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칼럼] 월간 '대전예술'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월간 '대전예술'

조부연 대전예술편집위원

  • 승인 2025-10-29 17:04
  • 신문게재 2025-10-30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5091701001562600066451
조부연 대전예술편집위원.
대전예총이 펴내는 월간 '대전예술'은 대전이라는 도시의 숨결을 담아내는 예술지다. 지역 예술의 현장을 발굴하고, 예술가의 생각을 전하며, 시민의 삶 속에서 피어나는 문화의 흐름을 세심하게 기록해 왔다. 화려하지 않지만 묵직한 진심으로, 대전예술은 대전 문화예술계의 맥박을 오롯이 전하고 있다.

대전예총은 한국예총의 지역 조직으로, 문학·미술·음악·무용·연극·국악·사진·영화·건축 등 다양한 예술 단체를 아우르는 연합체다. 대전예총은 각 예술 분야의 교류를 이끌며 지역 예술인의 활동을 지원하고, 시민의 문화 향유를 넓히기 위한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런 대전예총의 활동이 응축되어 매달 한 권의 책으로 태어나는 것이 바로 월간 대전예술이다.

대전예술은 대전의 예술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소식을 가장 생생하게 전하는 미디어다. 전시, 공연, 축제, 세미나, 공모전 등 지역 예술의 일정이 세밀히 기록되고, 현장에서 땀 흘리는 예술가들의 이야기가 살아 숨 쉰다. 특히 예술가 인터뷰 코너인 '만나고 싶었습니다'는 이 잡지의 핵심이다. 각자의 예술 세계를 고집스럽게 걸어온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우리는 예술이란 단어의 무게를 새삼 느끼게 된다. 대전예술은 종이책을 출간하는 동시에 온라인 오픈뷰어를 통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으로 펼쳐보는 전자 잡지는 이제 대전 예술의 '공유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성과의 이면에는 대전예총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다. 대전예총 연합회장(성낙원)과 사무국, 그리고 편집위원회(편집위원장 도완석)의 헌신으로 월간 대전예술은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원고는 편집위원의 손에 의해 작성된다. 기사를 쓰기 위해 편집위원들이 사방팔방 뛰어다닌다. 인터뷰어를 찾아 곳곳을 누빈다. 인터뷰한 디지털 음성을 타이핑하여 글로 정리한다. 신간 소개를 위해 소설과 시를 탐독하고 각종 전시와 공연, 영화 리뷰를 위해 사비를 들인다.



취재를 위해 옥천으로 가는 길에 같은 편집위원인 대전문학관 조성남 관장이 이렇게 물었다. "대전예술에 참여하면서 도움 되는 게 있나요?" 쉽게 대답할 수 없었다. 대충 얼버무리고 '힘든 일'이라는 뉘앙스만 비췄다. 너무 힘들고 어려운 일이며 기사를 쓰기 위해 시간을 내기가 쉽지 않다. 무엇보다 '글쓰기' 자체가 너무 힘들다. 한 편집위원이 다른 편집위원의 글 내용을 지적했을 때 많은 편집위원은 한결같이 이렇게 답했었다. "우리는 곡을 연주하고 그림을 그리며 사진을 찍는 행위자들입니다. 글쓰기 전문가가 아닙니다. 하지만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글에 대해 나무랐던 편집위원이 고개를 들지 못했다.

전국의 지역 예총에서 월간 예술지를 발행하는 곳은 대전과 부산뿐이다. 한국예총조차 월간 '예술세계'를 발행하다가 현재는 연간 발행으로 바뀌었다. 강원, 충남, 충북도 연간 발행에 그치고 있다. 분기마다 발행하는 대구, 울산. 인천은 일 년에 두 번 발행한다. 그나마 세종, 전북, 광주, 전남, 경북, 경남, 제주는 예술지 발행을 하지 않고 있다.

몇 해 전, 재정상 어려움 때문에 분기별로 발행하자는 의견이 편집회의에서 다뤄졌을 때 모든 편집위원이 '월간'을 고집했다. 힘들지만 계속되어야 한다고 모두 '사명감'이란 눈빛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언제까지 개인의 사명감에 의존할 수 있을까. 언젠가는 분기별, 연간 발행으로 주저앉을지 모른다. 월간 대전예술의 편집위원들은 정당한 보상-을 바라지 않는다. 다만 발행하는 월간지의 지면을 단 4페이지라도 더 늘리고 조금 더 좋은 인쇄용지로 바꾸기를 바란다. 가끔 전문 필진에게 의뢰하는 기사만이라도 정당한 원고료가 지급되길 바랄 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4.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5.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1. 아산시, "지중해마을에서 가을의 정취 흠뻑 느껴보세요"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4.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5.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헤드라인 뉴스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국시리즈(7전 4선승제) 원정 두 경기를 LG 트윈스에 패배한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9일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차전을 7-3 승리로 장식하며 반격을 시작했다. 한화는 29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LG를 맞아 7-3으로 승리했다. 먼저 앞서나간 건 한화다. 2회 말 채은성과 하주석의 연이은 안타로 1사 1, 2루 기회에서 최재훈은 좌전 안타로 상대 좌익수 포구 실책을 유발하며 선취점을 뽑았다. 그러나, 1·2차전을 모두 승리한 LG의 반격은 날카로웠다...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인 29일 한미 정상이 만나 난항을 겪던 한미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497조700억원) 중 2000억 달러(284조1000억원)는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28조4040억원)으로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북 경주에 마련된 ‘2025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관세 협상 세부내용을 합의했다"며 협상 내용을 발표했다.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3500억..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