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아무도 우리 말을 믿어 주지 않으니까"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아무도 우리 말을 믿어 주지 않으니까"

  • 승인 2019-07-14 10:45
  • 수정 2020-06-30 11:34
  • 신문게재 2019-07-15 18면
  • 박새롬 기자박새롬 기자
2014년 첫 해외 여행지였던 폴란드에서 가장 먹어보고 싶었던 음식은 케밥이었다. 터키의 전통식이지만 유럽에서 흔히 먹을 수 있다는 음식. 한국의 마트에서 파는 걸 먹어본 적은 있지만, 더 다양한 맛의 케밥을 저렴한 가격에 먹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했다.

빗속에서 만난 케밥 노점 안에는 터키인이 아닌 동남아인이 있었다. 영어가 피차 짧아서 다행이었다. 치킨 케밥이라고 써진 알파벳을 읽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주문을 했다.



중국 사람이에요? 그가 영어로 물었다. 한국인이라고 대답하자 한국에 가본 적 있다는 그는 방글라데시에서 왔다고 자신을 소개하고는 다시 질문했다. 한국 어디에 살아요? 대전이라는 도시를 이 사람이 알까 속으로 궁금해 하며 대답했다. 대전이요. 그 순간 그의 얼굴은 어두워졌다. 그는 조금 지난 뒤, 오래전 대전에서 일했었다고 말했다.

그의 대전 생활이 어땠을지 궁금했지만 아무것도 물을 수 없었다. 대전에 대해 좋은 기억이 있다면 밝은 얼굴로 이야기하지 않았을까. 일하던 곳의 사장이라는 사람이 임금을 제대로 주지 않거나 때리지는 않았을까. 길을 가다 마주친 알지도 못하는 사람이 이유 없이 험한 말을 던지지는 않았을까. 지금 우연히 만난 눈앞의 한국인이 나쁜 기억을 떠올리게 한 건 아닌지, 케밥이 완성되길 기다리는 동안 그와 눈을 마주치기가 쉽지 않았다.



김재영의 소설 「코끼리」는 이주노동자들이 모여 사는 동네를 배경으로 삼았다. 한 네팔 청년이 어느 날 일하다 잘린 손가락을 가지고 돌아온다. 그의 잘린 손가락을 보며 주인공 소년은 '여기까지 와서 프레스에 손가락을 잘리는 미국 사람은 없을'거라고 생각한다. 소년은 학교에서 상급생 형에게 느닷없이 맞은 적이 있다. '똥 닦는 냄새나는 손으로' 자기 여동생을 만졌다는 이유다. 연필이 굴러가서 잡으려다 실수로 손등을 건드렸을 뿐인데. 같은 반 학생들은 그에게 밑 닦는 손으로 밥을 먹는다며 놀린다. 아버지에게 왜 맞았는지 사실대로 말했지만, 아버지는 "사실이란 중요하지 않아. 아무도 우리 말을 믿어 주지 않으니까"라고 '부정확한 발음으로 한국말을 떠듬'거린다.

우연히 만난 동남아인이 한국에서 일하는 동안 폭력적인 상황에 노출됐을 거라는 생각은 편견일지 모른다. 소설은 소설일 뿐 일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편견과 소설은 현실을 바탕으로 태어난다. 2015년 국가인권위의 '건설업종사 외국인노동자 인권상황실태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노동자의 68%는 일을 하다 다쳐도 산재보험 처리를 받지 못했다. 62.7%는 작업장 내에서 조롱 또는 욕설을 들었으며 21.4%는 폭행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폭행 피해를 입은 이들 중 85.7%는 가해자가 한국인이라고 밝혔다. 제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11.7%가 성폭력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인천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이 같은 반 학생들의 폭행을 견디다 못해 추락 사망했던 해가 작년이다. 지난 4일에는 베트남에서 온 여성이 남편에게 3시간 동안 맞았다. 한국말이 서툴러서 시키는 대로 하지 않는다는 이유였다.

베트남 출신 아내를 때린 한국인 남편은 "언어가 다르니까 생각하는 것도 다르고 해서, 그것 때문에 감정이 쌓였다"며 "다른 (다문화 가정)남자들도 마찬가지일 것 같다"고 말했다. 언어가 달라서 소통이 어렵다면 폭력을 휘둘러도 된다고 생각한 걸까. 그의 말처럼 많은 한국 사람들이 정말 그렇게 생각하는 걸까. 인권위의 조사는 벌써 옛일이고 한국인 남편의 말은 그만이 가진 근거 없는 편견일 뿐이라고, 누가 말해줬으면 좋겠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2.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 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업 놓고 '설왕설래'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기고] 디지털포용법과 사회통합
  5. 어기구 의원, ‘K-스틸법’ 후속 국가재정법 개정안 대표 발의
  1. 양상추 가격 급등 현상에 대전 소상공인도 직격탄... 높아진 가격에 한숨만
  2. '사건 25%↑' 대전경찰, 우수부서 찾아 시상…서부署·중부署 등
  3.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4. 대전상의-국정원 '기업 기술유출 예방 설명회' 개최
  5. 설동호 교육감 시정연설 "모두 균등한 기회 누리는 든든한 대전교육 만들 것"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집값 '온도차'… 대전·충남은 감소, 세종·충북은 상승

충청권 부동산 가격이 지역별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대전과 충남 집값은 여전히 하락세를 이어간 반면, 세종은 오름폭을 키우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충북은 보합에서 상승으로 전환했다. 2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매매가격은 0.07% 올랐다. 전주(0.06%)보다 0.01%포인트 오른 수치인데, 서울과 수도권, 지방 모두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선 대전의 집값은 0.02% 내렸다. 올해 들어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며 누적 하락률이 2.11%를 기록했..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특수공집방·국회법 위반 이장우 대전시장·김태흠 충남지사 유죄

국회 패스트트랙(Fast Track: 신속처리안건) 충돌 사건으로 기소된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에게 유죄가 선고됐다. 당시 대표였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와 원내대표였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자유한국당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 11부(장찬 부장판사)는 19일 오후 2시 특수공무집행방해와 국회법 위반 등의 혐의로 기소된 황교안 전 총리와 나경원 의원, 이장우 시장과 김태흠 지사 등 26명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했다. 나 의원은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벌금 2000만원,..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단독] 대전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불법 선거 논란

사상 첫 직선제로 이사장을 선출한 대전 대덕구 법동 으뜸새마을금고가 불법 선거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대해 수사를 벌인 경찰은 최근 사전 선거 운동 혐의 등으로 올해 7월 당선된 이사장 A씨를 검찰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경찰과 법조계에 따르면 올해 법동 으뜸새마을금고 이사장에 선출된 A씨는 공식 선거 운동 예정일 전부터 실질적인 선거유세를 펼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2021년 제6대 선거까지 간선제로 진행됐지만, 올해 치러진 제7대 선거는 금고 설립 이후 처음으로 전체 회원이 투표에 참여했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