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 시흥시 편. 사진=KBS 전국 노래자랑 누리집 갈무리. |
1950년대 라디오와 1970년대 전국 쟁탈 노래자랑의 바통을 이어받아 명맥을 잇고 있다. 국내를 넘어 재외 동포들이 있는 뉴욕 등의 전 세계로도 진출했다. 2003년에는 평양에서 남북통일의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무려 2114회 방송을 거치며 예심에만 85만여 명의 국민들이 참여하는 기록도 세웠다.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만의 끼와 재능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은 울고 웃었다.
'명불허전의 국내 최장수 프로그램'이란 수식어가 아깝지 않다. 숨은 비결은 어디에 있을까.
일반인을 대상으로 참여 문턱을 낮추고, 지방 곳곳의 숨은 고수(?)를 눈으로 확인하는 묘미가 우선 쏠쏠했다. 인기 절정의 임영웅과 송가인, 이찬원 등의 트롯 스타들도 이 무대를 등용문으로 삼았다. 故 송해 선생의 따뜻한 인간미와 재치 있는 입담도 빼놓을 수 없다. 1988년 5월부터 2022년 6월까지 무려 34년간 한 자리를 지키며 국민 MC란 칭호도 얻었다.
프로그램의 매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감히 단언컨대 '지방 살리기' 가치 지향이 불멸의 신화를 쓰고 있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정치·경제·사회·문화에 걸친 시선이 모두 '인 서울'을 향할 때, 전국 노래자랑은 '인 지방'으로 역선택을 했다. 실제 전국 곳곳을 순회하며 지역 문화와 명소를 소개했고, 이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이란 시대적 과제 해결에 톡톡히 기여했다.
'혼자 가면 빨리 가고, 여럿이 가면 멀리 간다'는 말이 있다.
서울 일극 체제는 혼자서 빨리 가는 길이다. 오죽하면 수도 서울의 초집중·과밀을 '폐해이자 망국병'이라고 표현할까. 반대로 지방을 함께 살리며 가는 발걸음이 바로 여럿이 멀리 가는 지름길이다. 그래야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미래가 열리지 않겠는가.
송해 선생과 전국 노래자랑 그리고 제작진이 걸어온 그 길 역시 여럿이 멀리 가는 통로로 삼고 싶다. 이들이 머물고 간 지방의 구석구석과 맛집들은 또 다른 명소가 됐다.
이 같은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지방소멸은 가속하고 있다. 자칫 전국 노래자랑의 명맥도 끊어질 위기에 놓여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송해 선생의 발자취를 따라가겠다"는 공언을 한 후임 MC 남희석과 제작진의 어깨가 무거워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부담은 갖지 마시라.
![]() |
서울 청와대 전경. 정치 권력은 6.3 대선을 통해 청와대 복귀를 공언하며, 국가균형발전의 역사를 퇴행으로 되돌리려 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
정치권은 1977년 빅정희 전 대통령의 '백지계획'과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행정수도 이전 계획' 등의 명맥을 진정성있게 잇지 못했다
이 때문에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해소 가치는 현재 정체 상태에 있다. 방송 프로그램으로 얘기하면, 시청률 저조로 종영 위기에 놓여 있다.
2012년 세종시부터 12개 혁신도시 조성에 기대를 걸었지만, 수도권은 이를 비웃듯 2020년 사상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빨아들였다.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든 '난공불락의 철옹성'을 더욱 공고히 구축하고 있다.
지방의 국민들은 2025년 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지방 살리기의 골든타임으로 보고 있다. 적재적소의 심폐소생술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는 극단적 관측도 내놓고 있다.
대선까지 26일을 앞둔 현재의 모습은 실낱같은 희망의 끈마저 놓게 한다. 일례로 각 당의 유력 대선 주자들은 앞다퉈 '청와대와 용산 대통령실 복귀'를 현실적 선택지로 두고 있다. '세종시로 완전한 이전'은 여전히 이상향으로 치부한다. 1392년 조선시대 한양부터 633년간 굳어진 '수도 서울=관습헌법'의 잣대를 아직도 소환하고 있다.
또 다른 절반인 지방을 먼저 바라보는 '대통령 후보'는 눈을 씻고 봐도 안보인다. 미래를 위한 결단과 특단의 조치 없이는 지방도 없다. 수도권 주민들 다수의 고향도 지방에 있지 않은가. 정치적 최장수를 원한다면, 그 길은 이미 열려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