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추야술회'는 '가을밤에 회포를 읊다'라는 뜻으로, 가을밤의 정취 속에서 외롭고 고독한 심정을 토로하는 시라고 할 수 있다.
외로운 등불 가물가물 시름을 돋우는데/단심을 다 태워도 마음은 편치 않다/창 들고 나갔으나 나라 운명 못 돌리고/무딘 붓으로 청구 역사 그려본다/이역 방랑 십 년, 수염에는 서리 내리고/병들어 누운 깊은 밤, 달빛은 누각에 비친다 (단재의 칠언율시 '추야술회' 중에서)
"고등경경반인수(孤燈耿耿伴人愁)"라는 구절은 '가물거리는 외로운 등불 아래 근심이 나를 동반한다'는 뜻이다. 이는 독립운동의 외로운 길을 걸으면서 느꼈던 고독함과 민족의 미래에 대한 근심, 그리고 개인적인 번뇌가 어우러져 더욱 처절하게 느껴지는 구절이다. 어두운 가을밤, 홀로 앉아 나라의 운명을 걱정하고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는 선비의 모습이 절로 떠오른다. 이 시는 단재 신채호가 43세였던 1922년에 쓴 칠언율시로, '추야술회'에는 나라 잃은 슬픔과 애수가 잘 드러난다. 단재는 교육자, 언론인, 역사학자였고 독립운동가로 육체와 영혼을 모두 조국에 바쳤다. 그는 또한 시인이었다. 하지만 그는 시를 위해 시를 쓴 적이 없다. 단재의 이러한 시들은 그 자체로 문학적 가치도 높았지만, 당시 시대 상황과 독립을 염원했던 우리 민족의 아픔과 의지를 담고 있다. 이 시들을 통해 선생의 고결한 정신과 굳은 신념을 느껴볼 수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으로 온 나라가 들썩일 때 충남 대덕군 산내면 어남리 도리미 마을 (현 대전 중구 어남동)콩밭 돌무더기 옆에 작은 표지석이 세워졌다. 대전 지역의 민간 향토사 단체인 '옛터를 생각하고 돌아보는 모임'(옛.생.돌.모임)에서 단재 신채호 선생이 태어나신 터를 찾아내고 이를 알리기 위해 작은 표지석을 세웠다. 그 후 이곳이 대전시로 편입되며 생가터가 시 기념물로 등재되며 본격적으로 생가터 발굴과 생가 복원이 이루어졌고, 인근에 동상도 세워졌다. 2007년부터 대전의 시민 단체가 주축이 되어 단재가 태어난 12월 8일에 생가 동상 앞에서 탄생 기념 헌화식을 시작하여 오늘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올해도 12월 8일 145주년을 맞는 단재 선생의 탄신기념식이 도리미 생가터에서 전국 행사로 거행될 예정이다. 선생은 나라 잃은 슬픔에 조국의 완전한 독립을 위해 풍찬노숙하며 이역 땅에서 조국을 위한 헌신으로 외로운 길을 걸었다. 저물어 가는 광복 80주년 어느 날, 초가지붕 이엉이 썩어 무너져 내려 초라한 모습의 단재 생가 앞에서 '추야술회'를 보며 한없는 부끄러움에 고개를 숙인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최화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