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5.대전도시철도 신흥역세권 알아보기

  • 경제/과학
  •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5.대전도시철도 신흥역세권 알아보기

  • 승인 2017-10-07 14:33
  • 수정 2017-10-07 14:41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신흥역
5. 대전도시철도 신흥역세권

신흥역은 동구 효동, 신인동, 판암1동, 판암2동 일대를 어우르고 있다. 신흥역은 네 군데의 출입구가 있으며 인근 신흥마을 아파트 및 판암1동 주민이 주로 이용한다. 효동현대아파트와 인동현대아파트 주민들도 상당수 이용한다.

입지평가등급의 주요 요인인 잠재고객 수를 보면 신흥역 일대는 올들어 지난 6월 기준으로 1만6048가구에 주거인구 4만284명, 직장인구 5957명으로 집계됐다.

주거인구 성별로는 여성이 2만491명으로 남성 1만9809명보다 조금 많으며 60대 이상이 전체 주거인구의 21.68%인 8735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40대 6565명(16.3%), 50대 6486명(16.1%)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인구는 전체 5957명중 남성이 48.8%인 2907명, 여성이 51.2%인 3050명이며 연령대별로는 40대가 26%인 1549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50·60대가 각각 24.48%(1458명), 23.42%(1395명)로 뒤를 이었다. 20대 직장인구가 471명(7.91%)으로 가장 적었다.

이 지역의 유동인구는 SKT가 통화량을 기반으로 추정한 올들어 8월 기준으로 일일 평균 8557명(남성 5004명, 여성 3553명)이다.

오후 3시부터 밤 9시 사이가 유동인구가 가장 많고 이어 정오부터 오후 3시다. 오후 9시부터 자정까지도 상당한 유동인구가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신흥역 일대의 주요시설은 공공기관이 7개, 금융기관 8개, 의료/복지시설 75개, 학교 54개이며 집객시설로는 대형유통이 71개, 숙박시설 4개소 등이다.

주요시설과 집객시설의 변화추이를 보면 2015년 각각 79개와 7개에서 지난해 주요시설은 132개로 2배 가까이 늘었고 손님유인 시설은 89개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일대 주민들의 소득수준은 지난해 하반기 거주인구 중 남성이 293만~341만원, 여성이 234만~272만원이다. 올 상반기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하반기 직장인구 소득은 남성이 326만~378만원, 여성은 235만~273만원이며 올 상반기 역시 마찬가지다.

소비수준은 지난해 하반기 거주인구는 102만~134만원, 직장인 118만~172만원에서 올 상반기는 뚝 떨어져 거주인구 89만~119만원, 직장인은 105만~152만원으로 나타났다.

가장 소비가 왕성한 연령대는 올 상반기 기준으로 거주인구는 30·40대가 123만~143만원으로 같았으며, 직장인은 40대가 144만~168만원을 소비했다.

▲입지평가= 신흥역 주변 일대는 한마디로 상권이 형성돼 있지 않다고 해도 무방하다. 띄엄띄엄 보이는 가계가 거의 전부인 실정이다. 이런 관계로 신흥역 주변 일대의 입지평가는 4등급의 바닥 수준을 보인다.

음식업과 소매업이 각각 4등급, 서비스업은 최하위인 5등급이다.

업종별로는 간이음식의 경우 패스트푸드와 제과점이 각각 3등급으로 보통, 커피전문점과 피자 전문이 4등급, 아이스크림 판매 전문점은 5등급이다.

한식/분식은 라면 김밥이 3등급 해장국/감자탕, 도시락전문, 국수/만두/칼국수 등이 4등급으로 분류됐다.

외식은 중국집 3등급, 일식 4등급, 양식은 5등급이다. 호프/맥주와 간이주점, 족발, 치킨, 삼겹살 등 주점/고기요리 업종은 4등급으로 분류됐다.

서비스업종은 이/미용, 학문/교육, 세탁/가사, 차량관리 모두 5등급이며 여가/오락분야는 4등급이다.

