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문근 단양군수와 어르신이 담소를 나누고 있다. (단양군 제공) |
이번 사업은 2026년 3월까지 시행되며, 75세 이상 장기요양 재가급여자와 돌봄 취약군, 병원 퇴원환자 등이 주요 대상이다. 의료 방문 서비스와 재가급여, 가사·이동·식사 지원, 주거환경 개선 등 일상 전반을 포괄하는 지원이 패키지로 제공된다.
단양군은 시범사업과 함께 제도적 기반을 강화한다. 9월에는 「돌봄 통합지원 조례」를 공포하고, 군청 내 '통합돌봄팀'을 신설해 전담 운영체계를 마련한다. 이는 행정적 실행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는 의지다.
![]() |
김문근 단양군수와 어르신이 담소를 나누고 있다. (단양군 제공) |
김문근 군수는 "돌봄은 이제 가족만의 몫이 아니라 지역사회가 함께 책임져야 하는 부분"이라며 "군민이 익숙한 생활 터전에서 건강과 품위를 지킬 수 있도록 단양형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다만 풀어야 할 과제도 분명하다. 복지 인력 부족, 예산 안정성, 지역 간 격차 문제는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로 꼽힌다. 군은 전담조직을 중심으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중앙정부·충북도와의 연계, 의료·복지기관과의 협력으로 대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주민 입장에서는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 거주지에서 생활을 이어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신청은 각 읍·면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하다.
단양=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