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이 9월 2일 해양수산부 기자실에서 2026년 정부 예산안 브리핑을 가졌다. /해수부 제공 |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2일 이 같은 편성안을 공표했다. 예산 증가의 초점은 북극항로 시대 주도, 해양수산 전 분야 AX(인공지능 전환) 지원 등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 대응 사업 예산에 맞췄다.
역시나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신규 예산으로 편성된 해수부 부산 이전 비용 322억 원이다. 임시 청사 임차료와 청사 관리비, 직원 정주여건 지원 등의 예산이 포함됐다. 다만, 아직 면적 등이 정해지지 않아 신청사 건립에 필요한 예산은 반영되지 않았다. 앞서 해수부는 부산 이전을 위한 예비비 867억 원을 확보했다.
2026년 해수부의 새 출발 둥지는 지난 7월 10일 선정된 부산시 동구 IM빌딩(본관)과 협성타워(별관)다. 본부 인원 850여 명 전원을 수용할 수 있고, 부산 지하철과 부산역 인근에 자리잡고 있다.
IM빌딩은 전용면적 1만 2209㎡ 규모의 19층 건축물로 1995년 준공됐고, 협성타워(2007년 준공)는 전체 15개 층 중 6개 층 사용을 전제로 한 전용면적 3275㎡로 IM빌딩과 연계 사용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다. 서울과 인천, 세종 등으로 분산 배치돼 있는 산하 및 소속 기관 이전 시기 등은 아직 미지수다.
![]() |
/해양수산부 제공 |
부문별로는 수산어촌에 3조 4563억 원, 해운항만에 2조 1373억 원, 물류 등 기타 해양산업에 1조 680억 원을 배정했다. 해양환경 부문은 4212억 원, 과학기술연구지원 부문은 2459억 원으로 편성됐다. R&D 예산은 8405억 원으로 전년 대비 917억 원(12.2%) 증가해, 기후대응기금 포함 시 9367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해운항만 부문은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해운·해사' 관련 예산은 10.0% 증액됐다. 항만 SOC 예산은 타당성 조사와 관계부처 협의 등 사전 절차 이행 필요성을 고려해 0.8%만 반영됐다.
해양수산부는 새 정부 국정운영 계획에 발맞춰 ▲북극항로 시대를 주도하는 해양강국 ▲경쟁력 있는 수산업, 활력 넘치는 어촌 ▲미래로 나아가는 역동적 해양산업 ▲굳건한 해양주권, 안전하고 청정한 우리 바다를 위한 사업 예산 등을 중점 반영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내년도 예산 편성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해양수도권 조성 등 새정부 국정운영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예산에 중점 투자했다"라며 "해양수산부가 대한민국의 성장에 앞장설 수 있도록 국회 예산 심의 준비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