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 폭우 피해 농가·제조업체 복구에 총력 지원

  • 전국
  • 홍성군

홍성군, 폭우 피해 농가·제조업체 복구에 총력 지원

산림재해 스피드봉사대 긴급 투입, 침수된 딸기밭 및 토사 유입된 공장 신속 복구

  • 승인 2025-07-21 09:36
  • 김재수 기자김재수 기자
홍성군
홍성군 스피드봉사대는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딸기 재배농가와 지역 제조업체에 대한 긴급 복구지원에 나섰다.
홍성군은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를 입은 딸기 재배 농가와 지역 제조업체에 대한 긴급 복구 지원에 나섰다.

군은 산림재해 스피드봉사대를 투입하여 피해 현장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16일부터 시작된 국지성 폭우로 인해 금마면 화양리 일대의 딸기 하우스가 침수되고 배수 시설이 파손되는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이루어졌다. 또한 인근 제조업체 2곳도 갑작스러운 폭우로 건물 주변과 공장 출입로에 토사가 유입되어 물류 이동에 차질을 겪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홍성군은 산림재해 스피드봉사대 인력 20여 명을 즉시 현장에 투입, 딸기 하우스 내 배수 정비와 쓰러진 작물 정리, 시설물 청소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했다. 아울러 토사가 유입된 제조업체의 토사 제거 작업도 병행하여 복구 작업에 박차를 가했다.



이선경 산림녹지과장은 "산림재해뿐만 아니라 침수된 농가, 토사 유입된 건물 등 군민 생활과 밀접한 피해 현장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군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복구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상시 대응 체계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15년 창단된 산림재해 스피드봉사대는 평상시에는 산사태 예찰 및 산림 순찰 활동을 수행하고, 재해 발생 시에는 토사 제거, 배수로 정비, 위험 수목 제거 등 공공 인력 부족을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민간 주도의 재해 대응 조직이다.
홍성=김재수 기자 kjs03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2. 대전·세종·충남 호우특보 해제…일부 지역 밤까지 강한 비
  3. 폭우 구름띠 좁고 강해졌는데 기상관측망은 공백지대 '여전'
  4. 새정부 유일 충청 출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 ‘지명 철회’
  5. 폭우 지나고 폭염·열대야 온다…당분간 곳곳 소나기
  1. 자연계 강세 4년째 지속… 인문계와 격차 벌어져
  2.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3. 대전시,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축소 해명 나서
  4. 3년째 축소된 지방교육재정, 전국교육감들 "깊은 우려… 축소 논의 멈춰야"
  5. '법인카드 유용 의혹' 이진숙, 경찰 2차 출석…7시간 조사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