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일 국세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 최근 5년간 100대 생활업종 통계를 분석해 창업 후 사업을 지속하는 생존율 통계를 국세통계포털에 공개했다. 100대 생활업종의 1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77.9%로 집계됐다. 2019년 77.8%에서 2022년까지 매년 소폭 상승하며 79.8%까지 오르다, 2023년 들어 낮아졌다. 2020년 창업 후 2023년까지 사업을 유지한 3년 생존율은 2023년 기준 53.8%였다. 5년 생존율은 39.6%다. 창업하고 3년 뒤 살아남은 사업자는 절반가량이며, 5년이 지나면 10명 중 4명만이 창업을 유지하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100대 생활업종 가운데 신규 사업자 수가 많은 창업 관심업종 20개를 분석해보면 2023년 기준 1년 생존율이 높은 업종은 미용실(91.1%), 펜션·게스트하우스(90.8%), 편의점(90.3%)으로 나타났다. 통신판매업(69.8%), 화장품 가게(74.2%), 식료품 가게(77.3%)는 생존율이 낮았다. 각각 30.2%, 25.8%, 22.7%가 창업 후 1년 내 폐업한 것이다.
3년 생존율 역시 미용실(73.4%), 펜션·게스트하우스(73.1%)에서 높았으며 교습학원(70.1%)도 70%를 웃돌았다. 100대 생활업종 3년 생존율 평균(53.8%)보다 높은 수준이다. 3년 생존율이 낮은 업종은 통신판매업(45.7%), 분식점(46.6%), 치킨·피자집 등 패스트푸드점(46.8%) 순으로 집계됐다. 통신판매업과 분식점, 치킨·피자집 등 패스트푸드점의 경우 창업이 여타 업종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만큼 지역 곳곳에서 같은 업종이 생겨나다 보니 경쟁이 밀린 업체 등은 폐업 수순으로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년 생존율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세 미만 사업자는 미용실(73.9%)에서 높았으며, 40∼60세와 60세 이상은 펜션·게스트하우스에서 각각 73.8%, 76.3%로 가장 높았다. 생존율이 낮은 업종으로는 40세 미만에서는 분식점(41.9%)이, 40~60세와 60세 이상은 호프주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3년 생존율을 업종 간 비교해보면, 2023년 기준 편의점은 69.1%, 소규모 소매 점포인 식료품가게는 54.3%다. 두 업종은 생활업종 3년 생존율인 53.8%보다 높았다. 또 제과점이 3년 생존율이 58.5%로 관련 업종 중에는 가장 높았다. 이어 커피음료점 53.2%, 피자·햄버거 전문점 51.0%, 치킨전문점 45.4% 순이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