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동근 시장이 9월 24일 '의정부 학생 통학버스' 1주년을 맞아 송양고등학교 정류소에서 조아진 학생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 (출처=의정부시청) |
김동근 시장은 이날 초정밀 버스위치정보 서비스 시연을 직접 확인하고, 제안을 처음 건넸던 의정부여고 조아진 학생과 함께 학생 통학버스에 탑승해 등굣길을 동행했다. 김 시장은 학생들 곁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통학 관련 애로사항들을 세심히 청취했다.
![]() |
김동근 시장이 9월 24일 '의정부 학생 통학버스' 1주년을 맞아 조아진 학생과 함께 통학버스에 탑승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출처=의정부시청) |
2023년 12월, 당시 학생회장이던 조아진 학생은 김동근 시장과의 면담 자리에서 송산권역 학생들이 겪는 긴 통학 시간과 복잡한 환승 문제를 호소하며 전용 통학버스 도입을 건의했다.
당시 송산권역 고등학생 4천여 명 중 약 18%가 흥선권역으로 통학하고 있었고, 왕복 평균 2시간에 달하는 통학 시간은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큰 부담이었다.
시는 이러한 목소리에 귀 기울여 지난해 8월부터 6개 노선의 통학버스를 정식 운행에 나섰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하루 평균 40분가량 시간을 절약하게 됐고, 버스 안에서의 안전과 여유는 학생들의 일상을 바꾸는 출발점이 됐다.
![]() |
김동근 시장이 9월 24일 '의정부 학생 통학버스' 1주년을 맞아 조아진 학생과 등굣길 동행을 마친 뒤 인사를 나누고 있다. (출처=의정부시청) |
시는 지난해 말 만족도 조사와 학부모 학교 의견을 반영해 올해 3월부터 운영 체계를 대폭 개선했다.
노선을 6개에서 3개로 통합해 효율성을 높이고, 신규 아파트와 학원가를 반영한 8개 정류소를 신설했다. 또 등교 횟수를 하루 2회로 확대하고, 의정부 최초로 친환경 수소버스를 전 차량에 투입해 쾌적성과 친환경성을 함께 챙겼다.
개선 효과는 수치로도 증명됐다. 개선 전인 작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하루 평균 이용객은 173명에 그쳤고, 이 가운데 등교 이용은 125명, 하교는 48명 수준이었다. 그러나 올해 3월부터 9월 12일까지는 하루 평균 이용객이 356명으로 늘어나며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등교는 200명, 하교는 156명으로 집계돼 전체 이용률은 105% 늘었고, 특히 하교 이용객은 225% 급증해 학생들의 생활 속 편의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개편 이후 지금까지 통학버스를 이용한 학생은 총 3만 6천388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등교 이용자는 2만 320명, 하교 이용자는 1만 6천68명으로 집계돼, 학생들의 실제 생활 속에서 통학버스가 얼마나 큰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 |
학생의 제안에서 의정부의 변화로…통학버스 1년, 더 가까워진 등하굣길, 카카오와 초정밀 위치정보 서비스 업무 협약 체결 (출처=의정부시청) |
통학버스는 단순한 '버스'에 머물지 않는다. 시는 지난 7월 카카오와 업무협약을 맺고 '초정밀 위치정보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 서비스는 경기도 내 시내버스 가운데 최초로 적용된 사례다.
카카오맵을 통해 통학버스 위치가 초 단위로 제공돼, 학생들은 정류장에서 불필요하게 대기하지 않고 보다 예측 가능한 통학이 가능해졌다.
학부모 역시 자녀의 등하교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안심할 수 있다. 김동근 시장도 이날 1주년 현장에 직접 시연을 통해 학생들과 이 편리함을 함께 나눴다.
![]() |
학생의 제안에서 의정부의 변화로…통학버스 1년, 더 가까워진 등하굣길, 2024년 8월 의정부 학생 통학버스 개통식 (출처=의정부시청) |
'의정부 학생 통학버스'는 행정이 먼저가 아니라, 학생의 건의에서 시작해 정책으로 실현된 청소년 맞춤형 교통복지 사례다.
김동근 시장은 "학생 통학버스는 학생들이 직접 제안해 시작된 만큼, 의정부시도 늘 현장에서 답을 찾으며 운영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하는 통학환경을 조성해 의정부를 더 살기 좋은 교육도시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정부=이영진 기자 news03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