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6. 대전도시철도 대동(우송대)역 주변 살펴보기

  • 경제/과학
  •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빅데이터로 보는 상권분석] 6. 대전도시철도 대동(우송대)역 주변 살펴보기

  • 승인 2017-10-08 17:02
  • 수정 2017-10-08 17:03
  • 이승규 기자이승규 기자
우송대역
6. 대전도시철도 대동(우송대)역세권

대전도시철도 대동(우송대)역은 대동 오거리에 위치한 역으로 본죽 대동오거리점, 롯데마트 동대전점, 대동주민센터, KEB하나은행 대동지점, 뚜레쥬르 대동오거리점, 롯데리아 대동점 쪽 등 모두 여덟 군데의 출입구가 있다.

상업, 업무시설 밀도가 매우 낮은 데다 주거시설 밀도도 낮은, 즉, 단독주택 밀집지역인 대동역 주변 상권은 올들어 8월 현재 SKT 통화량을 기초한 추정 유동인구가 일일 평균 2만374명이다. 이중 남성이 1만1786명, 여성이 8588명으로 집계됐다.

나이별 유동인구는 40대와 50대가 20%에 육박하고 이어 20·30대가 16% 수준을 보였다. 60대는 14% 선이며 10대는 8% 정도로 파악됐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3시까지 점차 늘어나 오후 3시부터 저녁 9시 사이 정점에 올랐다가 이후 뚝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정부터 오전 6시 사이에서도 유동인구의 4% 정도가 다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별로는 화요일이 16.9%로 유동인구가 가장 많았고 이어 금요일 15.1%, 토요일 14.7%, 목요일 14%, 월요일과 수요일 각각 13.9% 순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유동인구 추이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 8월까지 2만명 선을 유지하고 있다.

대동역 일대 주민들의 1인당 월평균 소득수준은 나이스 비즈 맵에 의하면 지난해 하반기 남성의 경우 거주인 306만~256만원이고 직장인은 290만~336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여성은 거주인이 244만~284만원이고, 직장인이 239만~277만원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상반기 현재 남성 거주인이 308만~358만원, 직장인 287만~333만원이며 여성은 거주인 247만~287만원, 직장인 240만~278만원으로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지난해 하반기 거주인을 중심으로 50대가 322만~374만원으로 소득수준이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 317만~369만원, 30대 260만~302만원, 60대 이상 250만~290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올들어 상반기 현재 거주인을 중심으로 본 소득수준은 50대(324만~376만원)가 가장 높고 40대, 30대, 20대 순으로 나타났다.

특이할 점은 60대가 지난해 상반기 250만원 이상의 소득수준을 보였는데 올 상반기는 40만~50만원 선으로 크게 하락한 점이 눈에 띈다.

금액구간별 소득분포는 20대 거주인이 월 170만~250만원 사이가 41%로 가장 높고 이어 170만원 이하(37.1%), 250만~330만원(15.9%)순이었다. 직장인은 170만원 이하가 38.7%로 제일 많고 이어 170만~250만원(36.8%), 250만~330만원(19.6%)순이다.

30대는 거주인이 250만~330만원 사이가 35%로 가장 많고 직장인은 170만~250만원(36.4%)이 많았다. 40대에서는 거주인과 직장인이 각각 32%와 40%가 250만~330만원의 소득수준을 보였으며, 50·60대 역시 이 구간의 소득분포가 높았다.

대동역 주변 거주인과 직장인의 소비수준은 지난해 하반기 남성이 122만~142만원, 146만~170만원였으며, 여성은 107만~125만원, 117만~135만원였다.

올 상반기는 남성이 110만~128만원, 128만~148만원으로 지난해 하반기보다 거주인은 12만~14만원 줄었고 직장인은 16만~22만원 줄어들었다.

여성은 95만~111만원, 102만~118만원으로 역시 지난해 하반기보다 상당액 소비가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입지평가= 대동역 주변 일대 업종별 입지평가는 간이음식 중 패스트푸드와 피자 전문점이 2등급으로 높게 나타났고 한식/분식은 라면 김밥 분식과 도시락전문점이 각각 2등급, 해장국/감자탕과 국수/만두/칼국수는 5등급으로 최하위 등급을 보였다.

외식은 양식이 2등급으로 입지가 유리했으며, 간이주점도 2등급의 비교적 높은 등급을 받았다.

서비스업은 전반적으로 4등급의 낮은 수준이지만 이·미용이 1등급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소매업 역시 4등급으로 낮지만 화장품 소매가 1등급, 안경원 2등급의 입지평가를 받았다.

입지평가 결과 대동역 인근에는 안경원이 권장업종으로 분류돼 안경원을 중심으로 이 일대 업종 추이를 살펴본다.

