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주시청 공무원 사칭 명함. |
복지사업을 빙자해 소상공인을 노린 범행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면서 시민 안전망을 위협하는 새로운 범죄 수법으로 번지고 있다.
18일 충주시는 복지담당 공무원을 사칭한 범죄 시도가 잇따르자 관내 소상공인들에게 피해 예방을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시에 따르면 최근 사기 미수 사례는 쌀 유통업체, 이사업체, 교복업체, 안경원 등 다양한 업종을 대상으로 발생했다.
사기범들은 주로 '저소득층 지원사업 납품업체로 선정해 주겠다'며 물품 대리구매나 선입금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접근했다.
최근 사례로 쌀 유통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시청 직원을 사칭한 B씨로부터 저소득가구에 나눠줄 쌀 구입을 요청하는 전화를 받았다.
B씨는 개인 휴대전화를 사용하면서 시청 직원을 사칭한 명함까지 보냈으나, A씨가 수상함을 느껴 시청에 확인을 요청해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C이사업체 역시 '저소득가구 이사비 지원사업 일괄 계약'을 미끼로 현금 송금을 요구받았으나, 시청에 문의한 끝에 사기 시도를 피했다.
이보다 앞선 이달 13일에는 노인 돋보기 지원사업을 빙자해 매장 만남을 유도하는 사례도 있었으나, 휴대전화 발신을 수상히 여긴 업주가 시청 확인을 통해 범행을 막았다.
이 같은 사기 시도는 6월에도 발생했다.
당시 자치행정과 주무관 이름을 도용해 자동문·유리문 발주를 요청했으며, 역시 휴대전화 발신으로 시도됐다.
이처럼 공무원 사칭 범죄는 충주시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빈발하고 있으며, 시청 직원 외에도 소방관·군부대 직원 등을 사칭하는 사례가 연이어 보고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복지물품을 명목으로 한 대리구매 사기에 절대 응하지 말고,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반드시 시청에 확인한 뒤 경찰에 신고해야 한다"며 "시민과 소상공인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충주시는 8월부터 문자메시지나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에 충주시 마크와 기관명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사기 시도에 대응하고 있다. 충주=홍주표 기자 32188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