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모습(사진=서산시 제공) |
![]() |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모습(사진=서산시 제공) |
![]() |
| 이완섭 서산시장이 30일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의 국보 승격에 관해 설명했다.(사진=서산시 제공) |
![]() |
| 이완섭 서산시장이 30일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의 국보 승격에 관해 설명했다.(사진=서산시 제공) |
이완섭 서산시장은 30일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보원사지 오층석탑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962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지정 이후 63년 만에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이 국보로 승격되는 쾌거를 이뤘다"고 밝혔다.
서산시에 따르면, 이번 승격은 오는 12월 국가유산청의 고시를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며,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이후 약 60여 년 만에 국보로 격상되는 것이다.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은 백제계 석탑의 간결한 구조와 신라계 석탑의 세련된 조형미가 조화를 이룬 고려시대 초기 석탑으로, 충청권에서는 보기 드문 팔부중상 조각이 기단부에 새겨져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된다.
또한, 1968년 해체·보수 과정에서 사리함과 사리병, 납석제소탑 등 불교 유물이 발견되어 고려 초기 불교 조형미와 의식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서산시는 2016년부터 정밀실측 조사를 시작으로 관련 학술연구를 지속해 왔으며, 전문가 세미나를 통해 석탑의 예술적·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했다. 2023년에는 국가유산청에 국보 지정을 신청, 문화유산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날 지정 예고를 받았다.
정범 보원사 주지 스님은 "보원사는 백제부터 고려에 이르는 긴 세월 동안 지역의 신앙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며 "이번 국보 승격은 서산 불교문화의 영광을 다시 빛내는 일"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탑과 사찰이 함께 보존될 수 있도록 지역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지역 주민 김모 씨는 "아이들 손을 잡고 보원사지를 자주 찾는데, 이제는 '국보'로 자랑할 수 있게 되어 너무 기쁘다"며 "서산이 문화유산 도시로 한 단계 성장한 것 같아 감격스럽다"고 말했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이번 국보 지정 예고는 시민의 문화 자긍심을 높이는 역사적 사건"이라며 "서산의 문화유산이 세계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보존과 활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국보 승격 과정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인 성일종 국회의원께도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서산시는 이번 오층석탑 국보 승격으로 국보 2점과 보물 21점, 사적 3곳을 보유하게 됐다. 시는 향후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국보 승격 추진과 명종대왕 태실의 유네스코 잠정목록 등재 등 문화유산 위상 제고 사업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붕순 기자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0m/29d/만찬22.jpe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