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대회에 앞서 군은 5월 26일부터 6월 19일까지 공개모집을 통해 12개 팀, 34명 아동들의 지원을 받았다.
이에 전문 심사위원들의 공정한 예선심사를 거쳐 본선에 진출할 5개 팀, 16명의 아동을 선정했다.
이후 온라인 워크숍을 통해 정책 제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날 대회에서 본선 무대에 오른 아이들은 팀별 15분씩 발표하며 심사위원과의 질의응답 속 창의적이고 실천 가능성 높은 아이디어를 제안해 눈길을 끌었다.
아이들의 주요 제안 내용을 보면 복합문화형 교통 플랫폼 조성, 유휴 공간 활용한 마을 놀이 및 휴식 공간 조성, IOT 스마트 놀이터 구축이다.
또한 자살 고위험 지역에 LED 조명 및 비상벨 설치, 가로등 보완 및 방범 강화로 밤길 안전 확보 등이다.
군은 이날 아이들의 발표를 마친 뒤 공감상, 논리상, 미래상, 지속상, 혁신상 등 5개 부문별 수상 팀을 선정·시상했다.
군은 이날 본선 대회에서 발표된 정책 제안들을 관계 부서와 공유하고 군정에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재영 군수는 "앞으로도 아동의 목소리가 군정에 담길 수 있도록 참여권 보장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의 4대 권리 중 하나인 '참여권'을 위한 자리로 아동이 직접 지역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며 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다. 증평=박용훈 기자 jd36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