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출산도 늘고 결혼도 늘었다…인구 반등 신호 켜지나

  • 정치/행정
  • 대전

충청권 출산도 늘고 결혼도 늘었다…인구 반등 신호 켜지나

대전 전년 동기간 대비 3월 출산률 10.5%, 혼인률 28.5% 증가
세종 여성 1명당 자녀 1명 이상 낳아…인구대비 출생률도 1위

  • 승인 2025-05-28 16:59
  • 신문게재 2025-05-29 2면
  • 최화진 기자최화진 기자
C0A8CA3C0000016445537134000369D5_P4
사진=연합뉴스
충청권이 저출산 기조 속에서도 출산과 혼인 지표에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다.

대전은 혼인과 출생 모두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했으며, 세종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자연 증가해 젊은 도시의 면모를 다시금 입증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5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3월 기준 대전의 출생아 수는 664명으로 전년 동월(601명) 대비 10.5% 증가했다. 세종은 262명, 충남 890명, 충북 697명으로 모두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은 세종이 7.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대전이 5.5명으로 세종과 제주(5.6명)를 이어 전국 3위를 기록했다. 충남은 4.9명, 충북은 5.2명으로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은 4.9명이었다.



올 1분기 합계출산율(가임여자 1명당 출생아 수) 역시 세종이 1.14명으로 전국 최고치를 나타냈다. 전국에서 가임여성 1명당 자녀 1명 이상 낳은 지역은 세종과 전남(1.13명) 단 두 곳뿐이다. 대전은 0.85명, 충남은 0.96명, 충북은 0.99명으로 전국 평균(0.82명)을 웃돌았다.

1분기 누적 출생아 수는 대전 1935명, 세종 785명, 충남 2665명, 충북 2094명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7%, 2.2%, 7.4%, 9.2%씩 증가했다.

반면 사망자 수는 출생아 수를 넘어 대부분 지역에서 자연감소가 이어졌다.

3월 기준 사망자 수는 대전이 740명, 세종 138명, 충남 1678명, 충북 1254명이었다.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은 충남과 충북이 나란히 9.3명으로 가장 높았고, 대전은 6.1명, 세종은 4.2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3월 자연증감 수치는 세종만 유일하게 인구가 순증했다.

세종은 출생자 수가 사망자 수를 앞서며 124명이 순증을 기록했고, 대전·충남·충북은 각각 76명, 788명, 557명 자연감소했다. 전국적으로도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모두 인구가 줄었다.

한편 올해 3월 전국 출생아 수는 2만 1041명으로 1년 전보다 1347명(6.8%) 증가했고, 사망자 수는 3만 1141명을 기록하며 1만 100명이 자연 증감했다.

혼인율에서도 대전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3월 혼인 건수는 대전 702건으로 전년(546건)보다 28.5% 증가했다. 세종은 147건, 충남은 799건, 충북은 598건이었다.

조혼인율(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은 대전이 5.8건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5건대를 기록했으며, 세종과 충남·충북은 모두 4.4건으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1분기 누적 혼인 건수로 봐도 대전의 증가세는 뚜렷하다. 대전은 210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568건)보다 34.3%나 급증했다. 10% 이상의 증가세를 보인 서울과 부산을 제외하고 모두 한 자리수의 증가 또는 감소한 가운데 대전은 유일하게 30%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다.

한편 3월 전국 혼인 건수는 1만 9181건으로 1년 전(1만 7198건)보다 1983건(11.5%) 늘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셔츠에 흰 운동화차림' 천태산 실종 열흘째 '위기감'…구조까지 시간이
  2. 노노갈등 논란에 항우연 1노조도 "우주항공청, 성과급 체계 개편 추진해야"
  3.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홍성공업고, 산학 결합 실무중심 교육 '현장형 스마트 기술인' 양성
  4. 대전 중구, 국공립어린이집 위·수탁 협약식 개최
  5. 충청권 국립대·부속병원·시도교육청 23일 국정감사
  1. '충남 1호 영업사원' 김태흠 충남지사, 23일부터 일본 출장
  2.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3. 대전관평초 '학교도서관 운영 유공' 국무총리 표창
  4.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5. 대전권 대학 산학협의체, ‘한국-베트남 글로벌 청년 경진대회 행사 개최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대전시-KAIST 국내 최대 양자팹 구축 착수

국내 최대 규모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이하 개방형 양자팹) 구축에 대전시와 KAIST가 나섰다. 대전시와 KAIST는 23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KAIST 이광형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KAIST 본원에서 '개방형 양자팹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양자 산업화 시대를 대비한 필수 기반 시설인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마련됐다. KAIST '개방형 양자팹' 구축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의 첨단 양자팹 건립과 양자 인프라 시설 및 장비 구축을 포함한 사업으로, 2031년까지 국비 2..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개물림 피했으나 맹견 사육허가제 부실관리 여전…허가주소와 사육장소 달라

대전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목줄을 끊고 탈출해 대전시가 시민들에게 재난안전문자를 발송한 사건에서 견주가 동물보호법을 지키지 않은 정황이 여럿 확인됐다. 담장도 없는 열린 마당에 목줄만 채웠고, 탈출 사실을 파악하고도 최소 6시간 지나서야 신고했다. 맹견사육을 유성구에 허가받고 실제로는 대덕구에서 사육됐는데, 허가 주소지와 실제 사육 장소가 다를 때 지자체의 맹견 안전점검에 공백이 발생하는 행정적 문제도 드러났다. 22일 오후 6시께 대전 대덕구 삼정동에서 맹견 핏불테리어가 사육 장소를 탈출해 행방을 찾고 있으니 조심하라는 경고 재난..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2025 국감] 적자에 차입금 부담만 커져… 충남대병원 재정문제 도마 위

차입금 부담만 수천억 원에 달하는 충남대병원의 누적 적자액이 1300억 원이 넘고 재원 환자도 줄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23일 충북대에서 연 충남대·충북대·부속 병원 국정감사에서다. 이날 오전 피감기관 대표로 조강희 충남대병원장과 김원섭 충북대병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문정복(더불어민주당·경기 시흥갑) 의원은 "누적적자가 충남대병원은 1374억 원, 충북대병원은 1173억 원"이라며 "독립 재산제로 운영되는 국립대병원에서 차입금 상환은 어떻게 할 것이냐"며 따져 물었다. 최근 3년간 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유등교 가설교량 안전점검

  •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자랑스런 우리 땅 독도에 대해 공부해요’

  •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상서 하이패스 IC 23일 오후 2시 개통

  •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 한화이글스 우승 기원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