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OX] 모음조화 많이 무너져… 깡충깡충, 오뚝이가 그 예

  • 문화
  • 우리말OX

[우리말OX] 모음조화 많이 무너져… 깡충깡충, 오뚝이가 그 예

[김용복의 우리말 우리글] 제250강 모음

  • 승인 2017-04-04 00:01
  •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 게티 이미지 뱅크
▲ 게티 이미지 뱅크


[김용복의 우리말 우리글] 제250강 모음

제8항 양성 모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뀌어 굳어진 다음 단어는 음성 모음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 ( )안을 버림.

예) ‣깡충-깡충(깡총-깡총)⟶큰말은 ‘껑충껑충’임.
‣-둥이(-동이)- 貴童-이. 귀둥이-, 막둥이-, 선(先)둥이-, 쌍둥이-, 검둥이-, 바람둥이-, 흰둥이-. (선(先)둥이는 쌍둥이 중 먼저 태어난 아이⟷ 후(後)둥이
‣발가숭이(발가송이)⟶센말은‘빨가숭이’, 큰말은 ‘벌거숭이, 뻘거숭이’ 임.
‣보퉁이(보통이) /
‣봉죽(봉족)⟶한자로는 [奉足]이라 쓰고 ‘봉죽’이라 읽음⟶일을 책임지고 맡아 하는 사람을 곁에서 도와줌 (奉足꾼⟶,일을 책임지고 맡아 하는 사람을 곁에서 도와주는 사람.) 봉죽들다.
‣아서, 아서라(앗아, 앗아라)⟶하지 말라고 금지하는 말.
‣오뚝-이(오똑-이)⟶부사도 ‘오뚝-이’임.
‣뻗정-다리(뻗장-다리) / ‣주추(주초)⟶柱礎. 주춧-돌.

다만, 어원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는 다음 단어에서는 양성 모음 형태를 그대로 표준어로 삼는다. ( )안을 버림.

예) ‣부조(扶助)(부주)⟶부조금, 부좃술. 부좃돈 등.
‣사돈(査頓)(사둔)⟶ 밭사돈, 안사돈 등.
‣삼촌(三寸)(삼춘)⟶ 시삼촌, 외삼촌, 처삼촌 등.

♣해설
국어는 모음조화(母音調和)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입니다. 그러나 모음조화 규칙은 현대로 오면서 많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8항도 애초 양성 모음이던 발음이 음성 모음으로 바뀐 단어들인 것입니다. 지금까지 모음조화 규칙에 얽매여 이 변화를 인정하지 않았던 것을 현실 발음을 받아들여 음성모음화 현상을 인정한 것이지요.

1. 종래의 ‘깡총깡총’은 언어 현실에 따라 ‘깡충깡충’으로, ‘오똑이’도 명사나 부사에서 다 ‘오뚝이’로 했습니다.
2. ‘-동이, 발가송이, 보통이’도 음성모음화를 인정하여 ‘-둥이, 발가숭이, 보퉁이’로 했고요.
3. ‘봉족(奉足), 주초(柱礎)’는 한자어 발음으로 읽지 않고 ‘봉죽, 주추’와 같이 음성모음 형태를 인정했습니다.
4. ‘뻗정다리’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말을 그대로 수용한 것입니다.
5. 종래의 금지사(禁止辭) ‘앗아, 앗아라’는 ‘빼앗는다’의 원뜻과는 멀어져 단지 하지 말라는 뜻이므로 발음대로 쓰기로 하고, 다시 언어 현실에 따라 음성 모음 형태를 취하여 ‘아서, 아서라’로 한 것입니다.

다만. 현실적으로 ‘부주, 사둔, 삼춘’이 널리 쓰이는 형태이나 이들은 어원을 의식하는 경향이 커서 음성모음화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査頓’은 우리나라에서만 쓰이는 단순한 한자 취음어(漢字取音語)이므로 ‘사둔’ 형태를 취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한자 표기 의식이 아직 강하게 남아 있으므로 그대로 ‘사돈’으로 하기로 한 것입니다.

김용복 한말글 사랑 한밭모임 회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TX 세종역 카드 폐기...CTX 2개 노선 현실화하나
  2.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3. 여섯권 수첩에 담긴 자필 일기 223편… '김대중 망명일기' 발간되다
  4. 희망의책 대전본부, 제18회 우리 대전 같은 책 읽기 올해의 책 선정
  5. 대전 6개 교사·공무원노조 "정치기본권 더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
  1. 충남 수해지역 도움 손길 이어져
  2.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3. 35도 폭염에 오전부터 대전·충남 온열질환자 속출
  4. 충남대 '대외협력추진위원회' 위원 41명 위촉… 지역사회 연계 강화
  5. 안철수, "보 철거보단 지류 정비하는 쪽으로"… 이재명 4대강 재자연화 재검토 필요

헤드라인 뉴스


행복청, `행정수도청` 격상? 행정수도특별법 통과에 달렸다

행복청, '행정수도청' 격상? 행정수도특별법 통과에 달렸다

2006년 개청한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이 20년 만인 2026년 '행정수도청'으로 격상된 조직으로 탈바꿈할지 주목된다. 행복청은 2030년 세종시 국책사업 완성을 목표로 나아가고 있으나 수년째 2000억 원 안팎 예산으로 축소된 조직을 운영해왔다. 행정수도청이란 새 이름 부여는 5월 1일 조국혁신당, 6월 24일 더불어민주당이 발의한 '행정수도특별법'의 연내 통과 여부에 달려 있다. 2003년 12월 신행정수도건설특별조치법 이후 22년 만인 올해 12월 국회 문턱을 다시 넘는다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 완성에 한걸음 더..

장동혁 “12·3 비상계엄 민주·국힘 모두 책임”… 대표 출마선언
장동혁 “12·3 비상계엄 민주·국힘 모두 책임”… 대표 출마선언

국민의힘 장동혁 국회의원(충남 보령·서천)은 23일 12·3 비상계엄 유발의 책임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에게 있다는 점을 내세우며 당 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과 지지 기반이 취약한 지역 인사 중용 등의 공약도 제시하며 소위 ‘영남 자민련 탈피’도 강조했다. 장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박물관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계엄은 수단이 잘못되기는 했지만, 윤석열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 끊임없이 의회 폭거를 저지른 민주당에 커다란 책임이 있고 그에 맞서 제대로 싸우지 못하고 내부총질만 일삼았던 국민의힘에게도 나머..

행복청, `대통령실·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응
행복청, '대통령실·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대응

행복청이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사당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을 전제로 한 실행 로드맵을 추진한다. 행정수도 추진을 공약으로 내건 대통령실과 이미 국회법에 따라 관련 절차를 실행 중인 국회 사무처 협의를 전제로 한다. 다만 이 과정에서 대통령 세종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 완공 시기는 각각 2029년, 2033년으로 지연될 전망이다.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 당시에는 각각 2027년 완공으로 제시된 바 있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23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대통령 집무실의 경우, 처음엔 부분 이전으로 검토를 했던 적도 있다. 지금은 완전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자연을 느끼며 책을 읽을 수 있는 ‘숲속의 문고’ 개장 자연을 느끼며 책을 읽을 수 있는 ‘숲속의 문고’ 개장

  • 온열질환자 발생 대비 구급 물품 점검 온열질환자 발생 대비 구급 물품 점검

  •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가장 더운 대서…펄펄 끓는 도로

  •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 꿈돌이 라면, 막걸리 이어 ‘꿈돌이 호두과자’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