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시평] '캐파민' 시대

  • 오피니언
  • 중도시평

[중도시평] '캐파민' 시대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 승인 2025-11-25 13:37
  • 신문게재 2025-11-26 18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2023082801010014786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커튼을 걷으며 따사로운 햇볕을 쬐고, 진한 향의 커피와 함께 하루를 시작하며, 갓 구운 빵에 작은 행복을 느낀 적이 있다. 고양이의 발바닥, 새로 산 리필 노트 같은 일상의 소소함 속에서 위로를 찾은 적도 있었다. 흔히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으로 대변되는 문화였다. 소확행 시대를 이은 건 욜로(You Only Live Once) 문화였다. 한때 인생의 구호이기도 했다. 내일보다 오늘을, 저축보다 여행을, 불확실한 미래보단 오늘의 행복을 택하던 세대의 외침이었다. 그러다 스마트폰이 세상의 창이 되면서 '숏츠' 문화가 등장했다. 짧을수록 좋고, 자극적일수록 클릭 된다. 15초 안에 웃기고 울리고 감동시켜야 했다. 인간의 집중력은 금붕어보다 짧아졌고, 손가락은 다음 영상으로 도망치기 바빴다. 행복은 즉각적이고, 감정은 점점 가벼워졌다.

그리고 이제, 새로운 중독의 시대가 도래한 듯하다. 이름하여 '캐파민(Capamin)' 문화다. 캐릭터(character)와 도파민(Dopamine)의 합성어로, 귀여운 캐릭터에 의해 분비되는 행복 호르몬을 의미한다. 요즘 사람들은 감정노동의 시대를 캐릭터로 버틴다. 사무실 데스크엔 '라이언'과 '춘식이'가 스트레스를 포장한다. 메신저엔 귀여운 고양이나 토끼가 자리 잡는다. 현실은 야근인데, 톡방 이모티콘은 늘 웃고 있다. "힘들다" 대신에 "오늘은 다람쥐처럼 굴러간다"는 식이다. SNS는 더 활발하다. 감정의 원색 대신 캐릭터의 파스텔톤이 넘친다. 감정의 대리인이 등장한 것이다. SNS의 마스코트는 하나의 심리적 피난처가 됐다. 인간 대신 캐릭터가 말하고, 감정을 대신 느낀다. 웃을 힘이 없으니 웃는 캐릭터에게 도파민을 위탁하는 셈이다.



최근에는 AI 캐릭터 친구까지 등장했다. 인공지능이 내 기분을 이해해 주는 듯한 말을 건네고, 나 대신 웃어준다. "오늘 수고했어"라는 한 마디에 우리는 진짜 사람보다 더 큰 위로를 느낀다. 가상의 존재가 현실의 외로움을 덮는 시대다. 실존의 외로움을 가상 존재의 귀여움으로 달래는 풍경이다.

브랜드도 이러한 캐파민의 전략을 놓치지 않는다. 패션 브랜드는 상품보다 캐릭터 콜라보를, 식품기업은 맛보다 패키지의 귀여움을 판다. 편의점 음료 하나에도 도파민 포인트가 숨어 있다. 뚜껑을 열면 토끼가 웃고, 스티커엔 "오늘도 예쁘다"가 적혀 있다. 맛은 기억나지 않아도 캐릭터는 남는다. 기업은 젊은 세대의 감성으로 재해석한 복고풍인 '뉴트로(new+retro)' 전략을 통해 캐릭터를 이용한 펀(fun) 마케팅을 추구한다.



캐파민 문화의 핵심은 감정의 즉시성이다. 복잡한 감정은 귀여움으로 단순화되고, 공감은 '좋아요'로 대체된다. 감정의 깊이보다 반응의 속도가 중요해졌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이 아니라,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의 표정을 빌려 세상과 소통한다. 물론 캐릭터가 나쁜 건 아니다. 캐릭터는 우리의 감정을 보호하는 방패이자, 감정 소모의 시대를 버티게 하는 방석과도 같다. 문제는 그 방석이 너무 폭신해서 현실의 불편함을 느낄 감각조차 무디게 하는 데 있다. '귀여움'은 마취제이고, '도파민'은 순간적인 약효에 불과할 수 있다.

우리는 이제 자문해 봐야 한다. 우리를 웃게 하는 건 캐릭터의 미소인가, 아니면 그 뒤의 진짜 나 자신인가. 도파민의 파도 위를 타는 것도 나쁘지 않다. 다만, 그 파도가 꺼졌을 때도 스스로 웃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소확행'이 진정성을, '욜로'가 자유를, '숏츠'가 자극을 상징했다면, '캐파민'은 위로의 대리 시대를 상징한다. 사람의 대리가 아닌 사람 본연의 모습으로 대면하는 문화가 간절해진다. 캐릭터 대신 진짜 나의 얼굴로, 도파민 대신 인간의 감정으로 살아가는 시대 말이다.

캐파민 문화는 단순히 귀여운 걸 좋아하는 트랜드가 아니다. 그건 현대인의 피로, 외로움, 감정의 피난처가 캐릭터라는 매개로 번역된 현상이다. 우리는 오늘도 톡방 속 고양이에게 하트 이모티콘을 보내며 이렇게 속삭인다. "내 도파민, 잘 지내고 있니?" /원구환 한남대 기획조정처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2.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3.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4.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5.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1.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2.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3.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4.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5.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헤드라인 뉴스


갑천에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국회의원 전원, ‘2027 충청U대회 성공법’ 공동 발의

충청권 여야 국회의원 27명 전원이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U대회) 성공 개최를 위한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의원은 25일 국제경기대회 조직위원회가 대회 운영에 필요한 기부금품을 직접 접수·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제경기대회 지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공동으로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제도에서는 조직위원회가 기부금품을 접수할 때 절차가 복잡해 국민의 자발적인 기부 참여가 제한되고, 국제경기대회 재정 운영에 있어 유연성이 낮다..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 충남서 ASF 첫 발생… 도, 긴급 차단방역

국내 최대 돼지 사육지역인 충남에서 치사율 100%(급성형)에 달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처음으로 발생했다. 충남도는 ASF 확산을 막기 위해 도내 양돈농가 등에 상황을 전파하고, 이동 제한 등 긴급 차단 방역에 돌입했다. 25일 도에 따르면, 총 463두의 돼지를 사육 중인 당진시 송산 돼지농가에서는 지난 17∼18일 2마리가 폐사하고, 23∼24일 4마리가 폐사했다. 농장주는 수의사의 권고를 받아 폐사축에 대한 검사를 도에 의뢰했다. 도 동물위생시험소는 폐사축에 대한 ASF검사를 진행, 이날 오전8시 양성 판정을 내렸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