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정시] 대전권 대학 경쟁률 상승세… 최종등록까지 이어질까

  • 사회/교육
  • 교육/시험

[2025학년도 정시] 대전권 대학 경쟁률 상승세… 최종등록까지 이어질까

주요 8개대학 평균 경쟁률 5.07대 1… 2024학년도 4.02대 1보다 1.05p ↑
우송대 167명 모집에 1152명 지원해 6.90대 1… 4.61대 1보다 2.29p 상승
의대증원 등 정원 늘린 충남대 4.89대 1로 지난해 4.96대 1보다 0.07p ↓

  • 승인 2025-01-05 18:02
  • 신문게재 2025-01-06 1면
  • 고미선 기자고미선 기자
표555
/지역대 자료종합
2025학년도 정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대전권 대학 경쟁률이 상승세를 나타냈다. 정시 모집정원이 크게 줄어든 탓으로, 합격자들의 막판 이탈을 고려하면 최종 등록까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5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일반대 8곳의 2025학년도 정시모집 인원은 3213명으로 총 1만 6296명이 지원해 5.0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평균 4.02대 1보다 1.05p 상승한 수치다.



가장 큰 폭으로 오름세를 보인 곳은 우송대로 167명 모집에 1152명이 지원해 6.9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2024학년도 4.61대 1보다 2.29p 늘었다. 배재대가 5.00대 1로 지난해보다 2.05p 상승하며 뒤를 이었고, 목원대 3.99대 1(+1.74p), 건양대 4.57대 1(+1.41p), 한밭대 6.99대 1(+1.11p), 대전대 4.49대 1(+0.98p), 한남대 5.76대 1(+0.74p) 순으로 마감됐다. 의대 증원 등 모집정원이 늘어난 충남대는 1234명 모집에 6029명이 지원해 4.89대 1로 지난해 경쟁률 4.96대 1보다 0.07p 하락했다.

대학별 학과를 들여다보면, 국립대인 충남대는 '가'군 일반전형에서 자율전공융합학부가 17.00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심리학과 12.50대 1, 문헌정보학과 12.00대 1로 확인됐다. '나'군 일반전형 가운데 사학과가 13.33대 1, 일어일문학과 12.33대 1, 국어국문학과 11.50대 1로 집계됐다. 의예과는 51명 모집에 226명이 지원해 4.43대 1을 기록했다. 44명 모집에 257명 지원으로 5.84대 1의 경쟁률을 보인 지난해보다 하락한 수치다.



한밭대의 경쟁률이 가장 높은 학과는 '다'군 일반전형의 인문사회경상학부로 19.83대 1로 마감됐고, '가'군에서는 일반전형의 건설환경공학과가 9.75대 1, '나'군에서는 일반전형의 창의융합학과가 14.50대 1로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

대전과 논산에 캠퍼스를 둔 건양대는 의과대학 의학과 8.18대1, 의과학계열 작업치료학과 11.00대1, 의료공과계열 의료신소재학과 10.67대1, AISW융합대학 인공지능학과 9.60대1, 군사경찰계열 국방경찰행정학부 7.29대1 등이다.

대전대의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학과는 한의예과로 13명 모집에 147명이 지원해 11.31대 1로 집계됐다.

목원대 학과별 경쟁률은 전기전자공학과 15.00대 1로 가장 높았고 애니메이션학과 14.50대 1, 게임콘텐츠학과 13.50대 1, 소방방재학과 13.00대 1, 실용음악학부 10.50대 1, 건축학부 10.00대 1 등이 뒤를 이었다.

배재대의 최고 경쟁률은 '나'군 일반전형 경영학과로 19명 모집에 304명이 지원서를 내 16대 1을 기록했다. 이어 '나'군 일반전형 의류패션학과가 3명 모집에 35명이 원서를 내 11.67대 1, '가'군 일반전형 경찰법학부(경찰학/법학)가 11.40대 1로 5명 모집에 57명이 지원했다.

우송대의 경우 철도시스템학부 철도소프트웨어전공 '가'군 15.67대 1, 외식조리학부 한식·조리과학전공 '나'군 14.50대 1, 외식조리학부 외식, 조리경영전공 '다'군 14.0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한남대 경쟁률 상위학과는 일반전형의 회계학과 10.0대 1, 호텔항공경영학과 9.50대 1, 사학과 9.50대 1, 건축공학전공 9.33대 1, 상담심리학과 9.33대 1 등이다.

대다수 지역대 정시 경쟁률이 상승했지만, 최종 등록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2025학년도 정시에선 지난해 4232명보다 1000여 명이 줄어든 3213명을 모집했고, 지원자도 1만 7028명에서 1만 6296명으로 감소했다.

지역대 관계자는 "상위권 대학 중복합격으로 연쇄 이동이 예상되는 만큼 차수별 충원 결과를 지켜봐야 최종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최초합격자 등록금 감면과 다양한 장학금 혜택을 신입생들에 홍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시모집 최초 합격자 발표는 2월 7일까지 진행된다. 대학들은 이후 최종 등록일인 2월 12일까지 충원 합격자 모집에 전력하게 된다.
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