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시의회가 민주당 의원들 간 빚어진 문제로 요동치고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
모두 같은 당 동료 의원들 사이에서 빚어진 일들이라 뼈아픈 대목이다. 2026 6.3 지방선거에 앞서 조직 재정비 과정이 될 지, 갈등의 도화선으로 이어질 지 주목된다.
민주당 시당은 5일 밤 윤리심판원 회의를 열고, 소속 시의원들을 둘러싼 2건의 징계 심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A 시의원의 동료 남성 B 시의원에 대한 성추행 의혹(2022년 8월~) ▲C 시의원의 동료 여성 D 시의원과 집행부 등에 대한 갑질 및 폭언(2025년 상반기~) 문제 제소 건으로 요약된다.
성추행 의혹은 3년째 법원 심의를 거쳐 지난 달 24일 대전 지방법원을 통해 A 시의원에 대한 징역 1년 6개월 선고(강제 추행과 무고 혐의)로 이어졌다.
국민의힘 의원들도 포함된 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위원장 국힘 김충식·부위원장 민주당 이현정 의원)는 이에 앞선 4일 A 의원에 대한 제명을 의결했다. 법원의 1심 판결을 근거로 삼았다.
최종 의결은 8일 열리는 제100회 임시회 2차 본회의 과정에서 판가름난다. 이해 당사자인 A 의원과 B 의원, 또 다른 문제를 제기한 E 의원을 제외한 17명 시의원의 최종 투표 결과 3분 2 이상인 14명 동의가 있어야 한다. 가결될 경우, A 의원은 의원직을 상실한다.
A 의원은 지난 4일 자친 탈당계를 제출한 만큼, 일단 윤리심판원의 징계 대상엔 오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해 시당은 당헌·당규상 징계 회피를 위한 탈당은 인정될 수 없어 정상 심의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시당 윤리심판원이 이날 어떤 판단을 내릴지는 지켜봐야 한다. 징계 수위는 당원 자격 박탈과 정지 등의 범위에서 다뤄질 전망이다.
C·D 시의원에 대한 징계는 좀 더 소명 절차를 거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양측 간 주장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사회 일각에선 어떤 식으로 2명 시의원에 대한 징계 절차가 수반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내부 보안 사항이 C·D 시의원 등에 의해 외부로 공표된 정황에서다.
시당 윤리심판원은 이날 밤 또는 6일 오전 언론을 통해 최종 결론을 공개할 계획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