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7.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세권 알아보기

  • 경제/과학
  •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7.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세권 알아보기

  • 승인 2017-10-09 17:18
  • 수정 2017-10-09 17:20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지하철 대전역
<SAMSUNG DIGITAL CAMERA>
7.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세권 알아보기

대전역 하면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노래 <대전 블루스>가 있다. 몇 명의 가수가 리메이크해 불렀는지 모를 그야말로 국민 노래다.

이중 당대의 가왕이라 불리는 조용필의 <대전 블루스>가 특히나 인상적이다. 허스키하면서 고음으로 올라갈수록 전율을 일으킨다.

/잘 있거라 나는 간다/



/이별의 말도 없이/

/떠나가는 새벽 열차/

/대전발 영시 오십분/

아마도 이 노래 때문에 대전의 이미지가 더욱 전국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을까 생각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암튼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은 국철 대전역과 한몸이다. 그리고 대전역을 상징하는 노래가 있으니 바로 <대전 블루스>라 하겠다.

대전도시철도 대전역은 중앙로 지하상가로 이어지는 출입구, 국철 대전역 광장으로 이어지는 출입구, 대전역세권재정비촉진지구인 동구 소제동 방면의 출입구 등 모두 다섯 군데의 출입구가 있다.

▲인구분석= 상권 주변의 인구는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및 주거인구를 활용한 추정치로 올들어 6월 기준으로 1896가구에 주거인구는 3189명, 직장인구는 1만4642명으로 추산된다.

주거인구 현황에서 남성 1774명, 여성 1453명이며 연령대는 60세 이상이 1354명(남 646명, 여 708명)으로 전체의 42.46%로 다수를 이루고 이어 50대 725명, 40대 434명, 30대 280명, 20대 211명, 10대 104명 순이다.

직장인구는 남성 8579명, 여성 6063명이며 연령대는 40대~60대 이상이 70%를 차지했다.

이런 가운데 이 지역 주변의 유동인구는 SKT 통화량을 기초한 추정치로 올들어 8월 현재를 기준으로 일일평균 남성이 3만8976명, 여성 2만8990명 등 모두 6만7966명이다.

20대가 가장 많고 이어 40대, 30대, 50대 순으로 유동인구가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6시부터 줄곧 늘어나 오후 3시부터 오후 6시 차이 최고치에 이르러 이후 급격히 줄어드는 양상이다.

요일별로는 비슷한 수준인데 화·금·토요일 상대적으로 다소 많았다.

한편 대전도시철도공사가 분석한 올들어 8월 현재 도시철도 대전역을 이용하는 승객은 일일 평균 2만1884명으로 집계됐다.

상권을 둘러싼 지역에 버스정류장은 23개소가 있다.

▲주거형태 및 아파트= 올들어 6월 기준 국토교통부 자료를 통해 살펴본 상권 주변의 주거형태는 전체 1896가구 중 아파트가 129가구 비아파트가 1767가구로 나타났으며, 아파트 규모는 300세대 이하 단지다.

아파트 단지는 2015년, 2016년 1개 단지 69세대에서 올해는 4개 단지 92세대로 늘어났다.

▲소득 및 소비= 중구 대흥동과 은행선화동, 동구 중앙동, 삼성동 지역을 아우르는 대전도시철도 대전역 주변 인구의 소득은 거주인구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남성 294만~342만에서 올들어 상반기 현재 1만원 줄어든 293만~341만원이다.

여성은 지난해 상반기 239만~277만원에서 올 상반기 1만원 오른 240만~278만원이다.

직장인구는 남성이 지난해 하반기와 올 상반기 똑같이 331만~385만원이며, 여성도 지난해 하반기와 올 상반기 변화 없이 250만~290만원으로 나타났다.

소비는 거주인의 경우 남성이 지난해 하반기 126만~146만원에서 올 상반기 112만~130만원으로 10만원 이상 낮아졌고, 여성은 지난해 하반기 112만~130만원에서 올 상반기 98만~114만원으로 뚝 떨어졌다.

직장인의 소비도 지난해보다 올해 상당폭 하락했다. 남성이 151만~175만원에서 130만~152만원, 여성은 126만~146만원에서 110만~128만원으로 나타났다.

▲상권 및 입지= 일대 상권의 평가지수는 영업력이 향상하고 월등한 고객 유인력에 부정적 요인이 없어 대전시 전체 행정동 평가지수 평균값인 52.7점보다 높은 53.5점을 보였다. 은행선화동이 57.5점으로 높게 나왔다.

그러나 입지평가는 다소 부정적인 4등급으로 나왔다.

주변에 대형 전통시장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간이음식, 사무집기, 주점/고기요리, 한식/분식, 화장품 소매 업종의 입지평가가 높았지만 세탁/가사, 의류/패션, 이·미용, 종합소매 등의 업종은 낮은 평가를 얻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기대매출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업종은 음식업은 곱창/양구이전문, 제과점, 족발/보쌈전문점이며, 서비스업은 모텔/여관/여인숙, 발/네일케어/여성미용실로 나타났다.

소매업은 사무/문구용품, 신발 소매, 화장품판매점이 적합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승규 기자 es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3.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4.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5.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3.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5.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헤드라인 뉴스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최근 5년간 충청권 국립대학에서 타 대학·기관 등으로 이직한 교수 절반 이상이 이공·자연계열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외로 떠나는 수도권 대학교수들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교수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연쇄 이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에서 지역별 국가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교원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이다. 9일 국회 교육위 서지영 의원실이 최근 발표한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5월) 충남대·충북대 등 전국 지방거점국립대 9곳에서 이직한 교수는 3..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문을 열자 바닥에 흩어진 휴지 조각이 눈에 들어왔다. 몇몇 변기 칸은 이물질로 막혀 사용할 수 없었고, 비누통은 텅 비어 있었다. 휴지통이 없으니 누군가는 사용한 휴지를 변기 뒤편에 숨겨두고 갔다. 무심코 남긴 흔적은 청소 노동자에게는 전쟁 같은 하루를, 다른 이용자에게는 불쾌한 경험을 남긴다. 사회 전반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와 달리, 공중화장실만큼은 여전히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보완수사 존폐 기로… 검찰청 폐지안에 대전지검 긴장

정부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수사권을 분리하는 조직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보완수사권 존폐 논란이 재점화됐다. '검수완박'이라 불린 2021년 형사소송법 개정 때 검사장이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평검사들이 전국회의 소집을 요구했던 대전지검은, 지금은 겉으론 평온하지만 내부에선 일손을 잡지 못하는 모습이 역력하다. 최근 발표된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검찰청을 해체하고 기소 권한을 법무부 산하의 공소청으로, 수사 기능을 행정안전부 산하의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으로 분리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검사가 보안수사를 실행할 수 있느냐는 이번 개정안 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