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수처와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 집행에 나선 1월 1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입구에서 경찰이 관저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
특정 정당 지도부에게 보낸 건 이례적인 데다, 당시는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과 그에 따른 서부지법 폭동 등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내란 옹호 논란을 자초한 꼴이 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충남 공주·부여·청양)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명절 선물 발송 현황' 자료에 따르면, 유인촌 장관이 이끌던 문체부는 2025년 1월 설 연휴를 맞아 국민의힘 지도부 3인에게 개당 4만2700원 상당의 '도라지정과 세트'를 명절 선물로 보냈다. 대상은 당시 국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추경호 의원이었다.
문체부는 그동안 유관위원회인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야 위원과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위원장과 양당 간사에게 선물을 발송해왔다. 특정 정당의 지도부에게만 선물을 보낸 사례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는 게 박 의원의 설명이다.
![]() |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되자 일부 지지자들이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을 습격한 1월 19일 오전 서부지법 후문에 현판이 쓰러져 있다. |
12·3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올해 1월은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으로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고 서부지법 폭동 등으로 인해 정치·사회적으로 민감하던 시기다. 선물을 받은 3명 모두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와 집행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 문체부는 “당정 간 협의 강화 차원에서 여당 지도부를 추가했다”고 박 의원 측에 해명했지만, 당시 추경호 의원은 이미 원내대표를 사퇴해 지도부가 아니었다.
박수현 의원은 "여당 지도부만을 대상으로 한 명절 선물 발송은 전례 없는 행위로 특히 민감한 시기에 매우 부적절했다"며 "내란 사태로 온 국민이 충격과 분노를 느끼던 시기에 정부 부처가 특정 세력을 두둔하고 격려한 것은 공직자의 역할을 망각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 맞은 10월 추석에는 양당 지도부 모두 명절 선물 발송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