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상징구역 공모 대상지 항공사진 /행복청 제공 |
서울 여의도 면적의 75%에 달하는 국가상징구역(210만㎡)은 2029년 대통령 세종집무실(25만㎡ 이내)과 2033년 국회세종의사당(63만㎡ 이내), 시민 공간(122만㎡ 이내)까지 3개 공간을 핵심으로 순차적인 조성 절차에 놓인다.
강주엽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은 28일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브리핑을 통해 '행정중심복합도시 국가상징구역'의 마스터플랜 공모를 8월 29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국제공모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조성을 위한 첫 단계로, 전체 밑그림인 도시설계안을 마련하기 위한 과정이다. 2025년 말까지 당선작 선정 등 공모 결과를 토대로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에 대한 건축설계 등 후속 절차를 이어간다.
현재 기본 구상안을 미리 보면,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동(S-1생활권)에 위치한 국가상징구역 부지 면적은 여의도의 75%인 210만㎡에 이른다. 이 중 대통령 세종집무실은 25만㎡ 규모, 국회세종의사당은 63만㎡ 규모로 조성되며, 나머지 122만㎡ 부지엔 시민을 위한 공간이 들어선다.
우선 대통령 세종집무실은 이번 공모를 통해 국가상징구역 내 위치와 부지형상, 주요 건축물 배치·입면 디자인 등 입체적 공간계획을 제안받는다. 세종집무실은 정부세종청사와 공간적 관계, 안보, 보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국가상징구역 내 북쪽에 배치된다.
세종집무실이 수행하는 기능적 측면과 상징성 등을 고려해 부지·공간계획을 제시하도록 유도하고,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유보공간을 확보하고, 확장성을 고려한 구조를 제시하도록 했다. 대통령실(청와대)의 완전 이전도 염두에 둔다.
국가상징구역 남쪽에 자리 잡는 국회세종의사당은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시민 공간 등 주변 시설·공간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시설계안을 모색토록 한다. 이는 향후 국회와 사무처 주도의 건축설계 공모로 나아간다.
나머지 122만㎡ 규모 부지는 시민을 위한 공간으로 채워진다. 시민 공간은 대통령 세종집무실, 국회세종의사당과 연계되면서, 수평적·개방적 공간으로 조성된다. 역사와 정신, 정체성을 담은 공간으로서 문화·교육·휴식시설 등을 배치하고, 공원과 가로, 녹지 등 공공 공간을 연계해 시민들이 자유롭게 공간을 향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소로 만들어가도록 제안한다.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세종의사당, 시민 공간이 모인 '행정중심복합도시 국가상징구역'이 2030년 이재명 대통령 임기 내 윤곽을 드러낸다면, 최고의 행정과 입법기능, 시민공간이 한 장소에 집적된 유례없는 랜드마크 공간이 탄생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도보 10분 거리의 정부세종청사와 대통령기록관, 국립박물관단지, 국립수목원 등이 연계되면, 미국 민주주의의 중심이라 불리는 워싱턴D.C.의 내셔널 몰(National Mall)과 같은 국가적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행복청 제공 |
공모는 8월 29일부터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구매규격 사전공개 후 9월 2일 본 공고가 시행된다. 이후 11월 20일까지 작품 접수를 마치고 심사를 거쳐 올해 내 최종 당선작이 선정된다. 당선자에겐 마스터플랜 구체화 용역권(10억 원)이 주어지며, 우수작과 입상작에도 차등 보상금이 지급된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국가상징구역은 우리나라의 최고 행정, 입법 활동이 이뤄지는 하나의 공간이자 시민들의 평화롭고 행복한 삶이 함께하는 명소가 될 것"이라며 "이번 마스터플랜 공모는 세종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만들어 나가는 그 첫걸음이다. 각계 전문가들의 지혜와 국민들의 뜻을 모아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