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동 소재 해양교통안전공단 전경. 사진=중도일보 DB. |
극지연구소는 부산 소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부설 기관으로 2004년 인천에 둥지를 틀었다. 세종시 소재 산하 기관은 아름동 소재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과 한국항로표지기술원, 어진동에 자리잡고 있는 중앙해양안전심판원까지 모두 3곳으로 분류된다.
해양교통안전공단은 단독 청사 건물, 한국항로표지기술원과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은 임대 건물에서 각각 업무를 수행 중이다.
해수부 시민 지킴이단은 멈춤 없는 문제제기와 함께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설 '행정중심복합도시 국가상징구역' 조성은 행정수도 세종 완성의 큰 진전이란 점을 환영한다"는 입장 이면에서 "에서 환영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쪽에서는 중앙부처와 산하기관을 빼내려는 정책을 병행하는 것은 심각한 모순이다. 진정한 행정수도의 위상은 중앙행정기관의 '집적과 강화'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근 인천 정치권이 한 목소리를 통해 해수부 산하 극지연구소의 부산 이전을 막아 나선 상황을 반면교사로 삼았다. 지킴이단은 "인천 정치권이 (전재수) 해수부 장관으로부터 (극지연구소를) 이전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은 것을 교훈 삼아야 할 것"이라며 "해수부 본부와 산하기관을 다시 지역으로 흩어놓는 것은 정책 일관성을 무너뜨리고,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에 커다란 역행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 |
해수부 부산 이전 반대 목소리는 여전히 남겨져 있다. 사진=중도일보 DB. |
이들 단체는 "행정기관 이전을 정치적 흥정이나 지역 나눠먹기의 도구로 삼는다면,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미래는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다"라며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완성하는 것이야말로 수도권 집중 해소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일한 길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해수부 본부의 이전이 연말까지 강행 모드로 전환되면서, 전국적으로 산재된 산하기관의 운명도 부산행을 향하고 있다. 지역별 주요 산하기관 현황을 보면, ▲한국해양환경공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해양조사협회, 한국어촌어항공단 : 서울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항로표지기술원 : 세종시 아름동, 중앙해양안전심판원 : 어진동 ▲국립해양박물관,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해양진흥공사,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부산 ▲국립해양과학관 : 경북 울진 ▲국립해양생물자원관 : 충남 서천 등으로 요약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