소매업은 일반의류, 캐주얼/스포츠의류가 2등급, 신발 소매·안경원·편의점·사무/문구 용품 4등급이다. 꽃집과 일반가구 소매업종은 3등급.

▲상권평가= 신흥역 일대의 상권은 다소 영업력이 향상하는 긍정요인 속에 성장성과 안정성이 저하하는 부정요인이 남아 있어 있음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상권평가등급은 100점 만점에 51.9점으로 대전시 평균값 52.7점보다 낮다.

효동이 56.9점으로 가장 높고, 신인동 51.7점, 판암1동 50.6점, 판암2동 48.4점 순이다.

이러한 분석을 기반으로 신흥역 주변 일대는 음식업의 경우 죽 전문점, 서비스업은 여성미용실, 소매업은 일반의류와 캐주얼/스포츠의류 판매업이 그나마 매출 기대치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신흥역 주변 반경 500m 내에는 상권이 전혀 없는 실정이다. 해서 효동과 신인동, 판암1·2동까지 묶어서 데이터를 활용했다는 점 알린다. 이승규 기자 es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대통령실 인사수석에 천안 출신 조성주 한국법령정보원장
  3.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두고 김태흠 지사-김선태 의원 '공방'
  4.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5.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1.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2. '빈집 강제철거 0건' 충남도, 법 개정에 빈집정비 속도 오를까
  3.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4.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5. [촘촘하고 행복한 충남형 늘봄교육] 학생에게 성장을, 학부모에겐 신뢰를… 저학년 맞춤형 늘봄

헤드라인 뉴스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교수들도 지역대 떠난다… 이공·자연계열 이탈 심화

최근 5년간 충청권 국립대학에서 타 대학·기관 등으로 이직한 교수 절반 이상이 이공·자연계열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해외로 떠나는 수도권 대학교수들이 늘면서 비수도권 대학교수들이 수도권으로 향하는 연쇄 이탈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에서 지역별 국가 첨단산업 인재 육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우수교원들이 지역을 떠나는 것이다. 9일 국회 교육위 서지영 의원실이 최근 발표한 '전국 국립대 교수 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21년~2025년 5월) 충남대·충북대 등 전국 지방거점국립대 9곳에서 이직한 교수는 3..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성 비위' 논란부터 줄탈당까지...조국혁신당 위기 극복할까

창당 이후 '성 비위' 논란에서 촉발된 내부 갈등으로 최대 위기를 맞이하고 있는 조국혁신당. 9월 11일 당무위원회를 통해 비상대책위원장에 추대될 조국 전 대표가 구원 투수로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갑년 세종시당위원장과 강미정 전 대변인 등의 탈당에 이어 중앙당 지도부가 지난 7일 총사퇴했음에도, 당장 세종시당 등 당내 정비는 숙제로 남겨져 있다. 세종시당 전 운영위원들은 지난 8일 중앙당 윤리위원회의 최근 결정 2건에 대한 재심 청구서를 제출했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의 징계 청원 기각(사건번호 2025윤리16) △세종시당..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공중화장실에 남긴 흔적… 청소 관리자에겐 하루의 전쟁

대전의 한 전통시장 공중화장실. 문을 열자 바닥에 흩어진 휴지 조각이 눈에 들어왔다. 몇몇 변기 칸은 이물질로 막혀 사용할 수 없었고, 비누통은 텅 비어 있었다. 휴지통이 없으니 누군가는 사용한 휴지를 변기 뒤편에 숨겨두고 갔다. 무심코 남긴 흔적은 청소 노동자에게는 전쟁 같은 하루를, 다른 이용자에게는 불쾌한 경험을 남긴다. 사회 전반의 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졌다는 평가와 달리, 공중화장실만큼은 여전히 우리의 부끄러운 민낯이 드러나는 공간이었다. 9일 중도일보는 대전의 한 전통시장과 천변 공중화장실을 관리하는 청소 관리자를 현장에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