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학교 체육시설, 굳게 닫힌 문] 학교 시설 개방 생활체육 활성화 열쇠, 걸림돌은 시민의식 부재?

  • 사회/교육
  • 교육/시험

[대전 학교 체육시설, 굳게 닫힌 문] 학교 시설 개방 생활체육 활성화 열쇠, 걸림돌은 시민의식 부재?

2. 생활체육인-학교관리자, 개방 놓고 입장차

  • 승인 2025-02-10 17:30
  • 수정 2025-02-10 21:37
  • 신문게재 2025-02-11 3면
  • 오현민 기자오현민 기자
KakaoTalk_20250210_155233219_01
학교 내 다목적강당이 비어 있는 모습. /사진=오현민 기자
[글 싣는 순서]

1. 코로나 이후 반짝했던 개방률 다시 감소세
2. 생활체육인-학교관리자 개방 놓고 입장차
3. 행·재정 인센티브 지원 조례 제정, 해법될까
4. 학교복합시설 모델로 거버넌스 구축 필요



대전 학교 체육시설 개방률이 주춤하는 가운데 개방 활성화를 놓고 생활체육인과 학교관리자의 입장이 첨예하게 갈린다. 학교시설을 활용한 생활체육 증진 필요성이 제기되는 반면 학교 측은 외부인에 개방 후 시설물 관리가 어려워졌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24년 12월 공개한 '2024년 국민생활체육조사'에 따르면 2023년 9월부터 2024년 8월까지 국민 생활체육 참여율은 60.7%다. 2020년 60.1%에서 2023년 62.4%까지 상승곡선을 그렸지만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생활체육인들은 민간 체육시설에 비해 학교 체육시설의 대관료가 저렴하고 접근도 편리해 학교 체육시설을 애용하고 있다. 그러나 2024년 12월 기준 대전 내 다목적강당을 보유한 학교 294곳 중 67곳이 미개방하고 있다. 운동장의 경우 295곳 중 27곳이 미개방 상태다. 교육청이 내놓은 미개방 사유로는 학생·교직원 안전 보호, 기숙사 운영, 관리·보안상 어려움, 인근 주민의 민원에 따른 미개방 등이다.

생활체육인들은 학교 체육시설 개방을 확대해 시민들에게 체육활동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성구를 근거지로 한 배드민턴 동호회 회장을 맡고 있는 A씨는 "일반인들이 운동할 기회와 공간이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다"라며 "헬스클럽 등 혼자 하는 운동은 많지만 다 같이 모여서 할 수 있는 종목을 위해선 학교 개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선학교는 시민의식 부재를 가장 큰 문제로 꼽으며 체육시설 개방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일부 학교에서는 시설 사용 후 정리되지 않은 쓰레기나 훼손된 장비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의 한 교사는 "주말에 학교 강당을 빌려준 후 월요일 아침에 체육수업을 하러 강당에 들어서면 정돈이 안 된 경우가 많다"며 "당장 수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학생들과 교사가 청소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동호회 관계자는 "운동 후 대걸레로 바닥 청소를 하고 동호회비로 쓰레기봉투를 구입해 수거하고 있다"며 "쓰레기봉투가 다 차면 밖에 내놓고 문단속까지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 관리자는 외부인이 시설 이용 후 정돈을 철저히 하는 등 학생들에게 모범을 보인다면 개방에 반대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장순 대전중등교장협의회장(대전고 교장)은 "이용자들이 학교 시설을 소중히 다루고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여 서로 신뢰를 쌓고 학생들의 본보기가 된다면 체육시설 개방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강풍 피해 잇따라…용산동 상가 공사 현장 크레인 전도
  2. 대전교육청, 청렴도 1등급 도전한다… 2025 반부패·청렴정책 기본계획 발표
  3. 대전외고 총동문회, 설립 30주년 맞이 '홈커밍데이' 행사 진행
  4. 2026학년도 수능 '킬러문항 배제' 적정 난이도 출제… EBS 연계율 50% 유지
  5. "3월인데 에어컨 틀었다"… 26일 충청권 역대 3월 최고기온
  1. 40년 지난 비위생매립장서 침출수가 졸졸 흘러…보고서엔 '카드뮴 검출'
  2. [사설] 재앙적 산불에 인명·국가 유산 '참화'
  3. 청년사업가들의 따뜻한 나눔… '열두별 봉사단' 첫번째 봉사활동 나서
  4. [사설] 태안-안성고속도 적격성 조사 통과돼야 한다
  5.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전국에 '심각' 단계 발령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무죄에 與野 반응 극과 극

이재명 공직선거법 2심 무죄에 與野 반응 극과 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것과 관련 여야 반응은 극과 극으로 엇갈렸다. 민주당은 법원 판단에 대해 일제히 환영하면서 "위대한 국민승리, 정치검찰 사망선고" 등의 표현으로 자축했고 국민의힘은 대단히 유감스럽다는 반응 속에 대법원에서 파기환송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사법정의실현 및 검찰독재대책위원장인 전현희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윤석열 검찰 독재정권의 정적 제거에 부역한 내란공범 정치검찰의 조작 수사, 억지 기소였음이 판명 났다"고 썼다. 그는 "정의가 승리한 사필귀정 판..

충청권 아파트 4월 2677세대 입주… 공급 부족 현실화 우려
충청권 아파트 4월 2677세대 입주… 공급 부족 현실화 우려

4월 충청권에서 2600여 세대의 아파트가 입주한다. 대전을 포함한 지방 아파트 입주 물량이 소폭 줄면서 주택 공급 부족이 현실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26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4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1만 3814세대로 이 중 지방은 9747세대다. 충청권에선 2677세대가 입주한다. 대전은 1740세대 입주한다. 이는 광주(2392세대), 인천(2143세대)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물량이다. 이밖에 충북과 충남은 각각 644세대, 293세대이며, 세종 입주 물량은 없다. 대전의 입주 단지를 보면,..

병마와 맞선 老화백의 `라스트 댄스`… 지켜준 30년 우정
병마와 맞선 老화백의 '라스트 댄스'… 지켜준 30년 우정

30여 년 간 우정을 쌓아온 지인들이 은퇴를 앞둔 70대 시각장애 노(老) 화백의 고별전을 열어줘 감동을 주고 있다. 더 이상 붓을 들 수 없는 예술가의 아름다운 '라스트 댄스'를 위해 만든 무대로 더욱 뜻깊게 다가오고 있다. 26일 취재에 따르면 민동기 작가의 고별전 '바람소리Ⅱ'가 4월 3일부터 9일까지 일주일간 대전 중구문화원에서 열린다. 이번 고별전은 민 작가의 지난 40여 년간의 예술 여정을 되돌아보는 자리로, 그의 지인들이 존경심을 담아 직접 마련한 특별한 행사다. 이 고별전은 단순한 전시가 아니라, 한 예술가의 인생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무럭무럭 자라렴’ ‘무럭무럭 자라렴’

  • 베일 벗은 첫 대전시청사, 원형복원사업 현장 공개 베일 벗은 첫 대전시청사, 원형복원사업 현장 공개

  • 강풍에 쓰러진 크레인…시민 한 명 부상 강풍에 쓰러진 크레인…시민 한 명 부상

  • 천안함 46용사 묘역 찾은 한동훈 전 대표 천안함 46용사 묘역 찾은 한동훈 전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