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성년의 날, 우리 모두의 축제로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성년의 날, 우리 모두의 축제로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19-05-17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200750317_1280
'성년의 날'인 2014년 5월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 명륜당에서 열린 전통 성년례 행사에서 계례 시연이 진행되고 있다. 관례와 계례는 성인식의 전통적인 형태로서 남자는 상투를 틀어 갓을 쓰고, 여자는 쪽을 찌는 의식이다. 관례와 계례를 마치면 정식으로 어른이 되었음을 인정받는다./연합DB
매년 5월 셋째 월요일은 성년의 날이다. 올해 46회째다. 1973년 제정 당시는 4월 20일이었다. 1975년 5월 6일로 바꾸었다가 1984년 현재와 같이 바꾸었다. 일반적으로 잘 모르는 것 같다. 따라서 당사자들조차 별 관심이 없다. 서적을 뒤적이다 보면 과거에도 있었다. 고려 광종(光宗, 925 ~ 975, 고려 4대 왕 949 ~ 975년 재위) 때인 965년 세자 유에게 원복元服을 입혔다는 데서 비롯되었다는 말도 있다. 조선시대 중류 이상 가정에서는 보편화 되었다 한다. 우리 자신을 빼앗겼던 치욕의 시절 전후로 단절되었다가 1973년부터 다시 시행했는데 유명무실해졌다. 1999년 문화관광부에서 전통 예법을 모으고 변형하여 새롭게 시행했다. 어른의 축사를 듣고, 술 마시고, 성인이 됨을 선언하는 선언문 낭독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 또한 별 호응을 얻지 못한 듯하다.

성년이 되면 각종 제한이 없어진다. 먼저 생각나는 것이 흡연, 음주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공법상 선거권 취득, 기타 성인에게만 가능하던 자격 취득을 할 수 있다. 사법상 완전한 행위능력자가 되는 것이다. 친권자 동의 없이 혼인할 수 있고, 양자도 할 수 있다. 권한과 의무 책임이 주어지는 것이다. 얼마나 뜻깊은 날인가?



이날 모범 성년에 대한 표창, 간단한 다과회, 선배들의 기념사와 훈화 등이 개최되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통 성년례는 성균관(成均館)에서 전통격식으로 행해왔다. 남자의 경우 '관례(冠禮)'를, 여자의 경우 '계례'를 행한다. 몇몇 곳에서 전통 성년례를 행하고 있기도 하다. 대전 동구문화원에서는 2004년부터 매년 우암사적공원 이직당 앞에서 전통 성년례를 거행하였다. 대전대학에서 행한 경우도 있다. 올해가 16회다. 올해는 동구청 앞마당에서 갖는다고 한다. 나름 볼거리도 많다. 많은 지역민이 오셔서 함께 즐기고, 음미하면 좋을듯하다.

