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음성군 공사현장 안전점검 자료사진. |
2024년에 이어 2025년 여름에도 비슷한 유형의 산재 사망사고가 잇따르면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실태를 재점검하고 실질적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7월 31일 오전 8시 2분께 음성군 삼성면 용성리의 한 물류창고에서 50대 일용직 노동자 A씨가 5m 높이에서 작업 중 지붕 패널 일부가 무너지면서 추락해 숨졌다.
당시 A씨는 샌드위치 패널 지붕 위에서 조명 설치 작업을 하던 중이었다.
불과 이틀 전인 29일에도 음성군 대소면의 한 야적장에서 50대 노동자가 약 10m 높이에서 구조물을 고정하던 중 떨어져 목숨을 잃었다.
이처럼 음성지역에서는 여름철을 전후로 노동자 사망사고가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에도 6월 감곡면 도로 배관공사 현장에서 50대 근로자가 토사에 매몰돼 숨졌고, 7월 맹동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장에서는 황화수소에 중독된 뒤 추락한 60대 노동자가 사망했다.
지난해와 올해 6~7월 각각 두 건씩 발생한 산재 사망사고가 짧은 기간에 집중되면서 노동당국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현장 안전관리 전반에 대한 점검과 예방대책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최근 '산업재해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강도 높은 대책을 주문했지만, 잇따른 음성군 내 산재 사망사고처럼 관리·감독의 사각지대가 여전해 행정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뒤따른다.
앞서 7월 30일 민주노총 충주음성지부는 성명을 통해 "산재 사고가 반복되는 이유는 조사 기간이 길고 처벌이 약하기 때문"이라며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라 신속히 조사하고 엄중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위험 작업에 대한 노동자의 작업중지권을 보장하고 근로감독관 등 재해 예방 인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노동계는 반복되는 산재 사망사고를 막기 위해 처벌 강화뿐 아니라 현장 중심의 예방대책을 실효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고용노동부는 모든 자원과 인력을 투입해 긴급 점검에 나서고, 지자체 역시 현장 안전점검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며 "사업주들도 위험한 작업은 즉시 중단하고 위험 요소를 해소한 뒤 작업을 재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