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칼럼] 남성, 여성의 뇌 연결망은 상호보완적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 칼럼] 남성, 여성의 뇌 연결망은 상호보완적

박희래 맘브레인&IBC통합뇌센터 원장

  • 승인 2019-03-28 14:27
  • 신문게재 2019-03-29 22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박희래
빠르게 변화하는 삶 속에 잘 적응하며 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하루하루가 빠르게 변화하는 삶 속에 적응하려니 혼란스럽기 그지없다. 나만 퇴보되는 것 같고 현실에서 멀어지는 것 같아서 무기력해지고 우울해지기도 한다.



2019년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업무계획에 따르면 올해를 '사람중심의 4차 산업혁명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람중심의 D.N.A(Data, Network, AI)역량을 강화하고. 남성, 여성의 차이를 논하기보다는 남녀구별 없이 역량을 갖춘 인재들을 사회경제활동에 활발하게 활용한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현재와 미래사회의 핵심인재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또 남성과 여성의 뇌 연결망은 같을까 다를까?

경인교육대학교 이재호 교수는 미래 지능정보사회의 핵심인재는 기업가 정신을 중심으로 컴퓨팅 사고력을 갖추고 메이킹 역량으로 창의적 발상을 할 수 있는 '융합·통섭형 인재'라고 정의하였다. 컴퓨팅 사고력은 복잡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다루고 해결하는 사고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처럼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고 이를 논리적,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말한다. 또한 '융합·통섭'이란 '서로 다른 것을 한데 묶어 새로운 것을 만든다'는 뜻을 의미한다. 과거 인재는 '인지적 능력'을 중요시했다면 현재 인재는 '비인지적 역량' 즉 지적 능력 외에 잠재되어있는 '인성','감성' 등을 중요시하고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사회적 기여 등도 중요한 요소로 꼽아, 이런 인재를 사회적 인재라고 정의하기 시작했다.



구글의 경우 인재상을 '구글다움'(Googleyness)으로 정의했다. '남들이 재미없어 하는 걸 즐기고 자신이 틀릴 수도 있다는 걸 인정하는 지적 겸손', '주인의식', '개방적인 자세', '과감하게 실행하는 용기', '다양성과 융합할 수 있는 능력',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하는 능력' 등의 개념으로 정의했다.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즉 하고자 하는 일의 성취동기와 욕구를 기반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전문적인 소양을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겠다. 나의 현주소는 어떠한가를 점검하고 내면의 깊은 곳에서 나오는 욕구가 무엇인지를 알아차리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힘을 갖춰야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요즘 우리 사회에 뜨겁게 달궈진 이슈가 Mee Too 운동이었다. 남성, 여성에 대한 성 평등성에 대해 물음표를 던진 것이다. 인류의 변천사에서 남성과 여성은 필수불가결한 관계이다. 서로 조화로운 관계에서 화목하고 행복을 추구하며 생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면 남성·여성의 뇌 연결망은 같을까 다를까?

미국 필라델피아대학교 의과대 라지니 버마(Ragini Verma) 교수가 이끈 연구팀의 최근 뇌 연구에 따르면 남녀의 뇌 연결망 구조에서 차이를 발견했다(출처/Ragini Vem a, PNAS). 남성의 뇌는 '뇌 반구 내부 연결이 강화'되어 감각인지와 통합행동 연결망이 활성화 되어 있고, 여성의 뇌는 '좌우 뇌 반구 연결이 강화'되어 분석과 직관 및 사회적 인지가 높았다. 남성은 대뇌피질에선 앞 뒤쪽의 연결 즉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의 연결회로가 발전되어 있고, 여성은 대뇌안쪽에서 좌우 뇌 반구 간의 연결이 두드러졌다. 이는 좌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이 발달한 것이다. 남성은 관찰하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빠른 결정과 행동을 통해 사냥을 하여 생명을 유지하기 적합한 뇌로, 여성은 좌우측의 뇌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직관력을 활용하여 공감과 소통을 통해 양육과 주변과의 관계성을 높여서 공동체 생활을 잘할 수 있도록 발전한 것이다. 연구팀은 "남녀의 뇌는 놀라울 정도로 상호보완적"이라고 말했다.

현대사회는 인공지능의 발달, IoT 초연결화, 빅데이터 등등으로 점점 인간이 육체적으로 힘쓰는 일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과학시대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뇌 연결망은 '감각인지와 통합 행동에 효율적인 대뇌반구, 내부의 연결구조가 발달한 남성 뇌'와 '분석, 직관 및 사회적 인지에 효율적인 좌우 뇌 반구 간의 연결이 발달한 여성 뇌'를 상호보완 할 수 있을 때 최적화된 상태가 될 것이다. 이처럼 서로 다름을 인정하여 남성과 여성이 상호보완하고 개개인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려고 노력할 때 현재와 미래의 역량 있는 인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뿌리 깊은 관념 속에 녹아있는 성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양성평등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방원합도(方圓合道) 너무 모나지 않고 너무 둥글지 않는 道의 이치에 맞게 양성을 합할 수 있는 것이 진정한 평등이며 행복한 삶의 원천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박희래 맘브레인&IBC통합뇌센터 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6학년도 수능 이후 대입전략 “가채점 기반 정시 판단이 핵심”
  2. [2026 수능]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3. 당진시, 거산공원…동남생활권 '10분 공세권' 이끈다
  4. [2026 수능] 황금돼지띠 고3 수험생 몰려… 작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어려워
  5. 해운대 겨울밤 별의 물결이 밀려오다 '해운대빛축제'
  1. [2026 수능] 분실한 수험표 찾아주고 시험장 긴급 수송…경찰도 '진땀'
  2. 더민주대전혁신회의 "검찰 집단항명, 수사 은폐 목적의 쿠데타적 행위"
  3. 이한영, 중앙로지하상가 집중점검… "실효성 있는 활성화 대책 필요"
  4. 대전경찰청, 14일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 경기 앞두고 안전 점검
  5. [2026 수능 스케치] "잘할 수 있어"… 부모·교사·후배들까지 모여 힘찬 응원

헤드라인 뉴스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