얼마 전부터 선거관리 위원회도 함께하고 있다. 성년이 되면서 눈에 뜨이는 변화 중 하나가 선거권 행사이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도 선거 때만 되면 선거권자 나이 문제로 정당끼리 다툰다. 선거는 국민주권을 행사하는 중요한 일 중 하나다. 그러면서 성년으로 인정하는 모든 제도와 상호 관련이 있다. 교육제도와도 관련이 된다. 선거 연령을 낮추려면 고등학생부터 해야 하지 않을까? 예컨대 삼학년만 선거권이 부여된다면, 선거와 관계없는 저학년도 삼학년으로 인하여, 거의 매년 치러지는 선거에 휘둘려야 한다. 생각만 해도 끔찍한 일이다. 교육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민법에 부모 동의 없이 결혼할 수 있는 나이를 정하고 있다. 이도 마찬가지다. 예외야 언제고 있는 일이지만 실제 자립할 여건이 마련된 다음에 결혼한다. 성인문화를 즐기는 나이의 결정도 애매하다. 성인문화를 규제하는 것은 분별력이나 자제력, 통제력을 스스로 갖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논어 위정편에 마음 가는 대로 해도 도에 거스르는 일이 없다(從心所欲不踰矩) 한 나이가 70이다. 그것마저, 아마 현자에 해당하는 말 아닐까? 주위를 살펴보자. 살아보지 않아 모르긴 해도, 죽을 때가 되어야 철든다는 말이 더 마음에 와닿는다. 그리 보면 우리 모두 성인이 아니다. 각설하고, 성인에 대한 기준이 통일되어있지 못하다 보니 선거철만 되면 다투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역사를 배우는 의미 중 하나는 시행착오를 줄이는 것이다. 잘된 일은 본받아 배우고, 잘못된 일은 고쳐서 배우는 것이다. 또 하나는 미래 창조의 동력으로 삼는 것이다. 아는 만큼 시야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문화를 삶의 총체로 볼 때 새로운 문화는 저절로 형성된다. 때로는 의도한 것이 문화로 발전하는 경우도 있다. 사람 기저에 깔려있는 감성을 밖으로 이끌어 내거나, 공감을 얻어 냈기 때문이다. 달리 말하면, 인위적 문화창조는 집단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는 누가 강제하지 않았다. 국적 불명이다, 장삿속이다 비난하지만, 일반화된 것으로 보인다. 누구에게나 주고받는 일은 즐거운 일이기 때문이다. 때로는 초콜릿이나 사탕을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에 사지만, 사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마냥 즐겁다. 마음을 선물하기 때문이다. 이들이 문화로 자리 잡는 것처럼 보이자, 3월 3일을 삼겹살데이라 한다거나, 치약치솔데이, 허브데이, 짜장면데이, 오이데이, 꽈배기데이, 젓가락데이, 숟가락데이 등 무수한 날들이 탄생했다. 다 나열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중에는 참으로 의미 있는 날도 있다. 모두 문화로 살아남지 못하겠지만, 이러한 날들을 지정하는 것이 문화인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술은 어른에게 배워야 한다면서 자식에게 술 마시는 법을 가르쳐 본 일이 있는가? 성년의 날, 부모가 자식을 불러 인생 계획을 들으며, 함께 술을 나누어보자. 멋진 인생을 위한 응원도 해보자. 술집은 이날 성년이 되는 사람에게 일정량까지 공짜로 술을 주면 어떨까? 조금, 과격하지만 성년이 되면 출입 가능한 모든 곳을 무료 체험으로 개방하면 어떨까?

자유로운 의사결정, 성인이 되면서 갖는 자신과 사회에 대한 책임을 시작으로 국가와 인류사회에 대한 역할과 권한, 의무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즐거운 날이 되었으면 좋겠다. 우리 사회 모두가 격려하고 빛내 주어야 할 소중한 날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태권도 무덕관 창립 80주년 기념식
  5.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1.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2.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3.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4.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유득원 행정부시장 "세계로 잇는 든든한 주인공 뒷받침 최선"
  5. [대전유학생한마음대회] 박태구 중도일보 편집국장 “문화·언어 달라도 마음이 통하면 우리는 하나”

헤드라인 뉴스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주가 고공행진에 충청권 상장기업 시총 174조원 돌파

대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4000선을 돌파하자 충청권 상장사들의 주가도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한 달 새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이 전월 대비 19조 4777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11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10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74조 5113억 원으로 전월(155조 336억 원) 보다 12.6% 늘었다. 10월 한 달 동안 충북 지역의 시총은 27.4% 상승률을 보였고,..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세종 청소년 인구 1위 무색… "예산도 인력도 부족해"

'청소년 인구 최다' 지표를 자랑하는 세종시가 정작 청소년 예산 지원은 물론 전담 인력조차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에 이어 청소년 예산까지 감축된 흐름 속에 인력·자원의 재배치와 공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미래 세대를 위한 전사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세종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아동청소년 인구(0~24세)는 11만 4000명(29.2%)이며, 이 중 청소년 인구(9~24세)는 7만 8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20%에 달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 15.1%를 크게 웃도는 규모로, 청소년 인구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