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전국 노래자랑이 던지는 대선 메시지

  • 정치/행정
  • 세종

[세상읽기] 전국 노래자랑이 던지는 대선 메시지

1980년부터 45년 간 최장수 프로그램 입지 굳힌 '전국 노래자랑'
모두가 수도권으로 시선 집중...송해 선생과 제작진은 '인지방'으로 역선택
대선은 지방살리기의 골든타임...소멸위기의 지방을 먼저 보는 후보는 어디에?

  • 승인 2025-05-07 11:32
  • 수정 2025-05-08 15:30
  • 신문게재 2025-05-08 18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BBSIMAGE_20240407070932_71b46b0b174c3157c8928b2831a2dde2
경기 시흥시 편. 사진=KBS 전국 노래자랑 누리집 갈무리.
1980년 11월 9일 첫 방송을 시작으로 45년간 매주 일요일 우리 곁을 찾아오는 방송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KBS 전국 노래자랑이다.

1950년대 라디오와 1970년대 전국 쟁탈 노래자랑의 바통을 이어받아 명맥을 잇고 있다. 국내를 넘어 재외 동포들이 있는 뉴욕 등의 전 세계로도 진출했다. 2003년에는 평양에서 남북통일의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무려 2114회 방송을 거치며 예심에만 85만여 명의 국민들이 참여하는 기록도 세웠다.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만의 끼와 재능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은 울고 웃었다.

'명불허전의 국내 최장수 프로그램'이란 수식어가 아깝지 않다. 숨은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일반인을 대상으로 참여 문턱을 낮추고, 지방 곳곳의 숨은 고수(?)를 눈으로 확인하는 묘미가 우선 쏠쏠했다. 인기 절정의 임영웅과 송가인, 이찬원 등의 트롯 스타들도 이 무대를 등용문으로 삼았다. 故 송해 선생의 따뜻한 인간미와 재치 있는 입담도 빼놓을 수 없다. 1988년 5월부터 2022년 6월까지 무려 34년간 한 자리를 지키며 국민 MC란 칭호도 얻었다.

프로그램의 매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감히 단언컨대 '지방 살리기' 가치 지향이 불멸의 신화를 쓰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정치·경제·사회·문화에 걸친 시선이 모두 '인 서울'을 향할 때, 전국 노래자랑은 '인 지방'으로 역선택을 했다. 실제 전국 곳곳을 순회하며 지역 문화와 명소를 소개했고, 이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이란 시대적 과제 해결에 톡톡히 기여했다.

'혼자 가면 빨리 가고, 여럿이 가면 멀리 간다'는 말이 있다.

서울 일극 체제는 혼자서 빨리 가는 길이다. 오죽하면 수도 서울의 초집중·과밀을 '폐해이자 망국병'이라고 표현할까. 반대로 지방을 함께 살리며 가는 발걸음이 바로 여럿이 멀리 가는 지름길이다. 그래야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미래가 열리지 않겠는가.

송해 선생과 전국 노래자랑 그리고 제작진이 걸어온 그 길 역시 여럿이 멀리 가는 통로로 삼고 싶다. 이들이 머물고 간 지방의 구석구석과 맛집들은 또 다른 명소가 됐다.

이 같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소멸은 가속화하고 있다. 자칫 전국 노래자랑의 명맥도 끊어질 위기에 놓여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송해 선생의 발자취를 따라가겠다"는 공언을 한 후임 MC 남희석과 제작진의 어깨가 무거워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담은 갖지 마시라.

청와대
서울 청와대 전경. 정치 권력은 6.3 대선을 통해 청와대 복귀를 공언하며, 국가균형발전의 역사를 퇴행으로 되돌리려 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진짜 짐을 지어야 할 주체는 따로 있다. 바로 국민들의 뜻을 섬겨야 할 정치 권력이다.

정치권은 1977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백지계획'과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행정수도 이전 계획' 등의 명맥을 진정성있게 잇지 못했다

이 때문에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해소 가치는 현재 정체 상태에 있다. 방송 프로그램으로 얘기하면, 시청률 저조로 종영 위기에 놓여 있다.

2012년 세종시부터 12개 혁신도시 조성에 기대를 걸었지만, 수도권은 이를 비웃듯 2020년 사상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빨아들였다.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든 '난공불락의 철옹성'을 더욱 공고히 구축하고 있다.

지방의 국민들은 2025년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지방 살리기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다. 적재적소의 심폐소생술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는 극단적 관측도 내놓고 있다.

대선까지 26일을 앞둔 현재의 모습은 실낱같은 희망의 끈마저 놓게 한다. 일례로 각 당의 유력 대선 주자들은 앞다퉈 '청와대와 용산 대통령실 복귀'를 현실적 선택지로 두고 있다. '세종시로 완전한 이전'은 여전히 이상향으로 치부한다. 1392년 조선시대 한양부터 633년간 굳어진 '수도 서울=관습헌법'의 잣대를 아직도 소환하고 있다.

또 다른 절반인 지방을 먼저 바라보는 '대통령 후보'는 눈을 씻고 봐도 안보인다. 미래를 위한 결단과 특단의 조치 없이는 지방도 없다. 수도권 주민들 다수의 고향도 지방에 있지 않은가. 정치적 최장수를 원한다면, 그 길은 이미 열려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유성복합터미널 경영은 누구에게? 사업권 입찰 소식에 교통업계 '관심'
  3. 진천고, 충주예성여고…교육부 신규 자율형 공립고 선정
  4. '차량에 보조장치' 세종시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막는다
  5. [현장취재]충남대 총동창회 골프대회에서 학교 발전기금 2000만원 기탁
  1. '金金金金' 세종 장애인 유도선수단 잘 나가네~
  2. 충북 치료가능 사망률 전국 '꼴찌'…"지역 의료체계 강화 필요"
  3. 월드비전 대전세종충남사업본부-더오래치과, 꿈꾸는아이들 대상 치과 탐방 및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료
  4.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8월27일 수요일
  5. 공장 사망사고 기업대표, 항소심서 징역형 법정구속

헤드라인 뉴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구상 실행… 주변도 지각변동 온다

대통령 세종 집무실(최대 25만㎡)과 국회 세종의사당(최대 63만㎡), 시민 공간(최대 122만㎡)을 포함한 210만㎡로 조성되는 '국가상징구역'. 국가상징구역에 대한 마스터플랜 공모가 29일 본격화하면서, 이의 주변 지역에도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국가 최고 권력 기관이 들어서는 입지 인근인 데다 사무공간과 상업시설, 오피스텔 등의 주거 기능, 공원, 문화, 교육, 휴식 등이 어우러질 시민 공간(역사+정신+정체성 내포)이 새로운 콘셉트로 등장한 만큼, 세종동(S-1생활권)과 6생활권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도입과 세부 계..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