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자영업 스토리] 대전 헤비츠 갤러리 카페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우리동네 자영업 스토리] 대전 헤비츠 갤러리 카페

속이 뻥 뚫리는 자연경관과 함께하는 헤비츠 카페
대전 지역 작가들 전시품과 커피, 음악을 동시에

  • 승인 2025-04-16 10:15
  • 수정 2025-04-16 10:30
  • 신문게재 2025-04-17 10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KakaoTalk_20250415_225009637_04
동네를 산책하다 보면 한 번쯤은 본 듯한 카페와 식당 등이 눈에 익는다. 언젠가 한 번 가보겠다는 생각에 스치면 다른 업종으로 바뀌기도 한다. 새 업종이 들어오면 궁금하던 찰나에 영업을 종료한다. 손쉽게 바뀌는 자영업의 생태계 속에 이를 바라보는 지역민들은 어떤 스토리로 가게가 만들어졌는지, 가게만의 장점은 무엇인지 궁금한 이들이 많다. 하지만 막상 발길이 닿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방문 전 그곳만의 스토리와 강점 등을 자세히 안다면 가게를 방문하는 데 거리낌이 없어진다. 자연스레 발길이 닿고, 자영업자는 매출이 오르고, 지역에서 돈이 돌며 경제 선순환이라는 구조로 이어지게 된다. 이에 중도일보는 동네 곳곳마다 있는 자영업자들의 스토리와 가게만의 장점 등을 조명해봤다. <편집자 주>

KakaoTalk_20250415_225009637_11
대전 유성구 현충원에서 동학사를 가는 길목에 자리한 '헤비츠 갤러리 카페'는 편안한 자연경관 속에 자리하고 있다. 도심 속 삶에 치여 바삐 돌아가는 세상 속에 마음을 정화시켜준다. 외관은 깔끔하고 단정하게 정돈된 옛 시골 주택의 모습을 하고 있다. 넓은 주차 공간에 그간 사람이 북적이던 도심 속에서 받는 주차 스트레스도 없다. 야외에 마련된 넓은 공간의 테크와 의자, 테이블은 좋은 날씨 좋은 사람들과 대화하며 웃음꽃을 만개시킨다. 안으로 들어서면 쉽게 만나볼 수 없는 대전 작가들의 작품들이 카페 곳곳에 진열됐다. 외부는 한옥, 내부는 유럽풍이다. 작품은 적게는 수십만 원부터 많게는 수 천만 원, 억 단위에 달한다. 고풍스럽게 들리는 음악은 카페와 한껏 어우러진다. 한 잔의 커피와 넓은 테이블, 소파, 음악까지 어우러지면 마음이 정화된다. 고객의 취향을 고려한 다양한 메뉴도 눈에 띈다. 아메리카노와 카프치노, 모카라떼, 돌체라떼, 바닐라라떼, 콘파냐, 모카 콘파냐 등 커피 종류가 다양하다. 여기에 망고·딸기·아보카도·블루베리라떼도 있다. 청귤·오미자·패션 후르츠에이드도 있다. 커피가 취향에 맞지 않는 이들은 자색고구마·미숫가루·크림단팥·크림초코·말차라떼, 유자 레몬차, 청귤차, 밀크티 등도 있다.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술도 있다. 없는 것 빼고 다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헤비1
헤비츠 갤러리 카페는 일반 카페와는 분위기가 다르다. 어떻게 카페에 갤러리를 접목했을까. 맹현열 헤비츠 갤러리 카페 대표는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을 카페를 통해 손님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출발했다고 설명한다. 수많은 작품을 감상하는 일반 갤러리는 테이블이나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마련인데, 카페에 갤러리를 접목하면 앉아서 편하게 쉬며 차와 함께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 만들어진다고 덧붙였다. 맹 대표는 "2021년부터 카페를 시작했고, 손님들과 함께 그림을 접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시작했다"며 "테이블에 손님과 같이 앉아 작가님들과도 함께 소통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갤러리 카페에선 작품 판매도 이뤄진다. 한 작가만의 작품이 전시되는 게 아닌, 한 달에 한 번씩 작품이 바뀐다. 그때마다 카페 인테리어도 달라진다. 작품에 따라 각기 다른 분위기로 내부가 변한다. 그때마다 카페를 방문해 바뀌는 일련의 과정을 즐기는 것도 색다르다.



헤비2
마음에 드는 작품이 있다면 구매도 할 수 있다. 가격이 저마다 다르니 사전 문의는 필수다. 마음에 드는 작품은 바라보다 소장하고 싶은 마음이 강하게 들 때가 있다고 맹 대표는 설명했다. 그는 "기억에 나는 손님 중에 한 달간 한 작품만 계속 보시던 분이 있었는데, 그림을 보다 보면 소장 욕구가 강하게 들 때가 있는데, 구매가 어렵다면 카페에서 편안하게 봐주시는 것도 좋다"며 "그림을 좋아해 주시는 분들은 자주 오시고, 작가들끼리도 소통하고 그림에 관심을 두지 않는 손님분들도 왔다가 빠져드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커피 한잔으로 고즈넉한 분위기와 고가의 작품, 음악을 모두 즐기는 곳은 지역에서 유일하지 않을까. 맹 대표는 차를 먹지 않아도 누구나 입장료 없이 와서 보고 가도 된다고 미소를 지었다. 그는 갤러리를 정식으로 한 번 내보고 싶다. 맹 대표는 "누구나 입장료 없이 오셔서 그림을 보셔도 되고, 굳이 차를 안 드셔도 볼 수 있도록 만든 카페가 바로 헤비츠 갤러리 카페"라며 "갤러리를 정식으로 해볼까 하는 생각도 있고, 대전 작가들이 넓은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활성화 차원에서도 고민 중"이라고 했다.

KakaoTalk_20250415_225055507
맹현열 헤비츠 갤러리 카페 대표.
그는 작가들의 그림을 통해 편안함을 담아갔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맹 대표는 "통상 그림에는 많은 분이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은데, 정말 실력 있는 작가들이 많아 편안한 마음으로 눈에 그림을 담아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라며 "작가들은 작품 판매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는데, 소비자와의 징검다리 역할을 헤비츠 갤러리 카페에서 이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7차 지역정책포럼
  1.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2.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3.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4.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5.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대전사랑카드 7월1일부터 본격 운영

  •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 더위 피하고 밥값 아끼고…구내식당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