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즘 이혼하는 부부가 많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절친이라고 여겨졌던 사람들도 어떤 계기가 되어 헤어지거나 오히려 앙숙이 되기도 합니다. 평생을 살면서 누구에게나 한두 번씩 경험하는 일이지요. 저도 예외는 아니고 사람 관계에서 이와 관련한 크고 작은 경험을 하였지요. 마음이 아파 몇 날 잠 못 이루기도 하였지요. 여기서 고민의 본질은 상대의 배신적(?) 행위가 아니라 상대에 대한 믿음이 깨졌다는 사실이 더 아픈 것입니다. 이러한 고민에 대해 니체는 답했습니다. 저도 니체의 글을 읽고 다소나마 위로를 받았지요.
니체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과 '도덕의 계보' 등에서 인간은 자신도 모르는 욕망과 권력 의지에 움직인다고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말이나 행동은 그 깊은 동기를 가리거나 왜곡할 수 있습니다. 니체는 "우리는 종종 다른 사람에게 실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 낸 환상에 실망하는 것이다"라는 취지의 말을 여러 저작에서 하였습니다. 즉 사람을 믿었다가 실망하는 이유는 대게 그 사람이 배신해서라기보다 우리가 그에게 과도한 기대를 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사람을 무조건 신뢰하기보다는, 인간은 복잡하고 불완전하다는 전제 위에서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것이 니체가 말하는 현실적인 태도입니다. 공감이 가는 말입니다.
자신이 일방적으로 상대에게 과도한 기대를 했으면서도 거기에 조금 어긋나면 배신을 당했다고 생각합니다. 더 근본적으로 살펴본다면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기보존과 권력 확대를 추구하기 때문에 겉으로는 친절과 도덕으로 포장하지만, 내면에는 자기 이익에 대한 계산이 숨어 있습니다. 그래서 니체는 인간을 '가면을 쓰는 존재'라고 하였을 것입니다. 대부분 도덕이나 체면이라는 가면 뒤에 진짜 동기가 숨겨져 있기 때문에 상대를 곧이곧대로 믿으면 언젠가는 실망할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서 '상대'라고 표현했는데 상대는 바로 자기 자신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니체의 주장을 전적으로 수용하는 것도 아니고 아무도 믿지 말라는 것은 더더욱 아닙니다. 니체가 말한 대로 인간은 원래 불완전하다는 인식을 전제로 한다고 하여도 그로 인해 오히려 사람과의 관계가 더 튼튼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상대를 불신하는 원천적인 이유를 제외하고, 인간관계에서 불신을 만드는 매개체가 있습니다. 즉 중간에 제3자가 있는 것이지요. 우리말에 '귀가 얇다'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남의 말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라는 비유적 의미이지요. 그런데 귀가 얇은 것은 특정한 사람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사람은 '자신에 관한 얘기'는 쉽게 영향을 받게 되지요. 그런데 누구나 명심해야 하는 것은 비록 자신에 관한 얘기일지라도 단순히 듣는 것이 아니라 의미를 새겨서 듣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그 말 뒤에 있는 진심까지 이해하려는 자세가 중요하지요. 역지사지도 포함한 말입니다. 상대에 대해 너무 큰 기대도 하지 말고 그렇다고 경계만 하는 것도 우리를 슬프게 합니다. 자신이 베푸는 것만큼 기대하고, 자신이 믿는 것만큼 상대를 믿으면 됩니다.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