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나전산수무늬삼층장 (사진=배재대 제공) |
앞서 국가유산청은 지난 8월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해당 문화유산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
이날 지정서 교부식은 조보현 학교법인 배재학당 이사장, 김종헌 배재학당역사박물관장, 이종희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장, 이종숙 국가유산청 민속유산팀 연구관, 신탁근 전 온양민속박물관장,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장, 김정희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이사장, 김삼대자 전 문화유산위원, 양석중 국가무형문화유산 소목장 이수자가 참석했다.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은 19세기 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180.3㎝, 가로 114.9㎝, 세로 54.6㎝에 문자와 꽃, 과실 등 다채로운 무늬가 나전으로 장식됐다. 정면 전체와 양측 측면은 산수문과 산수인물문(자연경관과 인간의 모습을 함께 묘사) 위주로 구성돼 있고 귀갑문(거북이 등껍질처럼 겹친 육각형으로 연결된 무늬)처럼 여러 나전 무늬가 장식돼 있다. 정면에 문짝 6개 안쪽엔 과석 화훼도(괴상한 모양의 돌과 화초가 그려진 그림)가 장식돼 화려함을 보여준다. 상단부 천판의 돌출부는 짧게 하고 앞면 전체 구조를 판재처럼 가공하는 통영 지역 제작 양식으로 만들어졌다.
![]() |
| 고종이 배재학당 설립자인 아펜젤러 선교사에게 선물한 전통 가구 '나전산수무늬삼층장(螺鈿山水文三層欌)'의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서 교부식이 30일 서울시 정동에 위치한 배재학당역사박물관에서 열려 조보현 학교법인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사진은 김종헌(왼쪽 넷째) 배재학당역사박물관장이 이종희(오른쪽 넷째) 국가유산청 문화유산국장에게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서를 받고 있는 모습. (사진=배재대 제공) |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은 아펜젤러 선교사 집안에서 대를 이어 보관해 왔다. 2022년 아펜젤러 선교사의 외증손녀 다이앤 크롬 여사가 문화유산적 가치와 아펜젤러의 헌신을 알리기 위해 배재학당역사박물관에 기증하며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1885년 조선에 입국한 아펜젤러는 '유용한 인재를 기르는 집'이라는 뜻의 '배재학당(培材學堂)'을 설립했다.
배재학당은 배재대학교를 비롯해 배재중, 배재고, 배재대 부속유치원으로 발전을 거듭해왔다.
조보현 학교법인 배재학당 이사장은 "배재학당 창립 제140주년인 올해 아펜젤러 선교사의 공을 높이 산 유물이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돼 감회가 남다르다"라며 "배재학당이 우리나라 근대사의 한 축을 맡아 인재를 양성했다는 사명감이 돋보이는 장면"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배재학당역사박물관(서울특별시 기념물)은 전시실에서 국가민속문화유산지정을 기념해 '고종황제의 선물, 나전산수무늬삼층장'을 10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 매주 토요일에 한정해 공개된다. 관람료는 무료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정바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