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민석 국무총리가 28일 대전 중구 대흥동 제과 상점가를 방문해 빵과 젤리, 푸딩 등을 시식하고 상인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이성희 기자 token77@ |
김 총리는 이날 대전 중구 대흥동 일대의 '빵지순례' 제과 상점가를 돌며 상권 활성화 현황을 점검하고 상인들과 간담회를 갖는 등 지역경제 현장을 챙겼다.
이날 방문은 성심당을 찾는 관광객들 사이에서 유명해진 이른바 '빵지순례' 코스의 실제 운영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일정으로, 콜드버터베이크샵·몽심·젤리포에·영춘모찌·땡큐베리머치·뮤제베이커리 순으로 이어졌다.
현장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박용갑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중구), 김제선 중구청장과 김승훈 영춘모찌 대표를 비롯한 제과 상권 관계자 4명이 참석해 정책의 실효성과 현장에서 체감하는 어려움을 논의했다.
그는 대전 제과 상권이 성심당을 중심으로 개성 있는 공간들이 이어지며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냈다는 점을 짚으며 "개성을 가진 공간들이 하나의 시너지를 내면서 발전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는 흔히 혁신 기술 중심으로만 지원하지만 지역의 협업이나 문화적인 부분에도 범주를 넓혀 정부·지방정부가 함께 지원할 방법을 고민해보겠다"며 "(훗날) '빵 혁신 클러스터'가 될 곳을 와서 보는 것이 뜻깊었다"고 덧붙였다.
이어 김 총리는 APEC 이후 국가 전략 방향과 관련해 "포스트 APEC인데 뭐로 가야 하나 생각했다. 하나는 지방으로 가야 하고, 또 하나는 문화로 가야 한다"며 지역 상권과 문화산업의 결합이 국가 경쟁력과도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중구는 이미 2025~2026년 동네상권발전소(글로컬 사업), 2026~2030년 상권활성화 사업 등 정부 지원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제선 중구청장은 "연계 상권 발굴과 업종 간 네트워크 활성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청년 창업이 늘고 있지만 상권 특성상 임차보증금 부담이 커 초기 창업이 어렵다. 청년 창업 보증금 지원제도 같은 정부 차원의 후속 지원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김 총리는 상권 점검을 마친 뒤 충남대학교로 이동해 '제4차 미래대화 1·2·3'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고졸 청년 대출금리 인하, 청년미래적금 우대형 확대,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 허용 등 다양한 청년 제안을 직접 청취했다.
현재 대학생은 학자금 생활비 대출을 연 1.7%로 이용할 수 있으나, 고졸 청년은 햇살론유스 이용 시 약 5%의 금리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한 청년이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자 김 총리는 "고졸 미취업 청년도 대학생들이 받는 학자금(생활비) 대출금리 수준의 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반드시 개선하겠다"고 답했다.
청년미래적금 우대형(정부지원 12%)의 대상을 중소기업 신규 취업자뿐 아니라 기존 재직자까지 확대해달라는 제안에도 "일정 소득 이하 중소기업 재직자로 넓힐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국회와 협력해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의 갈아타기 허용·비과세 확대 건의에 대해 금융위는 "관련 예산안과 법안이 국회 심사 과정에 있다"며 "원활한 시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그동안 미래대화 1·2·3에 참여한 청년들을 포함한 청년자문단을 구성해 계속 청년들의 목소리를 듣겠다"며 "각 부처 장관들이 청년들과 적어도 두 달에 한 번 만나 직접 목소리를 듣고 토론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화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최화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