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영수 예산소방서장 |
또한 콘센트에 여러 전기기기를 연결하는 문어발식 배선을 절대 피해야 합니다. 더불어 주기적인 피난훈련과 비상구 점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실제 화재 상황에서는 몇 초의 판단이 생사를 가르기 때문에 평소 대피 요령을 숙지하고 훈련을 반복하는 것이 인명피해를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피난경로에 장애물이 없는지, 비상벨과 유도등이 정상 작동하는지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전통시장은 대부분 점포 간 간격이 좁고 전기배선이 노후돼 있어 화재 위험이 상존합니다. 겨울철 전기히터나 열선이 점포 곳곳에 사용되는데, 관리가 소홀하면 한 점포의 불이 순식간에 시장 전체로 번질 수 있습니다. 상인 스스로가 화재 예방의 주체가 돼야 합니다. 각 점포에 소화기를 비치하고, 비상소화함 위치를 숙지하며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기의 전원은 반드시 차단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또한 전선 피복이 벗겨진 부분은 즉시 교체하고, 장시간 가열기구를 켜두지 않는 등 작은 실천이 큰 피해를 막습니다.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기 때문에 한 번의 화재가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관계인들은 비상구나 통로를 물건으로 막아두지 말고 피난 유도등이 정상 작동하는지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직원 대상 화재 대피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용객들 또한 시설 내 비상구 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화재 발생 시 질서 있게 대피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최근 들어 주택화재의 절반 이상이 전기적 요인이나 부주의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전기장판이나 전기히터를 접어서 보관하거나, 장시간 켜두는 행동은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멀티탭에 여러 전열기기를 동시에 꽂는 문어발식 사용, 낡은 콘센트를 그대로 사용하는 습관도 위험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기의 전원은 반드시 빼고, 난방용품은 안전인증(KC)마크가 표시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 내에서의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감지기 두 가지만 있어도 초기 화재 진압과 대피에 큰 차이를 만듭니다. 특히 감지기는 화재 초기에 경보음을 울려 생명을 구하는 '작은 영웅'입니다. 소화기를 눈에 잘 띄는 장소에 두고, 가족 구성원 모두 사용법을 익혀둔다면 화재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화재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지만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재난입니다. 작은 부주의가 큰 피해로 이어지는 만큼 각자의 위치에서 한 번 더 점검하고 조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이웃 간 서로의 안전을 챙기고 전열기구 사용이나 가스 밸브 차단 등을 확인하는 작은 관심이 모이면 큰 재난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예산소방서는 군민 여러분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겨울철 화재 예방 순찰과 취약시설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자율안전점검 및 홍보 캠페인을 통해 '안전한 예산'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11월 한 달, 불조심 강조의 달을 맞아 우리 모두가 '내 가족, 내 이웃의 안전을 지킨다'는 마음으로 작은 실천을 시작하길 바랍니다. 화재예방은 관심에서 시작되고, 그 실천이 생명을 구합니다.
'작은 관심이 큰 피해를 막습니다.' 여러분의 안전한 겨울을 예산소방서가 함께하겠습니다. 전영수 예산소방서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신언기 기자


![[대전 유학생한마음 대회] "코리안 드림을 향해…웅크린 몸과 마음이 활짝"](https://dn.joongdo.co.kr/mnt/webdata/content/2025y/11m/10d/118_20251110010008006000339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