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31년간의 염전사업을 마무리하며 또 한 번의 인생 전환점을 맞이한 강경환 (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서산시지회장이 지역사회의 큰 감동을 전하고 있다.(사진=(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서산시지회 제공) |
![]() |
| 31년간의 염전사업을 마무리하며 또 한 번의 인생 전환점을 맞이한 강경환 (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서산시지회장이 지역사회의 큰 감동을 전하고 있다.(사진=(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서산시지회 제공) |
![]() |
| 31년간의 염전사업을 마무리하며 또 한 번의 인생 전환점을 맞이한 강경환 (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서산시지회장이 지역사회의 큰 감동을 전하고 있다.(사진=(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서산시지회 제공) |
강 회장은 두 손이 없는 장애의 몸으로 염전을 일구며, 포기 대신 희망을 선택하고, 노동의 땀방울을 이웃사랑으로 바꿔온 '기부천사'의 삶이 다시금 조명되고 있다.
강 지회장은 학창시절이던 13세 겨울, 해변에서 놀다 전쟁 중 매설된 대인지뢰 폭발사고로 양손을 잃었다. 절망 속에 3년을 집 안에 머물며 삶을 포기했던 그는, 한 장애인 강사의 강연을 듣고 "나도 이분처럼 살아야겠다"는 희망을 품으며 다시 세상 밖으로 나왔다.
이후 아버지 친구의 권유로 염전사업에 뛰어든 그는, '손 몽둥이'로 소금을 젓고 새벽까지 물을 대는 고된 노동을 이어갔다. 그렇게 시작된 '손 없는 염부(鹽夫)'의 도전은 어느덧 31년. 그는 소금 한 포대에서 1,000원을 떼어 어려운 이웃을 돕는 나눔을 실천했고, 그 누적액은 7억8천만 원에 달한다.
2001년에는 스스로 기초생활수급자 신분을 반납하며 "이제는 내가 남을 도울 차례"라며 진정한 나눔의 의미를 행동으로 보여줬다.
강 지회장은 이후 (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서산시지회장으로 취임해 장애인 복지 증진과 권익 신장을 위해 헌신했다. 또한 사랑의 밀알 봉사회 대표, 서산시장애인체육회 부회장,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센터장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해왔다.
그는 2011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비롯해 다수의 상을 받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손이 없지만, 그 대신 사랑을 배웠다. 나눔은 제게 살아 있다는 증거이자 삶의 이유였다." 강 지회장은 이같이 밝히며 "염전사업은 마무리하지만, 장애인 권익 향상과 사회적 통합을 위해 더 많은 봉사로 보답하겠다"고 각오를 전했다.
그는 이어 "조금만 마음을 내면 사랑은 계속 이어지고, 나눔은 더 커진다"며 "31년간 함께해 준 가족과 동료들, 그리고 서산시민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강 지회장은 염전사업을 마감한 후에도 지회장으로서 장애인 복지 향상과 사회적 참여 확대를 위한 새로운 계획을 준비 중이다.
강 회장은 "이제는 조금 숨을 고르고, 미뤄뒀던 가족과의 시간, 여행, 취미도 즐기며 제2의 인생을 시작하려 합니다. 하지만 나눔의 마음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 지회 직원 여러분, 지금까지 함께해줘서 정말 고맙다. 앞으로는 여러분이 제 버팀목"이라며 "함께 웃고, 함께 성장하는 서산지회를 만들어 가자"며 "장애를 넘어 사랑으로 하나 되는 세상을 위해, 우리의 발걸음을 멈추지 말자"고 밝혔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붕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