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료기기 산업특허 동향 분석. [출처=특허청] |
특허청은 6일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의료기기 분야 특허출원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의료기기 분야 특허출원은 2015년 9366건에서 2024년 1만3282건으로, 10년 만에 약 4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기술 분야의 특허출원이 약 12% 증가했는데, 이와 비교하면 약 3.5배나 높은 수치다.
이 기간 가장 많이 출원된 의료기기 유형은 심박수, 혈압 등 다양한 생체 신호 측정이 가능한 바이오센서가 탑재된 웨어러블 전자장치인 생체계측기기(1만7514건·14.6%)였다. 이어 수술 치료기기(14%), 의료 정보기기(13.7%), 의료용품(11.9%) 순이었다. 이들 4개 분야는 전체 의료기기 특허출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출원 증가율로는 연평균 21.9%씩 증가한 의료 정보기기가 가장 높았다. 특히 원격진료와 관련된 인공지능 기반 비대면 진료시스템과 같은 의료 정보기기 관련 특허출원이 92.6%를 차지해 높은 출원 증가를 견인했다. 의료 정보기기 다음으론 마취호흡기기(5.6%), 생체계측기기(5.5%) 등이 뒤를 이었다.
출원인 유형별로는 중소기업(31.7%), 개인(19.7%), 외국 법인(16.9%), 대학·연구기관(19.1%) 순으로 조사됐다.중소기업과 개인이 전체 출원의 51.4%를 차지해 의료기기 분야 혁신을 주도했다.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관은 삼성전자㈜였다. 연세대, 고려대, 오스템플란트㈜가 뒤를 이었고, 기술 유형별로는 생체계측기기와 재활 보조기기 분야는 삼성전자㈜, 채외진단기기와 의료 정보기기는 연세대, 영상진단기기는 삼성메디슨㈜, 치과기기는 오스템 임플란트㈜, 치료 보조기기는 ㈜바디프랜드가 1위를 각각 차지했다.
임영희 특허청 화학생명심사국장은 "최근 인공지능, 웨어러블 기술 등 첨단기술을 의료기기에 접목하는 등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특허출원도 증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특허청은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허 분석 결과를 산업계와 긴밀히 공유하는 등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