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송전설비 증설공사장 인근건물 손상, 주민들 '발파 때문'

  • 전국
  • 당진시

당진 송전설비 증설공사장 인근건물 손상, 주민들 '발파 때문'

주민설명회도 없이 발파 공사 강행... 주민의견 청취 의무 불이행
공사장 인근 '대호펜션' 건물 벽체 균열로 영업 중단...피해 속출

  • 승인 2025-09-09 08:43
  • 수정 2025-09-09 11:16
  • 신문게재 2025-09-10 15면
  • 박승군 기자박승군 기자
사본 -KakaoTalk_20250908_092319294
당진시 석문면 교로리 공사장 위치도.


한국전력이 석문면 교로리 당진발전본부 인근에 추진 중인 당진화력 9·10호기 송전용 접속설비 증설사업 공사 중 발생한 발파로 인근 펜션이 영업을 중단하는 등 피해가 속출하면서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대호펜션은 3월부터 발파 소음과 충격으로 벽체에 균열이 발생해 운영을 중단, 금전적 손실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제보자 A씨는 "발파를 진행한 공사장과 펜션의 거리는 100m에 불과하고 공사 초기에는 하루 20여 차례의 발파가 이뤄졌다"며 "펜션이 옹벽인데도 외벽과 바닥에 군데군데 균열이 발생해 사실상 영업이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피해를 입은 대호펜션 관계자는 "송전설비 전에는 멀쩡했던 건물이 발파 이후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했다"며 "이는 발파작업에 의한 진동과 충격으로 균열이 발생했다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밖에 주민설명회나 공청회가 열리지 않은 채 발파를 진행해 "주민을 배제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며 주민의견 청취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이라고 거센 비판을 이어갔다.

교로1,2,3리 이장들은 "공청회나 주민설명회 없이 2023년 6월 28일 한전 중부건설처와 합의했고 당진시는 9월 5일 산업통산부에 이를 제출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산업통산부 관계자는 "당진발전본부 인근에는 2개의 사업이 진행 중"이라며 "하나는 스위치야드(자체사업) 접속설비 증설사업이고 다른 하나는 '345kV 당진화력 신송산 TL 건설사업'(신설사업)"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사업은 별도의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주민의견 청취를 하도록 돼 있고 설명회를 하고 있다고 들었다"고 해명했다.

반면, 한국전력공사 중부건설본부 관계자는 "중부발전소의 사업계획 승인을 받은 것에 대한 변경공사"라며 "주민설명회 기준이 사업면적 변경 30% 이상인데 사실상 면적 변경은 없이 기존에 잡혀있는 면적에 토목공사를 하는 부분이라서 변경설비를 조금 증설하는 것이기에 주민설명회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시공사 관계자는 "발파진동 허용치는 0.2cm/sec로 발파작업은 소음 기준치 이내에서 이뤄졌다"며 "펜션 균열은 현장 발파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없고 그 정도의 진동으로는 건물에 균열이 생기지 않는다"고 연관성을 일축했다.

제보자 A씨는 "법원에 공사중지가처분을 신청했으며 결과에 따라 사업 일정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송전설비 증설사업은 한전이 765kV 당진발전본부~신서산 송전선로 고장 시 광역정전 대비를 목적으로 추진 중이다.

하지만 한전이 밝힌 면적은 1만6079㎡(약 4865평)인데 반해 시공사가 제시한 면적은 4만9583㎡(약 1만5000평)이어서 진위여부를 놓고도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일과 중 가방 메고 나간 아이들, 대전 유치원서 아동학대 의혹
  2.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이장우 "0시축제 3대하천 준설…미래위해 할일 해야"
  5.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1.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2.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3.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4. 1년치 단순통계 탓에 400여개 환자병상 사라질판…"현저한 의료격차 만들어"
  5.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헤드라인 뉴스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도시철도 무임손실 지난해 125억… 정부, 국비요청 묵묵부답

대전을 포함해 전국 도시철도가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뒷짐을 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가 정책에 따라 법정 무임승차를 이어오고 있지만, 정부는 수십 년간 요청됐던 국비 보전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어 재정 문제는 지자체와 운영기관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 8일 대전을 포함해 전국 6개 교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철도운영기관 무임승차 손실액은 7228억 원에 달했다. 대전은 지난해 125억 원으로 4년 전(76억 원) 대비 약 64.4%나 늘어난 셈이다.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도시철..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올해 수능 55만 4174명 지원… 10명 중 6명이 '사탐런' 최대변수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지원자가 전년보다 3만1504명 늘어나며 55만 명을 넘어섰다. 또 응시자 10명 중 6명은 사회탐구(사탐) 영역을 선택하면서 '사탐런'이 이번 수능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발표한 원서접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수능 응시생은 55만4174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도(52만 2670명)보다 3만1504명 늘었다. 이는 2007년 '황금돼지 해' 출생자가 올해 고3에 진학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번 수능은 고3 재학생이 37만 1897명(67.1%), 졸업생 15만 9922명..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국회에 ‘기념사’ 해명하러 왔다가 혼쭐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항일 독립운동 폄훼와 친일 논란을 빚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8일 국회를 찾았다고 혼쭐이 났다. 8·15 광복절 기념사 왜곡과 광복회원 농성의 부당성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지만, 독립운동가 후손과 시민단체의 반발을 사면서 쫓기듯 국회를 벗어날 정도였다. 김 관장은 이날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은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주선했다. 김민전 의원은 12·3 비상계엄 후 올해 1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지키겠다’며 한남동 공관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을 ‘백골단’으로 소개한 ‘반공청년단’의 국회 소통관 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물에 잠긴 도로 달리는 차량들

  •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 맨발로 느끼는 힐링 오감 축제…‘해변을 맨발로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