대동(우송대)역 바로 인접한 주변에는 지방자치단체가 올들어 9월 현재 자체 조사한 데이터상 안경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시 전체로는 안경원이 올들어 9월 현재 505개가 있고 동구 지역에는 82개가 있다.

대동역 배후지인 대동교와 충남중 네거리, 대전기독요양병원, 펜타뷰 아파트까지 지역을 확대해 안경원의 월 평균매출은 카드사 기준으로 지난 2월 1030만원, 3월 1151만원, 4월 1021만원, 5월 2818만원, 6월 1463만원 7월 1166만원이다.

안경원의 매출은 주말(35.4%)보다 주중(64.6%)이 월등히 높았으며, 요일별로는 일요일이 23.9%로 가장 높았고 이어 목요일 23.6%, 화요일 13.1%, 토요일 11.5% 순이었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 사이가 29.9%로 가장 많고 이어 오후 2시부터 오후 5시 사이 27.9%, 오후 5시~오후 9시 20.3%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56.3%로 남성(43.7%)보다 많고 40·50대 고객이 68%를 차지했다.

참고로 카드사 기준으로 이 일대 월 평균매출이 높은 업종은 중분류로 가정/주방/인테리어업종으로 나타났다. 이 업종의 매출은 지난 2월 4513만원, 3월 1억1724만원, 4월 1억5909만원, 5월과 6월 각각 1억3923만원·1억3928만원, 7월 836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승규 기자 es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경찰청 경무관급 인사 단행… 충남청 2명 전출·1명 전입
  3. 서산시, 제3회 온(溫)가족 축제 성황리에 개최
  4. 경찰 경무관급 전보 인사는 났는데… 승진 인사는 언제?
  5. 자운대 공간 재창조 사업, '수면 위로 언제 드러날까'
  1. [교정의 날] "사회 지탱하는 교정, 첫 단추는 믿음" 대전교도소 박용배 교감
  2. [중도 초대석] 우송대 진고환 총장 "글로벌 대학서 아시아 최고 AI 특성화 대학으로"
  3. 대전 대덕구, 복합 재난 상정 안전한국훈련
  4. 대전 동구, 어린이 등굣길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5. "유성은 대전 성장의 핵심, 긴밀한 협력할 것"

헤드라인 뉴스


`절치부심` 한화 이글스, 대전에서 분위기 반전 노린다

'절치부심' 한화 이글스, 대전에서 분위기 반전 노린다

2025 프로야구 한국시리즈(KS) 1·2차전을 내주며 벼랑 끝에 몰린 한화 이글스가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한화는 29일 3차전 선발 투수로 에이스 코디 폰세를 LG는 좌완 투수 손주영을 내세운다. 7전 4선승제로 치러지는 KS에서 먼저 2패를 당한 한화는 벼락 끝에 몰렸다. 정규시즌 탄탄한 마운드를 앞세워 저력을 보였지만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 1·2선발을 모두 소모한 대가는 예상보다 컸다. 한화 타선은 여전히 양호했으나, 선발과 불펜 운용에서 취약점을 드러냈다. 반면, 정규 시즌 우승팀인 LG는..

충남스포츠센터 문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
충남스포츠센터 문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

충남스포츠센터가 문을 연다. 다음 달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가며 도민 누구나 최신 체육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는 28일 내포신도시 충남스포츠센터 다목적체육관에서 김태흠 지사와 체육계 관계자 등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스포츠센터 개관식을 개최했다. 충남스포츠센터는 예산군 삽교읍 내포신도시 환경클러스터 내 2만 615㎡ 부지에 592억 원을 투입해 건립했다. 센터는 수영장 및 통합운영센터, 다목적체육관 등 2개 동으로 구성했으며, 연면적은 1만 3318㎡이다. 수영장 및 통합운영센터는 1만 1196㎡의 부지에 연면적..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로드맵… 12월 중순 본격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로드맵… 12월 중순 본격화

해양수산부의 부산시 이전 로드맵이 오는 12월 중순 본격 실행된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8일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을 찾아 해수부 청사 이전 상황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는 김 총리를 비롯한 김재철 해수부 기획조정실장, 김성원 해수부 부산이전추진단국장, 성희엽 부산 미래혁신부시장, 박근묵 부산시 해양농수산국장, 김용수 국무2차장 등이 함께 했다. 김성원 단장은 이날 5층 임시 브리핑룸에서 해수부 청사 이전 추진 경과와 상황을 상세히 공유했다. 임대 청사는 IM빌딩(본관 20층 전체)과 맞은편 협성타워(별관 6개 층 중 일부) 2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코스피 지수 사상 첫 4000선 돌파…4042.83으로 마감

  •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 초겨울 날씨에 두꺼운 외투와 난방용품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