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오상고절, 국화 옆에서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오상고절, 국화 옆에서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 승인 2019-06-12 11:07
  • 신문게재 2019-06-11 22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윤여환 충남대 교수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국화가 꽃이 지고 긴 동토의 터널을 지나면 매화가 꽃을 피우면서 봄이 온다. 매화가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꽃이라면 국화는 한 해를 마무리하는 꽃이다.

북송 때 시인 소식(蘇軾)은 겨울풍경(冬景)이라는 시에서 국화는 시들어도 서리를 이겨내는 가지가 있다(菊殘猶有傲霜枝)"라고 했고, 조선시대 시조시인 이정보(李鼎輔)도 '해동가요'에서 뭇 꽃들이 다 지고 난 늦가을에 심한 서릿발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고고하게 피어나는 국화의 모습을 보고 오상고절(傲霜孤節)이라 하였다.

가난한 선비였던 동진(東晉)의 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은 호구지책으로 천성에 맞지 않는 관직에 몸 담았다가 80여일만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귀거래사'를 쓰면서 소나무와 국화를 벗하며 살았다. 그로 인해 국화는 군자의 맑은 아취와 높은 절개를 지닌 꽃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래서 소나무와 국화는 도연명의 분신이자 은일의 표상이 되었다. 은군자(隱君子), 은일화(隱逸花)라는 별명은 여기에서 연유한다. 또한 찬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도 받아 들여졌다.

겸재 정선(謙齋 鄭敾)은 도연명의 시 음주(飮酒) 제5수에 있는 동리채국(東籬彩菊)을 그림으로 재현하였다. 선비의 평상복을 입은 도연명이 소나무가 서 있는 사립문 앞에서 국화를 따다가 남산을 여유롭게 바라보고 있는 그림이다. 한 그루의 노송에서 풍기는 절조와 은일이 도연명의 생애와 잘 어울리고 있다.



서산대사가 남긴 '청허집(淸虛集)'에 보면 '소나무와 국화를 심다(栽松菊)'라는 시에서 소나무와 국화를 심어놓고 색즉시공(色卽是空)의 진리를 설파한다.

국화의 한자인 '菊'의 어원은 곡식을 수확하는 의미와 그해 마지막 꽃(鞠)이라는 뜻도 있다. 당나라 시인 원진의 '국화' 시구절에서 "이 꽃 다 지고 나면 다른 꽃이 더 없네(此花開盡更無花)" 라고 하여 국화를 일년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만추의 꽃이라 하였다.

장례식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꽃이 흰 국화다. 고인의 명복을 비는 경건한 자리에 수많은 꽃 가운데 유독 국화가 헌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화는 신이 만든 꽃 중에 가장 마지막으로 만든 꽃이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생을 잘 마치고 신의 품으로 돌아가 편히 쉬라는 뜻도 지니고 있다. 서양에서의 국화는 저승에 가서 평화롭게 쉬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나온 말이라고도 한다.

유교문화가 지배하던 조선시대에는 장례식에 꽃이 아니라 향을 피우며 명복을 빌었다. 그러나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 서구문화가 유입되면서 흰 국화와 검은색 상복이 장례식장에 등장했다. 서양에선 국화가 고결과 엄숙을 뜻하고 검정색은 죽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국화는 예부터 불로장수를 상징하였다. 그래서 장수의 의미를 가진 국화의 다른 이름에 갱생(更生), 장수화(長壽花), 수객(壽客), 부연년(傅延年), 연령객(延齡客) 등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국화에 기국연년(杞菊延年), 송국연년(松菊延年)이라는 축수의 문구를 부쳐 환갑이나 진갑 등의 잔칫상에 장수를 기원하는 헌화로 많이 사용하였다. 민화에서 괴석사이에 피어있는 국화를 그린 그림은 국화와 바위가 모두 장수를 뜻하기 때문에 고수(高壽)와 익수(益壽)를 뜻하기도 한다.

이렇게 인간은 누구나 무병장수, 불로장생을 원하지만 죽음 앞에서는 그 누구도 예외 일 수가 없다. 국화가 오늘을 사는 현대인에게 던지는 화두는 항상 감사하는 삶을 제시해주고 있다. 들녘 경사진 언덕에 국화 네가 없었던들 가을은 얼마나 적적했으랴고 읊었던 노천명도, 저 푸른 하늘과 태양을 볼 수 있고 대기를 마시며 내가 자유롭게 산보할 수 있는 한 나는 충분히 행복하고 신에게 감사할 수 있다고 하지 않았는가.
윤여환 충남대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2. 유성복합터미널 공동운영사 막판 협상 단계…서남부터미널·금호고속 컨소시엄
  3. 11월 충청권 3000여 세대 아파트 분양 예정
  4. 대전권 대학 대다수 기숙사비 납부 '현금 일시불'만 가능…학부모 부담 커
  5. 김장 필수품, 배추와 무 가격 안정화... 대전 김장 담그기 비용 내려가나
  1.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전국 신청률 97.5%… 충청권 4개 시도 평균 웃돌아
  2. 대전교육청 교육부 시·도교육청 평가 '최우수'
  3. 최고 1436% 이자 받아챙긴 40대 대부업자 실형
  4. 대전대 박물관, 개교 45주년·박물관 개관 41주년 기념 전시회 개최
  5.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1월 13일 수능 당일 8시 10분까지 입실해야… 모바일 신분증 '불가'

13일 열리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당일 수험생은 8시 10분까지 시험실에 입실해야 하며 반드시 수험표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단 모바일 신분증은 인정되지 않으니 주의가 요구된다. 교육부는 4일 이 같은 내용의 수험생 유의사항을 안내했다. 교육부는 수험생들을 향해 수능 하루 전인 12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여해 수험표를 수령하고 시험 유의사항을 안내받을 것을 당부했다. 수험표에 기재된 본인의 선택과목을 확인해야 하며 시험 당일 시험장을 잘못 찾아가는 일이 없도록 사전에 위치를 파악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시험 당..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與野 대표 대전서 맞불…지방선거 앞 충청표심 잡기 사활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약 7개월 앞두고 여야 지도부가 잇따라 대전을 찾아 충청 민심 다지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4일 한남대에서 특강을 했고,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5일 대전시청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는 등 충청권에서 여야 대표가 맞불을 놓는 모양새다. 거대 양당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로 떠오른 금강벨트에서 기선을 잡기 위한 전략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5일 대전시청에서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현황과 주요 현안을 점검한다. 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