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진행된 상가 공실 해법 찾기 연구모임 모습. 사진=시의회 제공. |
최근 시가 테크밸리 (창업) 기업 유치 확대와 유출 방지를 위한 지원책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이의 파급 효과를 공실 해소의 기제로 활용해 보자는 취지다.
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장 임채성) '상가 공실의 다각적 해법 찾기 위한 연구모임'(대표의원 김효숙)은 8월 29일 세종시의회 6층 의정실에서 제4차 간담회를 열고, 지역 상가 공실 문제를 청년창업 활성화와 연계해 해결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김효숙 대표 의원과 이순열 의원을 비롯해 세종청년창업사관학교 센터장과 세종시 창업벤처협회 및 시 관계자, 청년 창업기업 대표 등이 참석해 '세종형 창업지구' 조성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청년창업사관학교의 육성 사례 공유 ▲창업기업 확장 단계에서 대두되는 입지·주거·네트워킹 한계 극복 방안 모색 ▲상가 공실을 활용한 창업보육센터(BI센터) 조성 필요성 등을 논의했다.
이에 더해 테크밸리(허브)와 나성동·어진동·대평동 등 공실 지역을 연계하는 창업 공간 조성, 그리고 협업이 가능한 오픈형 공간 구조화 및 선배 기업·투자사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 |
김효숙 대표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
이순열 의원은 "이번 연구모임이 단순한 상가 공실 해소 차원을 넘어 청년 창업 관련 논의까지 확장된 점이 매우 뜻깊다"며 "청소년 문제와 청년 문제는 맞닿아 있는 만큼, 오늘 논의된 내용이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효숙 대표의원은 "단순한 임대차 수준의 고민에 머무르지 않고, 청년 창업과 지역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함께 도모하는 세종형 창업지구 모델로 공실 상가 문제를 발전시켜 나가겠다"라며 "이번 간담회를 상가 공실과 창업을 연결하는 논의의 첫 출발점으로 삼아 앞으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모임은 이번 달 중으로 연구용역 중간발표회를 개최해 논의 결과를 구체화하고, 10월 최종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나성동-대평동-어진동의 주요 상업 건축물 공실 상황과 개·폐업 현황 추이. 공실 상황은 상상 그 이상이다. 사진=시의회 연구모임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