출액이 4월 389만원으로 추락한 뒤 5월 들어 400만원대를 회복한 것을 놓고 보면 지속적 상승이 가능할 수 있다. 반경 1km 매출 월 평균액은 475만원, 유성구는 535만원, 대전 전체는 465만원이다. 원신흥동 꽃집은 2024년 5월 월평균 133개의 주문 건수가 들어오고 있다. 4월(104개)보다 늘어났다. 매출은 일반 식당 등과는 다르게 수요일이 131만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으며, 목요일이 31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나머지는 주중과 주말의 큰 편차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가 152만원으로 높았고, 오후 5시부터 밤 9시가 140만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매출은 남성이 207만원, 여성이 194만원이다. 연령대별로도 살펴보면 30대가 168만원으로 1위를, 40대 89만원, 50대 59만원, 20대 50만원 순이다. 30대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꽃집이 커질 수 있는 승산이 높아진다는 의미다.



▲유동인구는=잠재적 고객으로 분류되는 유동인구는 2024년 5월 기준 6만 6718명이다. 유동인구는 통신사 휴대전화 통화량을 바탕으로 전국 50M셀로 추정한 해당 월·일 평균 추정데이터다. 유동인구는 2024년 2월 4만 2790명에서 3월 5만 2638명, 4월 5만 7887명으로 늘어난 뒤 5월 들어 6만 명대를 회복하며 늘고 있다. 연령대는 40대가 1만 4861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 1만 4478명, 50대 1만 2434명, 30대 1만 495명, 20대 7317명, 10대 7165명 순이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7만 108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요일이 5만 8403명으로 낮았다. 나머지 요일은 6만 명대가 평균대로 기록되며 변동이 적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