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 승용차요일제 운영 현황. 출처는 대전세종연구원 자료 |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대전광역시 승용차요일제의 마일리지제도 전환 효과분석'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승용차요일제는 현재 약 10% 내외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으며, 증가율도 정체돼 있는 상황이다.
대전시의 차량등록대수를 살펴보면 2020년 68만6429대에서 2024년 73만7012대로 약 5만 583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기준 대전시의 승용차 비율은 85.56%로 전국(82.79%)대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1년간 승용차요일제 참여차량은 2만8591대다. 참여율은 서구와 유성구가 전체의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덕구가 9.82%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반률은 평균적으로 전체 참여 차량 60%(59.75%)정도가 단 한번도 제도를 위반하지 않았다.
반면 10회 이상 위반해 자동 탈퇴된 차량은 전의 10%(9.97%)가량이다.
이같은 위반율 수치는 제도 유지의 행정적 부담일 뿐만 아니라, 실효성 확보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철도2호선 트램공사가 시작된 상황에서 도로 혼잡이 악화될 것을 고려하면 승용차요일제의 참여율 제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새로운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대부분의 도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센티브 정책은 자동차세와 주차요금 감면 등 자동차 운행을 제한하는 정책과는 괴리가 있다.
기존의 요일제 기반 규제방식에서 연간 주행거리 감축 정도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를 인센티브와 연동하는 구조가 더 높은 실효성을 갖을 수 있다고 전문가는 조언했다.
또한, 대중교통과 연계된 실질적 인센티브 제도가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가입유도를 위한 적극적 인센티브 확대가 필요하다.
특히 향후 트램 도입 및 차로 감소에 대비해 도심 교통 수요 관리를 전제로 하는 정책과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정범 대전세종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승용차요일제 그 자체로 의미가 있지만, 트램과 버스, BRT, 자전거 등 대중교통 네트워크와 통합된 수요관리 체계의 일부로 설계돼야 한다"면서 "인센티브, 통합운임체계, 교통혼잡도 연동 감면 등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