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절반은 ‘농할상품권’ 불가한데, 가맹점은 수도권 편중

  • 정치/행정
  • 국회/정당

전통시장 절반은 ‘농할상품권’ 불가한데, 가맹점은 수도권 편중

어기구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 농림부 자료 분석
전통시장 점포 32,076곳 중 가맹점은 8394곳(26.1%), 1393곳 전통시장 중 46%에서만 사용 가능
가맹점, 수도권 48.5% 집중… 결제액은 대전과 세종, 충남·북은 1%도 안돼

  • 승인 2025-09-26 14:13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가맹점
제공=어기구 의원실
국산 농축산물을 30% 할인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농할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전국 전통시장이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 가능한 가맹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대전과 세종, 충남·북을 비롯한 10개 시·도에서 결제액이 1%에도 안 될 정도로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다.

사진_국회의원_어기구_
어기구 의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시)이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할상품권 발행액은 2022년 268억원, 2023년 241억원에서 2024년 406억원으로 전년 대비 168.8% 급증했다. 2025년에도 366억원 이상 발행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전통시장 농축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2021년 도입한 농할상품권은 전통시장에서 국산 농축산물을 30% 할인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전용 상품권으로, 종이 대신 앱·QR코드를 통해 발행하는 전자상품권이다.



그러나 실제 전통시장에서의 활용도는 상당히 낮았다. 전국 전통시장 내 농축산물 취급 점포 3만2076개(2023년 기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 가맹점은 8394개(26.1%)에 불과해 4곳 중 3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 전국 1393개 전통시장에서 가맹점이 있는 곳은 749곳뿐으로, 절반에 가까운 644곳(46%)에서는 농할상품권 자체를 쓸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도 가맹점과 결제액도 수도권에 집중됐다.

2025년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전체 가맹점의 48.5%(3983곳)가 집중됐으며, 비수도권 중에선 경남이 13.8%(1160곳)로 가장 높았다. 대전은 2.8%(233곳), 세종은 0.4%(31곳), 충남 2.2%(184곳), 충북 3.4%(288곳)이며, 제주는 0.2%(13곳)에 그쳤다.

결제액
제공=어기구 의원실
결제액의 경우 2024년 모두 594억 5000여만원 중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이 318억4600여만원(53.6%)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이 221억여원(37.2%), 대구 9억3500여만원(1.6%), 강원도 7억7800여만원(1.3%)으로 뒤를 이었다.

대전에서의 결제액은 4억5400여만원(0.8%), 세종은 1억1200여만원(0.2%), 충남 1억7600여만원(0.3%), 충북 1억6900여만원(0.3%)에 불과했다. 광주와 전남·북, 울산과 경북, 제주 역시 1%에도 미치지 못했다.

어기구 의원은 "농할상품권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농민 판로 확대를 위해 도입됐지만, 절반 이상의 시장에서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일부 지역 편중이 계속된다면 농민과 상인, 소비자 모두의 신뢰만 잃게 될 것"이라고 꼬집했다.

그러면서 "이번 정기국회에서 농할상품권 사업을 면밀히 점검하고 지역 가맹점 확대 방안을 마련해 전국 어디서든 전통시장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글로컬대학 30 본지정 발표 임박…충청권 대학 운명은?
  2. 신임 대전경찰청장에 최주원, 충남 임정주, 충북 이종원 임명
  3. 대전교통약자 이동지원 차량 증차에도 시민불편 여전
  4. 영유아 육아 돕는 친족에 월 30만원… 충남도, 내달부터 가족돌봄 지원사업 시행
  5. 인화 물질 들고 고용노동부 난입...50대 검거
  1. '교육자료'된 AI디지털교과서, 앞으로 갈 길은? 대전미래교육연구회 토론회
  2.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3. 대전교육청 "제동장치 없는 픽시 자전거 타지 마세요"… 경찰 단속도
  4. 새로운 생각 연구소, 30일 '함께 잘 사는 법' 주제 강연 개최
  5. 세종충남대병원, 소아 희귀질환 강연회 개최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노잼도시 탈출한 대전시… 전국서 찾는 ‘잼잼도시’로

대전은 과거 '노잼도시'이미지를 탈출하고 '잼잼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단순히 과학도시, 교통의 중심지, 그리고 정부 청사가 있는 행정도시로만 인식되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 대전은 필수 방문지로 탈바꿈했다. 노잼'은 부정어 'No'와 '재미'의 합성어다. '노잼도시'는 말 그대로 재미없는 도시를 말한다. 민선 8기 대전시는 0시 축제를 비롯해 성심당의 인기로 인한 빵의 도시 이미지, 대전 엑스포 마스코트였던 꿈돌이를 재해석한 꿈씨패밀리 브랜드화 등의 정책을 폈다. 효과는 고무적이었다. 대전은 '성심당'이라는 강력한 킬러콘텐츠를 갖고..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대전 석면 제거완료 학교 비율 전국 하위권… 세종은 100%

전국적으로 학교 석면 제거 공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대전의 제거 완료 학교 비율이 전국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세종은 전국 유일하게 100% 제거 완료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문정복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02개 학교 건물 내 석면이 철거되지 않았다. 충청권은 대전 71·충남 170·충북 102개 학교가 앞으로 석면 제거가 필요하다. 석면 제거 완료 전국 평균은 87.2%로, 대전은 78%에 그친다. 대상 학교가 가장 많은 경기도는 현재까지 1274개 학교 석면 제거를 완료했지만 여전히 451곳..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 위해 국가와 지방정부 지원 절실

파업과 치료 중단 사태를 빚은 대전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해 국가의 안정적인 재정 지원과 대전시의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와 공공재활 의료 개선과제 국회토론회’에서다.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전 국회의원 7명과 충남의 이재관 의원(천안시을), 국힘 김예지 의원(비례),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비례),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비례)이 공동으로 주최했다. 토론회에서는 연간 92억원을 투자하고도 68억원의 적자가 발생하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가 운영비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웅장한 모습 드러낸 대전 갑천 생태호수공원…27일 개장

  •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대한민국 새 단장 합시다’

  •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대전 찾은 장동혁 대표…‘나노·반도체사업 당 차원 적극 지원’

  •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 파란 가을 하늘 아래 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