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민호 세종시장이 1일 세종시청 브리핑실에서 '2026년도 정부 예산안 반영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
최민호 세종시장은 1일 세종시청 브리핑실에서 '2026년도 정부 예산안 반영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시에 따르면 8월 29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내년도 정부 예산 725조 원 중 시 관련 예산은 1조 7279억 원으로 파악된다. 올해 정부 예산 대비 1478억 원(9.4%) 늘어난 수치이며, 정부 총지출 증가율(8.1%)보다 높은 수준이다.
시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우리 시 현안 사업과 신규 사업이 대거 반영됐다"며 "이로써 행정수도 완성, 한글문화도시 조성, 자족기능 확충, 시민안전 제고 등 시정 4기 역점사업 추진에 탄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국비 반영을 통해 시는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미래전략수도 기반 조성에 적극 나선다.
국회 세종의사당(956억 원)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240억 원)의 설계비 및 부지 매입비 1196억 원 등 핵심 사업 예산이 충실히 반영되며 올해 대비 대폭 증액된 성과를 거뒀다. 시는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위한 설계공모가 연내 착수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적극 협력할 방침이다.
또한 행정수도 완성에 따른 교통량 급증에 대비해 제천횡단 지하차도 건설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비 3억 원도 확보했다. 한글문화도시 정책연구비 3억 원과 한글문화 교육센터 운영비 5억 원이 신규 반영돼 명실상부 한글문화도시 도약 기반도 마련된다.
세종시민의 안전과 편의성 제고를 위한 사업 역시 내년 예산안에 다수 반영됐다.
![]() |
최민호 세종시장이 1일 세종시청 브리핑실에서 '2026년도 정부 예산안 반영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세종시 제공 |
지역민들의 오랜 숙원인 운전면허시험장 설계비 9억 원도 반영돼 내년부터 건립사업이 본격화될 예정이다. 운전면허시험장이 단 한 곳도 없는 세종지역 시민들은 그간 운전면허 취득을 위해 타지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왔다.
미래 먹거리산업 육성을 위해 '자율주행버스 레벨4 고도화' 15억 원, '스마트빌리지 개발·보급' 18억 원, 충청권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 사업비 20억 원도 반영됐다.
여기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행복도시 특별회계(국비) 총액은 2888억 원으로 분류된다. 지난해 예산 2205억 원보다 683억 원(31%) 증가한 규모다.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한 세종경찰청(198억 원)과 경찰특공대(26억 원) 건립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을 뒷받침하고, 국가 주요 시설에 대한 치안·대테러 수요 등에 적기 대응을 도모한다. 앞서 살펴본 국회와 대통령실 건립 등의 주요 예산도 행특회계에 담겼다.
아울러 도시의 문화·복지 인프라 확충을 위해 국립박물관단지 건립 및 운영(603억 원), 과학문화센터 건립(14억 원), 공공·편익시설인 복합커뮤니티(396억 원) 건립 등의 예산도 확보해 추진할 계획이다. 6-3생활권 복컴엔 57억 5000만 원, 5-1생활권 복컴엔 155억 1000만 원, 5-2생활권 복컴엔 183억 3000만 원이 투입된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