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하추동]별유천지비인간

  • 오피니언
  • 춘하추동

[춘하추동]별유천지비인간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 회장

  • 승인 2024-11-05 17:01
  • 신문게재 2024-11-06 18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백향기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 회장
올해는 그림 그리고 전시에 참가하는 일상적인 본연의 일 외에 대규모 전시를 기획하고 실행하거나 각종 회의나 위원회 등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많아 화실에 박혀 그림 그리는 익숙한 일상과는 조금 다른 시간이 많았다. 그런 일들은 나름대로 필요한 일이기도 하고 또 보람도 있는 일이기도 해서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이라면 내 몫의 일을 하려고 마다하지 않고 기꺼이 하려고 하는 편이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취지로 일을 맡는다고 해도 이런 일들을 진행하다 보면 당연히 모든 것이 내 마음과 같이 움직여 나가는 것이 아니어서 조바심이 나기도 하고 걱정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정해진 시한에 쫓겨서 밤을 새거나 새벽까지 일을 하는 경우도 종종 생기게 된다. 말하자면 종종걸음치면서 이 일 저 일을 처리해 나가야만 하고 집에 와서까지도 여기저기에서 전화도 오고 또 내가 전화하기도 해서 일을 처리하고, 문서작업이나 그림 파일을 정리하는 등의 일들이 가득 쌓이게 된다.

나는 바쁘고 종종걸음치는 일이 반복되고 무엇인가에 쫓기면 이상하게 '도화유수묘연거 별유천지비인간(桃花流水杳然去, 別有天地非人間)이라는 한시 구절이 나도 모르게 떠오른다. 젊은 시절부터의 버릇같은 것인데 왜 그런지 알 수 없지만 바쁘고 스트레스 받는 일이 지속되면 이 시구절이 입에서 나도 모르게 되뇌여진다. 시구절이 떠오르면 자동적으로 양쪽으로 나무들이 휘어져 늘어져 있고 잔잔히 흐르는 넓지 않은 강물 위에 복사꽃이 흩날리고 하얀 점들이 떠내려 가는 장면이 머리 속에 그려진다. 이 시는 중학교 때 한문시간에 배워서 알게 된 것으로 기억되는데 유독 이 구절이 잊히지 않고 힘들고 지칠 때 마다 문득 문득 떠 오르는 것은 아마도 이 시구절이 담고 있는 시각적 이미지 때문이 아닌가 싶다. 강물 위에 하얀 꽃잎이 점점이 떠내려가는데 이곳은 이 세상이 아닌 별천지라고 했으니 힘들고 지친 일상에서 벗어나 저런 별천지로 가서 쉬고 싶다는 생각과 연결되는 듯하다. 일종의 도피같은 것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그러고 나면 마음이 조금 편안해진다.

나에게는 일종의 주문같은 것일 수도 있다. 그런데 시의 제목도 누가 지은 것인지도 기억이 나지 않고 이 두 구절만 선연하게 머리 속에 담겨 있어서 문득 궁금해서 찾아 보았던 적이 있다. 찾아보니 이 시는 당나라 시인인 이백(李白)의 산중문답(山中問答)이라는 시의 마지막 두 구절임을 알게 되었다. 앞부분은 문여하사서벽산(問餘何事棲碧山) 소이부답심자한(笑而不答心自閒)으로 되어 있다. 번역한 내용은 이러하다. "푸른 산에 깃든 마음 무엇이냐 물어와도, 답없이 웃을 뿐 마음은 절로 한가롭네, 복사꽃 띄운 물결 아득히 흘러가니, 여기가 바로 별천지 인간 세상 아니라네" 아마도 중학교 때 배우면서 앞 구절보다는 뒤의 두 구절이 구체적인 장면으로 더 강하게 마음 속에 각인되었던 듯하다. 누구나 바쁜 일상에 얽매여 살기보다는 세상의 욕심에서 벗어나 한적하고 여유로운 마음으로 한평생을 살고 싶은 마음이 없으랴만 실상 그렇게 사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산속에 마음 한가로이 사는 것이 꼭 행복할 것같지도 않다. 내 성격으로 보아 아마도 산속에서 홀로 살아가면 금방 싫증이 나고 적적해서 견디기 힘들 것같은 생각이 든다. 나 뿐 아니라 주위의 대부분 사람들이 그렇지 않을까 싶다. 그런데도 힘들고 지칠 때 마다 여전히 '도화유수묘연거 별유천지비인간(桃花流水杳然去, 別有天地非人間)' 라는 시구절이 나도 모르게 되뇌여지는 것은 참 묘한 일이다. 아마도 실제로 산속에 가서 살고 싶어서라기 보다는 그런 마음의 여유를 갖자고 스스로 다짐하는 것 아닌가 싶다.

번잡한 일상 속에서도 마음의 여유를 갖고 마치 이곳이 별천지와 같은 곳이라고 자꾸 다짐하면 정말 현실의 닥친 일들이 조금 여유를 갖게 변하지 않겠는가 하는 기대가 담겨 있을 것이다. 화엄경에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세상의 모든 일들이 일체 마음이 지어내는 것이라는 뜻이니 번잡하고 복잡한 일상들도 마음 먹기에 따라 별천지가 될 수도 있지 않겠는가? 모든 것이 마음 먹기에 달려 있으니 나는 이 시구를 요즘도 주문처럼 되뇌인다. '도화유수묘연거 별유천지비인간(桃花流水杳然去, 別有天地非人間)'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 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