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한킴벌리 충주공장. |
주민들 사이에서는 신규 기업 유치도 못하면서 기존 일자리마저 지켜내지 못한다는 불만이 지역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으며, 지역 고용을 지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월 30일 충주시에 따르면 유한킴벌리는 충주공장에서 가동 중인 생리대·노인 기저귀 생산라인 8개 중 2개를 2026년 6월까지 대전공장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이런 이유로 현재 200여 명 규모인 인력은 이전 후 170여 명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대전공장은 그동안 유아용 기저귀를 생산해왔으나, 저출산으로 인한 수요 감소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대전공장 경영난 해소를 위해 일부 생산라인만 옮기는 것"이라면서 "충주공장 전체 이전설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조치와 관련해 지역 커뮤니티에서는 고용 불안과 행정의 책임을 묻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한 시민은 "기업도시라는 말이 무색하다. 진천, 음성보다 뒤처지고 자동화로 일자리는 줄어든다. 시는 숫자만 보고 기업만 불러올 게 아니라 고용 대책부터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글에서는 "신규 기업은커녕 기존 일자리조차 지켜내지 못하는 게 더 큰 문제"라는 비판이 나왔다.
새로운충주포럼 이태성 상임대표 역시 SNS를 통해 "일자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가정을 지탱하는 기둥"이라며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지 못하더라도 기존 고용만큼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기업이 지역에 머물 수 있는 이유를 만들 전략과 행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유한킴벌리 일부 생산라인 이전이 충주시 산업 기반을 근본적으로 흔드는 수준은 아니지만, 기업 유치 위주의 정책이 실제 지역민 고용 안정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행정 전반의 재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이에 지역 커뮤니티와 여론은 기업을 불러오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고용을 지켜낼 실효성 있는 정책과 기업과의 상생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