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장우 대전시장이 26일 충남대병원 임상교육시뮬레이션센터를 방문해 실습모형 앞에서 청진기 진찰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은 26일 오후 충남대병원을 방문해 '지역·필수의료 및 연구 강화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이장우 대전시장은 충남대병원 결핵관리실과 치과, 혈관조영실, 의생명융합연구센터를 둘러본 후 임상교육시뮬레이션센터를 방문해 첨단 장비를 참관했다. 병원 임직원을 대상으로 '일류경제도시 대전의 미래전략과 시정방향'을 주제로 40분간 특강했다.
이장우 시장은 "지방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의료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진료와 연구 인프라 강화를 지원하여 지역·필수의료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대전시민의 건강권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진선 충남대병원 기획조정실장은 '지역의료 강화 중장기 발전방향' 발표를 통해 2031년 개원을 목표로 충남대병원 현대화 사업 계획을 이 시장에게 보고했다. 경기도 광명시가 시책사업의 일환으로 700병상 규모의 중앙대 광명병원을 2022년 개원한 것을 비롯해, 의정부시 미군반환 공여지를 활용한 정책에서 902병상의 의정부 을지대병원이 개원했다. 또 전남대병원은 2004년 화순전남대병원을 개원하고도 9629억원을 투자해 스마트병원을 신축 추진 중으로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이밖에도 부산대병원도 지금 대학병원의 재건축을 추진 중으로 7065억원의 예비타당성조사를 받고 있으며, 경북대병원도 본원 이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타당성 조사결과 20년 기준 타당성(B/C) 1.5로 조사됐다.
![]() |
| 이장우 대전시장이 26일 충남대병원 임상교육시뮬레이션센터를 방문해 실습모형 앞에서 청진기 진찰을 체험하고 있다. (사진=임병안 기자) |
이 실장은 "대전에서 암 진단 시점에서 지역 암환자 중 18.2%가 관외 병원으로 유출되는 반면, 암 수술 시점에서는 환자 중 37%가 유출되고 있다"라며 "암 환자 유출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고 지역 완결적 필수의료 확보하기 위해 병원시설 낙후와 장비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박정수 의생명연구원장은 '연구연략 강화사업 수행 계획' 보고를 통해 "대전에서 의사과학자 양성과 연구지원인력 확충을 통한 수월한 연구수행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조강희 병원장은 "대전시의 미래 전략에 부합하는 의료환경을 구축하고 지역 주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대전시와의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병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