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마리떼스 명예기자 제공 |
박물관에 도착하자마자 아이들은 신나서 안으로 들어가고 싶어했다. 그러나 아빠는 먼저 박물관 외부에 펼쳐진 자연경관과 조선시대 장식이 있는 돌 유물을 함께 둘러보며 한국의 전통 생활상을 소개했다. 아이들은 옛 사람들이 사용했던 돌 유물에 대한 설명을 경청하며 호기심을 보였다.
옛터 민속 박물관은 사립 박물관이지만 입장료는 자율적으로 내도록 되어 있다. 아이들은 노리개, 옹관, 요강, 호패, 마고자 단추, 인두판 등 다양한 조선시대 유물을 관람하며 생생한 역사 수업을 체험했다. 유물에 대한 질문에도 아빠가 상세히 답하며 학습을 도왔다.
박물관 내부에서는 가죽 공예 체험도 진행됐다. 아이들은 동물 모양의 가죽 소재에 글자가 새겨지는 과정을 지켜보며 신기해했다. 특히 아들이 "고래가 아플 수도 있으니 고래 가죽에는 아무것도 찍지 말자"고 하자, 선생님도 놀라는 모습을 보였다. 아이들이 직접 색을 입혀 완성한 작품은 큰 자부심이 되었으며, 단순한 체험을 넘어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기회가 됐다.
박물관 뒤편에는 전통 놀이 체험 공간도 마련돼 있었다. 가족은 투호 놀이를 하며 전통문화를 몸으로 익히고, 놀이를 통해 가족 간의 유대감을 더욱 깊게 다졌다.
체험을 마친 후, 박물관 맞은편 식당에서 삼계탕 저녁 식사를 즐겼다. 이 식당의 특징은 로봇이 음식을 서빙한다는 점으로, 아이들에게 한국 전통 음식과 첨단 기술이 어우러진 신선한 경험을 제공했다. 저녁 식사 후에는 식당 지하에 전시된 오래된 배도 관람했다.
밤이 되자, 길을 따라 늘어선 램프와 조명이 식물들을 밝히며 한층 아름다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식당과 박물관 앞 마당에는 모닥불이 피워져 사람들이 앉아 커피를 즐겼다. 희미한 조명과 음악은 낭만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밤 8시부터는 통기타 라이브 공연이 펼쳐졌고, 아이들은 음악에 맞춰 춤을 추며 사탕 선물도 받았다. 아이들은 "정말 재미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이번 체험은 단순한 나들이를 넘어, 아이들에게 한국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가족 간 유대감을 더욱 돈독히 해주는 소중한 시간이 됐다.
조마리떼스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